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인토피아 봉화’ 등 지역 브랜드 특화할 수 있는 길 열리길
▲ 박노욱 봉화군수 <사진 = 조준호 기자> |
[일요서울 Ⅰ서원호 기획취재국장] 박노욱 경상북도 봉화군수는 “지금 우리 농촌은 고령화와 인구감소, FTA를 통한 농산물개방으로 겪는 어려움을 지방자치단체의 노력과 힘만으로는 단시일에 가시적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하지만 박 군수는 박 대통령이 우리 농촌이 처한 현실을 잘 알기 때문에 ‘제2의 농촌부흥운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박 군수는 이어 “농업이 주력인 봉화군은 ‘농사만 지어도 잘 사는 부농 봉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농축산물 가격안정을 위한 정책으로 한우와 돼지 생산쿼터제를 국가차원에서 도입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박 군수는 또 “사과 배등 주요과수품목 역시 적정면적 유지를 통한 생산조절로 가격안정을 도모해야 한다”며 “과수농가가 과수원을 폐지하고자 하면 충분한 보상을 통해 유럽 선진국처럼 FTA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국가적인 제도방안도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 군수와의 인터뷰는 지난 13일 봉화군청 군수실에서 1시간가량 진행됐다.
다음은 일문일답이다.
박근혜 대통령 시대가 개막됐습니다. 박근혜 정부에 바라는 것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세계경제가 어렵지만 이를 잘 극복해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 달라는 국민의 바람을 잘 실현해 사랑과 존경을 받는 대통령이 되시길 바랍니다.
봉화군은 과거 경북 북부내륙과 강원도, 동해안을 연결하는 요충지로 1967년 한때 인구 12만 명의 활력이 넘쳤습니다만 이농현상 등으로 계속 줄어 지금은 3만5000 명 수준입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만 도로망이 제대로 안 됐던 것도 큰 원인입니다.
봉화·태백 간 31번국도, 봉화·울진 간 36번국도, 봉화·안동 35번국도 확장, 봉화·영월 간 88국지도, 봉화·영양 918지방도, 안동·물야 간 915번 지방도를 조속히 확충해 다가오는 국립수목원 개장과 신도청의 북부권 이전 등 늘어나는 교통수요에 적극 대비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새로운 대통령인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하면 좀 나아지지 않을까 해서 기대감이 많습니다.
▲ <사진 = 조준호 기자> |
봉화군은 농업중심의 농촌도시라 할 수 있는데요. 어떻습니까.
봉화는 농업인구가 60%가 넘습니다. 다행스럽게도 대통령님이 농업을 직접 챙기겠다고 하셨는데, 농업 쪽에는 전체적으로 보면 농업직불금으로 지원이 되고 있습니다만 현지 축산 농가는 소, 돼지가 과잉생산 되지 않도록 쿼터제를 도입해 주면 좋겠습니다.
또 한·칠레 FTA가 되면 국내 포도 생산업자들의 불황이 온다고 해서 정부차원에서 감축을 유도해 엄청난 면적의 포도과수원의 폐원지원을 통해 생산량을 적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가격안정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한·미 FTA에서 과수 농가들도 적정 규모로 생산될 수 있게끔 정부차원에서 농민들을 살려주는 정책을 시행해 주면 좋겠습니다.
지방 인재육성 차원에서 봉화는 올해 서울대, 연세대에 몇 명이 들어갔습니다만 농촌지역에는 지역 할당제로 우수인재들이 서울대, 연·고대를 들어갈 수 있는 관문을 좀 열어준다면 일단은 지역을 균형 발전시키는데 큰 밑거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통령님도 지역을 균형발전 시킨다고 하니까 꼭 좀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지방은 자립도와 예산에서 중앙정부 차원의 특별히 관심이 필요하다고 보는데요.
봉화군의 재정자립도는 10.41%이지만 예산대비 부채비율은 1.2%밖에 안 됩니다. 건전재정운용입니다만 큰 국책사업들은 국·도비에 의존해 하고 있습니다.
