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45년
† 8월 15일 수요일 일제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남
† 8월 15일 수요일 미국과 소련에 의해 38선이 설치되어 남북이 분단됨
♧ 1946년
† 11월 13일 수요일 서울역발 天安행 통학 통근열차가 영등포역 구내로 돌입할 즈음 역구내에서 入換하고 있던 3170열차와 정면 충돌하여 사망 412명과 부상 702명을 낸 대참사 발생 (화재까지 발생, 통학생 다수 사망)
♧ 1948년
† 8월 15일 일요일 남한 자유민주정부 수립
† 9월 9일 목요일 북한 공산독재정권 수립
♧ 1950년
† 6월 25일 일요일 북한공산정권의 침략으로 남북한간 전쟁 발발
♧ 1953년
† 1월 9일 금요일 밤10시 40분경 부산시 다대동 서남쪽 8km해상에서 창경호가 침몰하여 330명 사망
† 7월 27일 월요일 6.25전쟁 휴전협정 조인(국제연합군총사령관, 북한군최고사령관, 중국인민지원군사령관)
* 남북한 분단선인 '38선'이 '휴전선'으로 변경됨
♧ 1956년
† 6월 6일 수요일 제1회 현충일 추념식 거행
♧ 1959년
† 9월 17일 목요일(추석 당일) 태풍 '사라' 한반도 통과, 막대한 피해 발생 (사망.실종 849명, 이재민 373,459명, 최저 기압 952hPa)
♧ 1962년
† 6월 10일 일요일 화폐 개혁 ( 환圜 → 원圓 )
♧ 1963년
† 1월 18일 금요일 오전 11시경 전남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 가지도 앞바다에서 선박 연호(燕湖)가 침몰하여 140명 사망
† 9월 15일 일요일 우리나라 최초 라면인 '三養라-면' 출시
♧ 1964년
† 7월 18일 토요일 베트남전쟁에 한국군 참전 개시 (1973년 3월 23일 금요일 파병 종료, 8년 8개월간 지속)
♧ 1967년
† 7월 1일 토요일 박정희 대통령 취임식
† 8월 26일 토요일 전투경찰대 발족
♧ 1968년
† 1월 21일 일요일 북한, 무장공비 31명 서울 침투 / 국군 33명, 경찰관 2명 전사
† 1월 22일 월요일 대간첩작전본부 발족
† 1월 23일 화요일 북한, 미군 푸에블로호 납치
† 2월 1일 목요일 경부고속도로 착공
† 4월 1일 월요일 향토예비군 창설
† 10월 30일~11월 2일 북한 무장공비 120명 3일간 울진, 삼척지역으로 침투(12.28까지 섬멸 작전 실시)
※ 개요
- 10월 30일 30명 울진군 북면, 11월 1일 30명 울진군 북면, 11월 2일 60명 삼척시 원덕읍으로 각각 침투
- 무장공비 : 사살 107명, 생포 4명, 자수 3명, 도주 6명
- 아군 : 전사 34명, 부상 50명 및 민간인 피살 31명
- "이승복" 일가족 4명 피살(12월 9일 평창군 진부면에서 )
* 2013.11.7.(목) 국방일보 3면 보도에 의하면 사살 111명, 생포 5명, 자수 2명임.
