적 하수오 재배법
1. 식물명 : 하수오
○ 과 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 학 명 : Polygonum multiflorum Thunb.
○ 영 명 : Chinese Cornbind
○ 생약명 : 하수오
○ 이 명 : 수오(首烏), 야교등(夜交藤), 홍내청(紅內淸), 새박덩굴

하수오 하수오 단면 3년근 1년근
(원색천연약물 (3년근, 1년근) (수확한 하수오 뿌리)
대사전)

뿌리(2년근) 2년근(07.4.24)
*아래 우측것은 제가 시험장에 가서 직접본것인데 한줄기에 어른주먹만 한것이
두개나 달려 있었으며 몇백그램정도는 되어 보였습니다
재배과정에 따라 짧은시간에도 큰덩이를 생산할수도 있음을 알수가 있습니다
2. 분포 및 형태
가. 식물형태
원산지가 중국인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및 대만에서 하수오라 하여 한약재로 쓰고 있다. 덩굴은 담갈색을 띠고 시계방향으로 감고 올라가며, 2~3m쯤 자란다. 줄기의 밑부분은 대개 목질이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은 어긋나기로 나며 긴 잎자루가 있고, 길이 4~8cm, 너비 3~5cm 정도 되는데, 줄기 위로 올라갈수록 잎 크기가 작아져 상위엽은 이 크기의 1/3쯤 된다. 잎모양은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넓어져 심장형을 이루는데 잎 가장자리는 굴곡이 없이 매끈하다.
윗면은 진녹색이고 밑면은 연녹색이며 양면이 모두 반들반들하다.
꽃은 8~9월에 흰색의 작은 꽃이 피는데, 양성화로 수술은 8개이고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져 있다. 꽃잎은 없으며 꽃차례는 어긋나기로 붙는다. 열매는 농갈색을 띤 모난 3각형의 방추형이다.
뿌리는 땅속으로 뻗으면서 비대한 덩이뿌리를 형성한다. 형성된 괴근은 방추형을 이루고 있어서 고구마와 비슷한 모양인데 겉껍질은 적갈색을 띤다. 괴근을 잘라보면 절단면 중앙 부분은 유백색 바탕에 담황색의 무늬가 있다. 냄새는 거의 없고 맛은 조금 쓰며 떫다.
3. 성분 품질 이용
가. 성분과 약리효능
하수오 뿌리에 전분 45.2%, 조지방 3.1%, lecithin 3.7%, anthraquinone류 1.8% 등이 함유되어 있다(中藥大事典, 1977 ; 生藥學, 1994). Anthraquinone류 중 대부분이 chrysophanol과 emodin이고 그 다음이 rhein 그리고 physcione 등이 미량 들어 있다. 함유되어 있는 레시틴은 신경조직을 구성하고 특히 뇌척수의 주요성분이다. 또한 혈구 및 기타 세포막의 중요한 원료이며, 혈구의 신생과 발육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콜레스테롤 흡수량을 감소시키고 콜레스테롤이 간장내 침착하는 것을 억제하여 동맥 경화를 경감하는 작용을 가진다. 안트라퀴논 유도체는 장관의 연동을 촉진하는 작용을 가지므로 약한 설사작용을 일으킨다. 따라서 하수오는 신체허약 혹은 병후허약에 따른 변비에 적합하다(韓方醫藥大辭典, 1990).
나. 용도
하수오는 한방에서 보혈(補血), 강장(强壯), 강정(强精), 동맥경화(動脈硬化), 백모(白毛), 신체허약(身體虛弱), 신경쇠약(神經衰弱), 변비(便秘) 등에 약재로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차, 술, 쥬스 등으로 개발되어 소비되고 있으며, 피부 미용제나 화장품 원료로 다량 사용되고 있다. 줄기(야교등)은 안신거풍약, 땀을 멈추는 약, 경략을 든든히 하는 약으로서 잠이 오지 않으면서 땀이 많을 때, 몸이 아프고 빈혈일 때 쓴다. 하수오 뿌리 달임약은 강장강정약으로 머리칼이 일찍 희여지고 허리와 무릎이 저리며 아픈 때에 쓴다(약초의 성분과 이용, 1994).
4. 재배환경
가. 기후
우리 나라 전지역에서 재배 가능하나, 서늘한 기후 조건에서 덩이
뿌리의 비대가 잘된다.
이것도 제가 현장에서 채취해보니 아랫지방보다 윗지방것이 덩이가
더단단하고 잔덩이도 적고 큰덩이들이 많이 나오네요
나. 토양
사질양토나 퇴적토로서 유기물 함량이 많으며, 토심이 20~40cm 정도, 배수가 잘 되는 곳이 적지이다. 참흙이 많은 밭은 덩이뿌리의 비대가 나쁘고, 수확이 힘들다. 사질토양에서는 잔뿌리가 많이 뻗고 덩이뿌리의 비대가 잘 안되며, 자갈이 많은 밭에서는 덩이뿌리의 발달이 좋지 않고 모양도 나쁘다.
토심이 너무 낮으면 뿌리 뻗음이 나쁘고, 지나치게 토심이 깊은 곳에서는 덩이 뿌리가 잘 생기지 않으며, 생기더라도 잘 비대하지 않고 길게 뻗어 품질이 떨어진다.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는 뿌리 생장이 불량하거나 뿌리가 썩기 쉬우므로 배수에 신경을 써야 한다.
5. 재배법
가. 번식
하수오의 번식은 종자, 삽목 및 뿌리줄기(根莖) 나누기로 한다.