국책사업으로 세계유교선비문화공원 조성 사업이 649억 원으로 청량산 일대에 조성되고, 봉화가 정자가 제일 많아요. 103개의 정자를 보유하고 있어요. 그래서 정자를 이용한 사업을 하자해서 누각, 정자 사업으로 전체 414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데, 정자박물관도 있고, 정자공원, 정자와 정자를 잇는 탐방로도 만들려고 하는데 봉화가 산림면적이 83%입니다.
1201㎢인데 서울시의 2배 면적에 산림이 83%인 셈이죠. 현불사 백천계곡은 세계 최남단 열목어 서식지가 엄청나게 개체수가 늘어났어요. 백천계곡을 문화재청과 협의해서 개발해 보려고 하며, 문화재는 그대로 보존하면서 관광객들이 다녀갈 수 있도록 말입니다.
지역균형발전 시킬 수 있는 방법은 중앙부처에서 어떤 사업을 하던지 해당 지역에 맞는 사업을 해야 합니다. 예산 부분은 지방자치단체에 의향을 물어서 제대로 짜여 진 계획이면 과감히 중앙정부 차원에서 밀어줬으면 좋겠다는 그런 생각이 듭니다.
▲ <사진 = 조준호 기자> |
전체 농업인구대비 산림인구가 많고 지역민의 소득 등 생활향상부분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농업인구가 60%를 넘어요. ‘선진 농업, 부자 농촌’의 기치 아래, 1년에 1억 소득 농가를 100가구씩 만들어 가겠다는 생각입니다. 농민사관학교를 만들어 현장중심의 교육으로 추진하려 합니다. 작년과 재작년에 백두대간 중심 ‘파인토피아 봉화’라는 브랜드를 만들었습니다.
사과 재배면적이 전국에서 전국 5위입니다. 고추 재배면적이 전국 3위인데 소비자 인지도가 낮긴 하지만 그래도 작년 같은 경우 농업소득이 엄청나게 향상되었습니다. 중앙정부에서 지역 특화 브랜드 육성에 더 많은 정책적 관심을 가져 주었으면 합니다.
부자 마을 만들기에 역점을 두고 있는데 소외된 계층은 어떻게 풀어갈 계획입니까.
올해부터는 중복지원은 피하려고 합니다. 65세 이상 고령화된 농업인에게도 골고루 혜택이 갈 수 있게끔 농자재라든지 일반 농업부분 등에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혜택을 보지 못한 농민과 어르신들을 위해 농업회의소를 만들었어요.
농림축산부 쪽에서 권장하고 있는데 농업회의소 내에 각 분야, 파트별로 축산, 과수, 고추, 화훼, 작목별 단위 단체가 있어 사업자도 선정하고 그것에 따른 지원도 해주고 있습니다. 농업 회의소에서 군에 요구하는 사업들도 있고, 현장 농민들이 군 농업 부분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도 있습니다.
그렇게 되려면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도 규모의 경제를 추진할 필요가 있을 것 같은데요.
농협이라던가, 법인, 작목반 이런 것들은 어차피 자체적으로 자기네들이 조합원으로 구성해 수익도 창출하지만, 농업회의소 같은 경우에는 봉화농업을 객관성 있게 보고, 봉화농업을 이끌어갈 방법을 만들려고 하고 있어요.
경북 같은 경우 우리가 처음으로 했고 올해는 영주시도 합니다. 경남 거창, 전북 진안, 강원 평창 등 에선 투기 목적으로 외지인들이 농지를 소유하려 합니다. 이런 일들에 각 농민 단체들이 전체가 어울려 하게 되면 이를 근절시킬 수도 있고 군 농업행정에 지원 부분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박노욱 봉화군수 프로필>
▲ 봉화 출생(1960년)
▲ 봉화중·고 졸업
▲ 경북대 행정대학원 졸업
▲경상북도의회 의원
▲ 봉화JC회장
▲ (사)한국농업경영인 경상북도연합회장
▲ (사)한국농업경영인 중앙연합회 수석부회장
▲ 석탑산업훈장/ 대통령 표창
▲ 농림부장관 표창/공로휘장(재향군인회)
<대담·정리 = 서원호 취재국장>
<사진 = 조준호 기자>
< 저작권자 © 일요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첫댓글 기사 잘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