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사론 한글풀이 한글모음
☞ 정사론 한글풀이 유튜브 동영상
☞ 정사론 영인본 활자본 나란히 읽기
정사론 한글 풀이 목차
☞ 서론 余幼讀六藝之文而皆不能翫
☞ 사론 天地初正三皇始出帝王之道
☞ 제1 正己正心之道以己爲正以正
☞ 제2 左右之臂各有三節者次手腕
☞ 제3 射侯畫布整齊須有十心十精
☞ 제4 學射之法使以習於弓後
☞ 제5 六兩之道以擧爲法以執爲道
☞ 제6 持彎放射之法前肱後肱者擧
☞ 제7 爲師之道若不能知其骨節之
☞ 제8 作射步度之行如水之行舟舟
☞ 제9 師者武以使曰皆可師也可師
☞ 제10 古來穿柳之奇貫蝨之妙惟晝
☞ 제11 我東柳規典尺爲步者爲一百
☞ 제12 正己之射立容德頭容直色容
☞ 제13 手腕臂肱肩髆者旣爲前擧三
☞ 제14 有形之虛實其實也者擧之前
☞ 제15 正心之射非徒射帿之正心心者
☞ 제16 示其革而以兩目示而射之論
☞ 제17 善射謂之一者非徒善射一者
☞ 제18 善射剛弓者必有多射成道故
☞ 제19 箭去不疾者旣虛之類己不得
☞ 제20 取射論射問道訓道在至於至
☞ 제21項長肩卑者射之順也項短肩
☞ 제22 面與體射之我也臂與節射之
☞ 맺음말 第右二十二篇論本原者第正
☞ 발문 植方年十七甲申始之步射至
정사론에 쓰인 관용어구 모음 바로가기
☞ 정사론에 쓰인 관용어구 모음, 若, 則
☞ 정사론에 쓰인 관용어구 모음, 종결사 也 耳 已 矣 哉 焉
☞ 정사론에 쓰인 관용어구 모음 所, 之所
☞ 정사론에 쓰인 관용어구 모음, 雖, 猶
☞ 정사론에 쓰인 관용어구 모음, 者
☞ 정사론에 쓰인 관용어구 모음, 非徒
정사론 관련 자료 모음
☞ 서론 임성군 이정(李正)과 사소급원(射疏及遠)
☞ 사론 상고 시대에서의 활쏘기의 의미
☞ 사론「사의」확상지포
☞ 사론 예(羿)를 탐하다
☞ 제1 집궁제원칙과 정사론
☞ 제1 정사론의 호흡법 추정
☞ 제 1 듣기와 근막경선
☞ 제1 [하이사 하이청]에 대한 고찰
☞ 제1 궁도구계훈에 대한 단상
☞ 제3 십심십정에 대한 계수적 고찰
☞ 제3 결(决)과 결(𢎹)에 대한 고찰
☞ 제3 선사종송(善射縱送)
☞ 제4 활쏘기와 간성[干城]
☞ 제4 거궁(巨弓)에 대한 단상
☞ 제5 [所墮所料]와 머리 꼿꼿이 하기
☞ 제5 정사론 제5 의 신체 부위
☞ 제5 [리]의 동작 추정 : 빗장뼈의 작용점을 중심으로
☞ 제5 료[料]와 득[得]
☞ 제5 [리]의 동작 추정 : 견갑 하강 운동을 중심으로
☞ 제5 중도이립에 대한 고찰
☞ 제5 후궁반장과 전신사
☞ 제6 우주지홍황이뇌
☞ 제7 타와 리의 동작 고찰
☞ 제7 외수견갑
☞ 제7 외수견갑(外收肩胛)의 해석
☞ 제7 순수(順數)에 관한 고찰
☞ 제10 사불오가[四不五可]와 지사
☞ 제11 일백이십보
☞ 제12 과녁과 정부정
☞ 제12 활쏘기의 3 영역
☞ 제12 정사론에서의 [전]과 [후]의 개념
☞ 제12 [체직]과 [정기]
☞ 제12 자세 꼿꼿이 세우고 힘쓰기에 대한 고찰
☞ 제12 정사론에서의 [원]과 [방]의 고찰
☞ 제 12 「만장」편과 전무구력
☞ 제12 경주 첨성대와 원방각(圓方角)
☞ 제12 첨성대 원주부 블록 편향 비율에 관한 고찰
☞ 제12 정사론과 제자체태일
☞ 제12 구지봉과 원방각
☞ 제13 잠김효과에 관한 고찰
☞ 제13 기욕여구[己欲如邱]의 중의적 의미
☞ 제14 힘주고 걷기와 정사론에서의 형[形]
☞ 제16 정사론 제16 에서의 겨냥법 고찰
☞ 제16 우세안(Eye dominance)과 조준법에 대한 고찰
☞ 제17 등보[登步]와 활쏘기
☞ 제17 선사일자
☞ 제17 상하 전후 좌우
☞ 제18 정사론과 강궁쏘기
☞ 제19 오늬 높이와 살걸음
☞ 제19 전방요전과 정사론에서의 궁실
☞ 제20 [연시렴이]와 [전저후단]
☞ 제21 정사론의 성격 고찰, 수법(手法)에 대하여
☞ 제21 충격력과 [후집
☞ 제21 몸통 내리기에 관한 고찰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Ⅰ: 객체에 걸리는 인장력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Ⅱ : 주체에 걸리는 인장력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Ⅲ : 나를 당기다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Ⅳ : 힘 빼고 활 당기기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Ⅴ : 3종 지레로서의 견갑의 움직임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Ⅵ : 몸통의 잠김현상과 압축효과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Ⅶ : 천지사방과 적극적 확장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Ⅷ : 견갑 잠김 현상과 수직의 힘쓰기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Ⅸ : 분문 조이기의 방향성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Ⅹ: 11경로의 수직군과 대각군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XI : 주력 동인으로서의 표면전방선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XII : 활병의 원인으로서의 몸통의 힘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XIII : 11경로와 호흡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ⅩⅣ : 줌팔로 당겨서 활 벌리기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ⅩⅤ : 시원체조(始圓體操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ⅩⅥ : 몸의 중심에서 당기기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ⅩⅦ : 팔부법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ⅩⅧ : 하체의 힘쓰기 방향성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ⅩⅨ : 잠김효과와 내력
☞ 제21 '당기다'에 관한 고찰 ⅩⅩ : 근막경선과 료(料)
☞ 제21 은외불립(隱外不立)의 해석
☞ 제21 항장견비자Ⅰ : 흉곽 내리기
☞ 제21 항장견비자Ⅱ : 견갑 내리기
☞ 제21 항장견비자Ⅲ : 허리 내리기
☞ 제21 항장견비자Ⅳ : 후면요고자
☞ 제21 항장견비자Ⅴ : 견비와 수단
☞ 제22 제22, 끝판왕과 지게꾼
☞ 제22 견갑의 발산과 수렴 - 정사론의 동작을 중심으로
☞ 제22 온몬으로 당기기 요약본
☞ 맺음말 사예, 궁도와 궁술
☞ 맺음말 화호불성(畵虎不成)
☞ 발문 장언식 공의 인생 역정
☞ 정사론 영인본 활자본 나란히 읽기
☞ 정사론 한글풀이 유튜브 동영상
☞ 정사론 한글풀이 한글모음
카페 게시글
정사론의 활쏘기
정사론 한글 풀이 목차
西路 홍성우
추천 0
조회 1,115
15.11.16 13:45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