† 11월 6일 수요일 월남 평화협상 시작(제네바)
† 12월 5일 목요일 국민교육헌장 발표
♧ 1969년
† 7월 20일 일요일 미국 우주선 아폴로11호 달표면 착륙
† 12월 11일 목요일 북한 공작원에 의한 대한항공 YS-11기 납치사건 발생
♧ 1970년 ... 새마을운동 시작
† 3월 31일 화요일 일본 적군파에 의한 요도호(JAL 351편) 여객기 납치 사건 발생
† 4월 8일 수요일 와우시민아파트 붕괴 사고 (33명 사망)
† 7월 7일 화요일 경부고속도로 준공식
† 8월 6일 목요일 국방과학연구소 설립
† 12월 14일 월요일 오전 1시 15분경 전남 여수시 동남쪽 해상에서 남영호(제주→부산 운행중)가 침몰하여 326명 사망
♧ 1971년
† 1월 23일 토요일 오후 1시 43분경 대한항공F-27기 홍천 상공에서 공중납북 미수사건 발생(고성 초도리 바닷가에 불시착)
† 8월 23일 월요일 실미도 공작원 24명 서울 진입 사건(24명 중 20명 현장에서 즉사, 4명 1972.3. 사형집행)
† 12월 25일 토요일 서울 대연각호텔 화재 사고(170명 사망)
♧ 1972년 - 10월유신
† 7월 4일 화요일 7ㆍ4남북공동성명 발표
† 11월 21일 유신헌법(7차 헌법개헌) 국민투표 실시 확정, 12.27 공포
♧ 1973년
† 3월 23일 금요일 월남 파병 철수 완료
† 5월 30일 수요일 ~ 6월 3일 일요일 빌리그레이엄 목사 전도집회(여의도광장)
† 8월 8일 수요일 김대중 납치사건
♧ 1974년
† 2월 22일 금요일 통영 앞바다에서 해군YTL정이 침몰하여 해군 장병 159명 순직
† 8월 13일 화요일 ~ 18일 일요일 EXplo'74 (여의도광장)
† 8월 15일 목요일 육영수 여사, 광복절 경축식 참석 중 재일교포 문세광의 총탄에 맞아 서거
† 11월 15일 금요일 남침용 첫 땅굴(제1땅굴) 발견
- 당시 비무장지대 수색작전 중이던 구중섭 선임하사가 땅에서 수증기가 피어오르는 것을 보고 발견
♧ 1975년
† 3월 19일 수요일 남침용 제2땅굴 발견
† 4월 30일 수요일 베트남 전쟁 종료
† 9월 22일 월요일 민방위대 창설
♧ 1976년
† 1월 17일 토요일 경북 울릉군 천부항 20m 해상에서 만덕호가 기관고장으로 침몰하여 37명 사망
† 8월 18일 수요일 북한군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에서 집단 도끼 만행으로 미군 장교 2명 살해
♧ 1977년
† 11월 11일 금요일 이리역 폭발 사고 (59명 사망)
† 12월 17일 토요일 구마고속도로 개통
♧ 1978년
† 10월 17일 화요일 남침용 제3땅굴 발견
† 11월 7일 화요일 한미연합사령부 발족
♧ 1979년
† 10월 26일 금요일 박정희 대통령,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총탄에 맞아 서거
† 12월 12일 수요일 보안사령관 전두환 군사반란 일으켜 정권 장악
♧ 1980년
† 5월 18일 일요일 광주사태
† 8월 ~ 1981년 1월 전두환정권의 삼청교육대 만행
♧ 1982년
† 4월 26일 월요일 경남 의령경찰서 궁류지서 소속 우범곤 순경이 궁류면 4개 마을 주민들에게 총기를 난사하여
56명이 사망하고 34명이 부상을 입음
*궁류면 평촌리에 "의령4.26 추모공원"과 위령탑을 건립하고 2024.4.26.(금) 오전 10시 첫 위령제 거행
† 10월 16일 토요일 오후 중공군 조종사 오영근(25세) 미그 19전투기 몰고 귀순
♧ 1983년
† 2월 25일 금요일 오전 북괴 공군 소속 상위 이웅평(29세) 중공제 미그19전투기 몰고 귀순
◆ 2002.5.4.사망, 2002.5.9.대전국립묘지 211묘판 4304호에 안장
† 8월 7일 일요일 오후 중공군 조종사 손천근(46세) 미그21전투기 몰고 귀순
† 9월 1일 목요일 대한항공 007편이 뉴욕을 출발, 앵커리지를 경유하여 서울로 향하던 중 정상항로를 벗어나
사할린 근해 소련 영공으로 진입했다는 이유로 소련 전투기가 공격하여 격추된 사고로 승객 240명, 승무원
29명 등 15개국 탑승자 269명 전원 사망
† 10월 9일 일요일 전두환 대통령이 버마(미얀마)를 방문 중에 북한이 저지른 양곤의 아웅산묘역 폭탄 테러가 발생
하여 서석준 부총리 등 17명이 순직하고 15명이 부상.