종자 삽수(줄기) 뿌리줄기(根莖)
뿌리줄기 근경은 줄기와 덩이뿌리를 이어주는 줄기를 말하며 삽수줄기보다 이것으로
심으면 덩이 뿌리가 더굵어 진다고 합니다 그리고 제경험으로는 봄에서 가을까지
언제든지 삽목은 가능하다고 봅니다
(1) 뿌리줄기 나누기 : 뿌리줄기나누기로 증식하면 모주포장의 10~20배에 달하는 면적에 증식이 가능하다. 또한 삽목, 종자번식에 비하여 비용이 적게 들고 이른 봄에 바로 정식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정식에 사용할 뿌리줄기는 가을 수확을 하지 않고 봄수확을 한다. 정식에 적합한 4월 중순경에 수확과 동시에 뿌리줄기를 전부 캐내어 뿌리줄기 나누기를 한다. 뿌리줄기 나누기는 부정근이 나와 있는 뿌리줄기를 3~4마디씩 잘라서 2~3마디는 땅속에 묻고 1마디만 지표면에 약간 보일 정도로 심으면 된다.
(2) 삽목 번식 : 늦가을에 충실하게 자란 덩굴을 선별하여 1m 정도 잘라서 다발을 지어 움저장하였다가 4월 중순경에 10~15cm로 삽수를 조제한 후 7~12cm 정도 깊이로 묻고 마르지 않게 수분 관리만 잘하면 쉽게 뿌리가 나온다. 7월 장마기에 충실한 녹지(당년 발생덩굴)를 10~15cm 길이로 잘라 삽목하고 수분관리를 잘하면 뿌리가 쉽게 발생된다.

? 파종기 : ’04. 4. 7, 수확기 : ’05. 10. 31
? 지주 설치 : Ⅰ형 네트지주
※ 하수오 종자번식에 비해 삽목과 근경 번식시 수량이 10~37% 증수됨
(’05. 충북도원)
나. 정식
정식은 4월 중순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기비로는 10a당 퇴비 2,000kg, 질소 14kg, 인산 12kg, 가리 8kg을 시용하되 질소는 50%, 인산, 가리는 전량을 뿌린 다음 경운하여 정지해 놓는다. 이랑은 너비 30cm, 깊이 10cm로 만든 후 모를 20cm 간격으로 늘어놓고 머리 부분이 약간 보이게 심는다. 나머지 질소 50%는 8월 중순에 추비로 시용한다.
다. 본밭관리
덩굴이 20cm 정도 자라면 덩굴을 올릴 지주를 설치하여 덩굴을 유인해 주어야 하고 잡초의 발생을 억제시켜 주어야 한다. 8월 상순에는 웃거름을 주되 질소가 과다하다고 보일 때는 질소 시비량을 줄여서 시용하는 것이 좋다.
4. 병해충 방제
가. 여름의 고온다습시 엽반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통풍과 채광에 주의한다. 보르도액을 분무하여 예방과 치료에 사용해도 된다.
나. 고자리(쉬파리의 유충)와 굼벵이, 거세미 등이 발생하여 뿌리에 피해를 주므로 가급적이면 냄새가 심한 인분(人糞)이나 미숙계분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식재전에 토양살충제를 살포해야 하며, 고자리 파리 등의 방제 농약을 시용하여 재배하는 것이 좋으나 하수오에 고시된 농약이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5. 수확 조제
가. 수확 방법
수확은 보통 심은 후 3년째 가을에 실시하는 데 채종하고자 할 때에는 이듬해 봄에 수확한다. 뿌리가 굵은 것만 수확하고, 가는 뿌리는 다시 밭에 옮겨 심어 1~2년 더 재배하여 굵은 뿌리로 수확한다.
나. 건조와 조제
수확한 뿌리는 물에 깨끗이 씻은 다음 솥에 고구마를 찌듯이 찐다. 찐 것을 꺼내어 벌크 건조기 등에서 60℃ 온도로 건조시키면 7~8일 만에 완전히 건조된다. 적하수오의 생뿌리를 쪼개 보면 연한 담홍색이지만 솥에 몇 번 찌면 점점 더 붉어진다. 한방에서는 구증구폭(九蒸九曝)이라 하여 아홉 번 찌고 아홉 번 말려야 약효가 좋다고 한다.
말린 하수오 뿌리는 방추형 또는 덩어리 모양을 나타낸다. 길이는 6~15cm, 굵은 부분은 지름이 3~12cm가 되며 표면은 적갈색이거나 자갈색이고 가지런하지 않은 세로 홈이 있으며 울퉁불퉁하다. 횡단면은 연한 적갈색이거나 연한 황갈색을 띠며 냄새는 없고 맛은 쓰며 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