† 12월 3일 토요일 북한 무장간첩들 5t짜리 반잠수정 타고 부산 다대포 해안으로 침투
♧ 1985년
† 7월 19일 금요일 부산지하철 개통
† 12월 12일 목요일 북한 NPT(핵확산금지조약) 가입
♧ 1986년
† 9월 20일 토요일 제10회 아시안게임 서울에서 개최(10월 5일 일요일까지 16일간)
♧ 1987년
† 1월 14일 수요일 박종철군 고문으로 사망
† 7월 5일 일요일 이한열군 사망(6월 9일 연세대앞에서 대정부 시위중 최루탄에 맞음)
† 6월 29일 월요일 민주정의당 대표인 노태우가 직선제 개헌요구를 받아들이는 특별선언 발표
† 7월 15일 수요일 태풍 '샐마' 한반도 통과, 막대한 피해 발생 (사망.실종 345명, 이재민 99,516명, 최저 기압 970hPa)
† 8월 15일 토요일 독립기념관 개관
† 11월 29일 일요일 이라크 바그다드를 출발하여 서울로 향하던 대한항공 KAL 858편 보잉 707기가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 기착한 후 다시 방콕에 기착하기 위하여 비행하던 중 미얀마 근해에서 북한의 대남 공작원인
김현희와 김승일이 기내에 설치해 놓은 폭약에 의하여 공중 폭파됨. 이 비행기에는 중동에서 귀국하던 해
외 근로자가 대부분인 한국승객 93명과 외국승객 2명, 그리고 승무원 20명 등 115명이 탑승하고 있었으며
전원 사망. (대통령선거 하루 전인 12월 15일 화요일 폭파범 김현희 한국으로 압송)
† 12월 16일 수요일 제13대 대통령 선거(노태우 당선)
♧ 1988년
† 9월 17일 목요일 서울에서 제24회 하계올림픽 개최(10월 2일 금요일까지 16일간)
♧ 1989년
† 5월 3일 수요일 부산동의대 사건으로 경찰관 7명 순직
† 9월 5일 화요일 제1회 응씨배(응창기배) 세계바둑선수권대회(싱가폴)에서 조훈현 9단이 우승
† 11월 9일 목요일 동서독 베를린장벽 무너짐
♧ 1990년
† 3월 3일 토요일 남침용 제4땅굴 발견
♧ 1991년
† 9월 17일 화요일 남북한 동시 유엔가입
† 12월 25일 수요일 소련 해체
♧ 1992년
† 8월 24일 월요일 중화인민공화국과 외교관계 수립
† 10월 28일 수요일 다미선교회 휴거설 불발
† 12월 22일 화요일 현재의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과 외교관계 수립
♧ 1993년
† 3월 12일 금요일 북한 NPT 탈퇴 선언
† 3월 28일 일요일 부산 구포역 열차 전복 사고 (78명 사망)
† 10월 10일 일요일 오전 10시 10분경 전북 부안군 위도면 임수도 부근 해상에서 서해 훼리호가 침몰하여 292명 사망
♧ 1994년
† 7월 8일 금요일 북한 김일성(쥐띠) 사망
† 10월 21일 금요일 서울 성수대교 붕괴 사고 (32명 사망)
† 10월 23일 일요일 6.25전쟁 포로 조창호 육군 소위 탈북 귀환 (1951.4.14. 입대, 6.25전쟁 참전)
* 1994.11.25. 보국훈장 통일장 수여, 1994.11.26. 전역, 1994.12.5.국가보훈처에 보국수훈자로 등록,
2006.11.19. 별세, 2006.11.21. 국립서울현충원 안치(2충혼당 209실 137호)
♧ 1995년
† 4월 28일 금요일 대구 상인동 지하철 공사장 가스폭발 사고 (101명 사망)
† 6월 29일 목요일 오후 5시 57분 서울 서초구 서초동 소재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로 502명 사망
† 10월 24일 화요일 충남 부여에 북한무장간첩 2명 출현(교전 중 경찰관 2명 전사)
† 舊 조선총독부 건물 철거
† 12월 31일 일요일 1인당 국민소득 1만 달러 돌파
♧ 1996년
† 1월 국민학교를 '초등학교'로 명칭 변경
† 9월 18일 수요일 북한 무장공비 26명이 잠수함을 이용 강릉지역 해안으로 침투(11월 6일까지 49일간 소탕 작전)
* 북한 무장공비 : 자살 11, 사살 13, 생포 1, 행불 1
† 12월 12일 목요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 1997년
† 8월 6일 수요일 대한항공 801편 여객기가 괌에 착륙도중 추락하여 228명 사망, 26명 부상
† 11월 26일 수요일 대구지하철 개통
† 12월 3일 수요일 IMF구제금융 요청, 외환위기 발생 (~2001.8.23. 목요일 환란 종료)
♧ 1998년
† 6월 16일 화요일 현대그룹 명예회장이던 정주영씨가 소 500마리를 이끌고 1차 방북하여 무상 제공
† 6월 22일 월요일 속초에 북한잠수정 침투(1998.6.26. 금요일 잠수정 인양)
† 10월 27일 화요일 현대그룹 명예회장이던 정주영씨가 소 501마리를 이끌고 2차 방북하여 무상 제공
† 11월 18일 수요일 북한 금강산 관광 시작
† 12월 17일 목요일 여수에 북한 반잠수정 침투(1999.3.17. 수요일 잠수정 인양)
♧ 1999년
† 6월 6일 일요일 김대중대통령, 국립대전현충원에서 거행된 제44회 현충일 추념식 참석
† 6월 15일 화요일 연평도 인근 해역에서 우리 해군과 북한군 교전(제1연평해전)
† 6월 30일 수요일 경기도 화성 소재 씨랜드청소년수련원 화재사고로 유치원생 19명 포함 23명이 사망
† 10월 6일 수요일 인천지하철 개통
† 10월 30일 토요일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중고생 52명 포함 57명 사망, 78명 부상)
♧ 2000년
† 6월 13일 화요일~15일 목요일 김대중대통령(이희호여사 동행), 평양에서 김정일과 남북정상회담 개최
♧ 2001년
† 9월 11일 화요일 항공기 납치 동시 다발 자살테러로 인해 미국 뉴욕의 110층짜리 세계무역센터(WTC) 쌍둥이 빌딩 붕괴
♧ 2002년
† 4월 15일 월요일 오전 11시 45분경 중국국제항공(Air China) 소속 CCA129편 보잉 767-200ER 여객기가 김해국제공항에서 4.6km 떨어진 경남 김해시 지내동 동원아파트 뒤편의 돗대산(해발 380m) 기슭에 추락하여 한국인 136명과 중국인이 대부분인 외국인 19명 등 승객 155명과 승무원 12명 총 167명의 탑승객 중 129명이 사망 ('나무위키'에서 인용/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 나무위키 (namu.wiki )
† 5월 31일 금요일 ~ 6월 30일 일요일 한일 월드컵 개최(우리나라 성적 4위)
† 6월 13일 목요일 경기도 양주에서 신효순, 심미선 두 학생이 보행 중 미군 장갑차에 치어 사망
† 6월 29일 토요일 서해 해상에서 남북간에 교전이 벌어져 해군장병 6명이 사망하고 18명이 부상당함(제2연평해전)
† 8월 31일 토요일 태풍 '루사' 한반도 통과, 막대한 피해 발생 (사망.실종 246명, 이재민 63,085명, 최저 기압 970hPa)
† 11월 16일 토요일 중국 광동에서 사스(SARS) 바이러스 발생
♧ 2003년
† 2월 18일 화요일 오전 9시 53분 대구 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 지하철 화재 사고로 213명 사망
† 9월 11일 목요일(추석 당일) 태풍 '매미' 한반도 통과, 막대한 피해 발생 (사망.실종 131명, 이재민 61,844명, 최저 기압 950hPa)
† 12월 24일 수요일 6.25전쟁 포로 전용일 육군 하사 탈북 귀환 (1951.12.22. 입대, 6.25전쟁 참전)
* 2004.1.19. 전역, 2004.1.국가보훈처에 참전유공자로 등록,
2008.7.5. 별세, 2008.7.7. 국립대전현충원 안장(사병3묘역 302묘판 28995 묘소)
♧ 2004년
† 4월 1일 목요일 경부고속철도(KTX) 1단계 구간(서울~대구) 개통
† 4월 28일 수요일 광주지하철 개통
† 12월 26일 일요일 인도네시아 지진 해일 대재앙
♧ 2005년
† 3월 31 일 목요일 호주제 폐지 시행
† 6월 19일 일요일 G.P 총기난사사건(8명 순직, 4명 부상)
† 7월 1 일 금요일 관공서와 공기업 주5일제 근무 공식적으로 시작
♧ 2006년
† 3월 16일 목요일 대전지하철 개통
† 7월 1일 토요일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 7월 5일 수요일 북한, 대포동 2호 미사일 시험 발사
† 10월 9일 월요일 북한, 1차 핵 실험
† 12월 31일 일요일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 돌파 (1만달러 돌파 후 11년만에)
♧ 2007년
† 7월 19일 목요일 탈레반 한국인 납치사건 발생 /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23명(남자 7명, 여자 16명)이 탈레반 무장 세력에 납치 - 2명 살해 당함
† 12월 7일 금요일 충남 태안 앞바다에 대량의 기름 유출 사고 발생(많은 국민들이 기름제거 봉사활동 참여)
♧ 2008년
† 2월 10일 일요일 밤 숭례문, 방화(放火)로 붕괴(11일 화재진압)
† 7월 11일 금요일 새벽 금강산 관광객 박왕자씨가 금강산 해수욕장에서 북한군 총격에 의해 사망 (금강산관광 중단됨)
† 7월 13일 일요일 금강산 관광 중단
† 9월부터 국제금융위기 시작
♧ 2009년
† 1월 20일 화요일 용산에서 철거민들과 경찰이 대치하여 경찰특공대 1명(김남훈 경사)과 철거민 5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
† 5월 23일 토요일 아침 노무현대통령이 자택 뒷산에서 투신 자살
† 5월 25일 월요일 북한 2차 핵실험
† 11월 10일 화요일 서해 대청도 인근 해역에서 우리 해군과 북한군 교전(대청해전)
♧ 2010년
† 3월 26일 금요일 서해 백령도 인근 해상에서 해군 2함대 소속 1,200톤 급 초계함 천안함이 북한군의 공격으로
침몰하여 해군 장병 46명 사망.
† 7월 1일 목요일 국제평화지원단(온누리 부대) 창설 (해외에 파견돼 유엔 평화유지활동 또는 다국적군 평화
활동 임무 수행)
† 11월 1일 월요일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동대구~부산) 개통
† 11월 23일 화요일 북한군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응전과정에서 해병대 장병 2명 사망.
♧ 2011년
† 7월 27일 수요일 춘천으로 초등학생 발명캠프 봉사활동을 간 인하대학교 학생 10명과 인근 주민 3명이 한밤중에 집중폭으로 인한 산사태로 매몰되어 사망(산사태 위험 1등급지였다고 함)
† 12월 17일 토요일 북한 김정일(말띠) 69세로 사망
♧ 2012년
† 4월 11일 수요일 북한 김정은(돼지띠) 정권 세습
† 7월 1일 일요일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 12월 19일 수요일 제18대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박근혜 당선, 2013.2.25.취임식)
♧ 2013년
† 2월 12일 화요일 오전 11시 57분 함경북도 길주군 지하핵시험장에서 북한 3차 핵실험.
† 7월 18일 목요일 충남 태안군 안면도에서 사설 해병대캠프 참여중이던 공주사대부고 학생 5명 익사
♧ 2014년
† 2월 17일 월요일 부산외국어대학생 수련회중 행사장 붕괴로 10명 사망, 100여명 부상(경주마리나리조트)
* 사고로 사망한 '고혜륜'양의 부친께서 따님의 보상금을 기부하여 호주 동쪽 섬나라인 바누아투에 유치원과 초등학교를
설립, 2016년 8월 개교하였으며, 이어서 부친의 지인이 중,고등학교를 설립하였습니다. (2023.2.25.중앙일보 인용)
† 4월 16일 수요일 청해진해운 소유 여객선 세월호 침몰사고(탑승자 476명 : 구조 172명, 시신인양 295명, 실종 9명)
† 10월 17일 금요일 저녁 판교테크노밸리 소재 공연행사장 환풍구덮개 붕괴사고로 16명 사망, 9명 중상, 2명 경상
† 2015년까지 에볼라바이러스 유행(아프리카, 스페인, 미국 등에서 사망자 11,020명 발생)
♧ 2015년
† 6월 전염병 중동호흡기증후군바이러스(MERS) 강타-8월 18일 현재 확진 186명, 사망 36명, 격리 후 해제 16,693명
† 8월 4일 화요일 오전 7시35분과 40분에 파주 비무장지대에서 수색중이던 병사 2명이 북한군이 매설해 놓은 목함지뢰 폭발로 다리 절단의 중상을 입음
† 8월 22일~25일 남북 고위급회담 개최(판문점)
-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홍용표 통일부장관, 황병서 군총정치국장, 김양건 노동당대남정책비서
† 9월 3일 목요일 박근혜대통령, 중국 전승절 행사 열병식 참관
† 9월 5일 토요일 오후 8시경 추자도 인근 바다에서 낚싯배인 돌고래호 전복사고로 15명 사망
♧ 2016년
† 1월 6일 수요일 북한, 4차 핵실험 강행
† 2월 10일 수요일 남한, 개성공단 폐쇄 조치
† 7월 주한미군 사드(THAAD) 배치 결정
† 9월 12일 월요일 경북 경주에서 5.8규모 역대 최대 지진 발생
† 11월 8일 미국 제45대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당선
† 11월~12월 최순실 국가시스템 농락사건 , 대규모 촛불집회
† 12월 9일 금요일 국회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 의결
♧ 2017년
† 2월 13일 월요일 북한 김정남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피살
† 3월 10일 금요일 오전 11시 21분 헌법재판소 결정으로 제18대 박근혜대통령 파면
† 4월 29일 토요일 오전 5시 30분경 평남 북창 일대에서 탄도미사일 발사(공중폭발로 실패)
† 5월 9일 화요일 제19대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문재인 당선, 5.10 취임식)
† 7월 4일 화요일 오전 9시 40분경 평북 방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화성-14형) 발사
† 9월 3일 일요일 오후 12시 북한 제6차 핵실험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 11월 15일 수요일 오후 2시 29분 경북 포항에서 규모 5.4 지진 발생
† 11월 29일 수요일 새벽 3시 17분경 평남 평성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 12월 3일 일요일 오전 6시 9분경 낚싯배인 선창1호가 급유선에 받혀 전복, 22명 중 15명 사망
♧ 2018년
† 1월 2일 화요일 북한 김정은, 신년사에서 남북대화 의사표시
† 3월 22일~27일 (목~화) 북한 김정은, 베이징 방문 시진핑과 회담
† 4월 1일 일요일 북한 김정은, 평양에서 남한 예술단 공연 관람 및 기념 촬영
† 4월 27일 금요일 문재인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판문점에서 회담 개최 및 공동선언문 발표
† 6월 6일 수요일 문재인대통령, 국립대전현충원에서 거행된 제63회 현충일 추념식 참석
† 6월12 일 화요일 북한의 김정은과 미국 대통령 트럼프 싱가포르에서 수뇌회담
† 6월13 일 수요일 제7회 동시지방선거 실시 - 여권(與圈,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참패(비참하게 패함)
† 7월 ~ 8월 사상 최고의 폭염으로 국민들 괴로운 나날(한밤중 실내온도 30℃ 이상 지속됨)
† 12월 31일 월요일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돌파 (2만달러 돌파 후 12년만에)
♧ 2019년
† 8월 28일 수요일 일본. 한국을 백색국가(수출심사 우대국)에서 제외 - 일본제품 불매운동 촉발
♧ 2020년
† 1월 ~ 12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COVID-19(우한폐렴) 전세계 유행(중국에서 시작)
† 4월 15일 수요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당(더불어민주당)이 압승
† 7월 ~ 8월 장마철 폭우로 전국 곳곳 침수, 산사태, 하천범람 등 막대한 피해
† 9월 21일 월요일 해양수산부 소속 공무원 북한군에 의해 피격 사망사건 발생 / 21일 오전 11시 30분경 해양수산부 서해어업지도관리단 소속 무궁화 10호 어업지도원인 해양수산서기 이모씨(47세)가 연평도 서쪽 NLL인근 해상에서 실종된 뒤 22일 화요일 오후 9시 30분경 NLL북쪽 해상에서 북한군의 총격에 의해 피살 - 정부 미온적 대응
♧ 2021년
† 1월 ~ 신종코로나바이러스 COVID-19(우한폐렴) 전세계 계속 유행 - 백신 접종 시작
† 7월 23일~8월 8일 제32회 도쿄 하계올림픽 개최
♧ 2022년
† 1월 ~ 신종코로나바이러스 COVID-19 전세계 계속 유행 - 오미크론변이 대유행
† 2월 4일~2월 20일 제24회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
† 2월 24일 목요일 러시아(대통령 푸틴)가 우크라이나 침공
† 3월 9일 수요일 제20대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윤석열 당선, 5.10 취임식)
† 6월 21일 화요일 16:00 대한민국 독자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
† 7월 8일 금요일 아베신조 前 일본 총리 총격으로 피살(범인 - 야마가미 테츠야)
† 7월 29일 금요일 국산 초음속 전투기 KF-21 시험비행 성공(19일 1차, 29일 2차 / 박시몽박사 공로)
† 8월 5일 금요일 08:08 대한민국 첫 달 탐사선 '다누리' 발사 성공 - 미국 Florida주 Cape Canaveral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Falcon 9' 발사체에 실려.
† 8월 8일 월요일 ~ 8.9 화요일 수도권 사상 유례없는 집중폭우 (누적 최고 강수량 525mm)
†10월 29일 토요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서 핼러윈을 즐기던 인파가 압사사고로 다수의 인명피해 발생
(사망 159명/ 남성57, 여성 102 / 한국인 133, 외국인 26 / 부상 196명 - 중상 31, 경상 165)
♧ 2023년
† 1월 13일 금요일 인구 100만 명 이상 4개시(고양시 수원시 용인시 창원시) 특례시로 지정
† 1월 30일 코로나바이러스 COVID-19로 인한 실내 마스크 착용규제 대부분 해제
† 2월 6일 월요일 새벽 튀르키예 남동부지역에 진도 7.8 대지진 발생, 인명 및 재산 막대한 피해
† 3월 12일 일요일 대전광역시 신탄진에 위치한 한국타이어 공장에서 초대형 화재발생(58시간 지속)
† 4월 5일 수요일 오전 9시 45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소재 정자교 인도 붕괴사고로 1명 사망, 1명 중상
† 5월 31일 수요일 WHO, 코로나바이러스 COVID-19 공중보건 비상사태 해제 (3년 4개월만에)
† 6월 9일 금요일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 8월 1일~12일 새만금에서 2023세계잼버리대회 개최(39,304명 참가) - 준비부족, 엉망진창 진행으로 국격 망신살
♧ 2024년
† 6월 24일 월요일 오전 10시 30분경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소재 아리셀공장 화재로 내외국인 23명 사망
† 7월 1일 월요일 밤 9시 27분경 서울시청역 인근 교차로에서 인도로 돌진한 역주행 차에 치어 시민 9명 사망
† 10월 10일 목요일 스웨덴 한림원이 소설가 한강(54세)씨가 2024년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음을 발표
† 10월 27일 일요일 오후 차별금지법 반대 100만 기독교인 연합집회(광화문-시청-숭례문-서울역)
† 11월 27 수요일 전국적인 폭설, 대설경보 발령(첫눈, 수도권 10cm이상 적설)
† 12월 3일 화요일 오후 10시 30분 윤석열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 12월 4일 수요일 새벽 1시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 의결(찬성 190, 국민의힘 불참)
† 12월 14일 토요일 오후 5시 국회에서 윤석열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찬성204 : 반대85)
† 12월 14일 토요일 오후 7시 24분 윤석열대통령 직무정지(권한대행 국무총리 한덕수)
† 12월 29일 일요일 오전 9시 3분경 전남 무안공항에 제주항공 2216편 항공기가 동체착륙 시도중 활주로를 이탈 콘크리트벽에
충돌 폭발하여 승객 175명과 승무원 6명 총 181명 중 승무원 2명 생존 나머지 179명 사망
♧ 2025년
† 1월 20일 월요일 미국 제47대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취임
† 2월 10일 월요일 오후 4시 50분경 대전 서구 관저동 소재 대전선유초등학교에서 48세 명 모 여교사가 김하늘(8세) 어린이
무참히 살해
† 3월 일 요일 대한민국 초유의 대규모 산불 발생 (경북 의성, 안동, 청송, 영덕, 경남 산청)
† 3월 28일 금요일 오후 12시 50분 54초(현지 시각)에 미얀마에서 규모 7.7 강진 발생
† 4월 4일 금요일 11:22 헌법재판소 선고에 의해 윤석열대통령 파면(8:0 재판관 전원일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