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일시 : 2017년1월3일(화요일)
청덕동물푸레마을4,6단지버스정류장[10:09]➡영일정씨포은공파 재실[10:16]➡88CC14번홀과13번 홀사이고개(지맥길합류)[10:31]➡무푸레고개[10:39]➡법화산[10:56~11:01]➡작은무등치고개[11:23]➡천줒교서울대교구묘원93번송전탑[11:59]➡43번도로(포은대로)[12:18]➡대지고개[13:12]➡대지산[13:32~13:36]➡휘남에고개(대지산쉼터)[13:48]➡골안사갈림길[14:05]➡불곡산[14:26~14:31]➡형제봉[14:51]➡태재고개[15:13]
법화산[法華山]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청덕동과 처인구 모현면 오산리에 걸쳐 있는 산이다.『조선지명지』에는 읍내면 상마곡, 동변면 수청동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이제학이 쓴 『용인의 산수 이야기』에는 천태교학의 법화경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주 능선은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어 있는데, 300m 정도의 봉우리들이 연속되어 있으며, 북서쪽에는 무등재, 남동쪽에는 무푸레고개가 있다. 이들 산에서 흘러내린 물은 탄천이 되어 북쪽으로 흐르고 있으며, 주요 식생으로는 주로 소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다. 산의 동쪽으로는 레이크사이드컨트리클럽과 88컨트리클럽이 있으며, 무등재 너머 북쪽에는 천주교 명동성당 용인공원묘지가 위치해 있다. 그리고 서쪽에는 단국대학교 캠퍼스가 입지해 있다. 서쪽에는 KCC(금강고려화학)중앙연구소, 현대중앙연구소, 현대건설기술연구소 등의 연구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그 남서쪽에는 칼빈대학교, 코오롱종합연수원 등이 있다. 남쪽에는 경찰대학교, 법무연수원, 교정연수원 등이 입지해 있는데, 최근 들어 주변 지역의 개발이 매우 활발해지고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지산[大地山]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1동과 처인구 모현면, 광주시 오포읍에 걸쳐 있는 산이다. 여러 지도에는 산명이 표기되어 있지 않으나, 읍지 등의 자료에 대치(大峙)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대지산은 “대치”가 변음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크게 보아 동쪽과 서북쪽, 남쪽으로 능선이 뻗어 있으며, 동쪽에 비해 서쪽의 경사가 급하다. 동쪽으로는 숫돌봉[330m]과 연결되고, 북쪽으로는 부처당고개를 거쳐 불곡산[335m]과 연결되며, 남쪽으로는 대지고개를 거쳐 법화산으로 연결된다. 2001년도부터 2003년도에 걸쳐 대지산 생태계 조사 및 숲가꾸기가 시행되었고, 현재 자연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산의 남서쪽에 강남공동묘지가 있고, 동남쪽에는 채석장이 있어 산세가 많이 훼손됨에 따라 주민들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대지산 살리기 운동’이 전개되었다. 고개 남쪽에는 수원시에서 광주시로 이어진 국도 43호선이 동서 방향으로 지나고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불곡산[佛谷山]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과 광주시 오포읍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분당구 정자동과 광주시의 경계를 이루는 해발 344m의 산으로 나지막한 산에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있어 분당 주민들의 휴식처 역할을 한다. 큰절골과 작은절골 등에 절터가 있으므로 불곡산이라 하였다고 전해진다. 또 정자동 웃마을 주민들이 이 산을 성스러운 산으로 여기고 산신제를 지낸 것에서 유래하여 성덕산(聖德山)이라고도 하고, 현지에서는 효종산(孝鐘山)이라고도 한다. 불곡산은 북쪽으로는 태현과 새마을고개를 지나 새나리고개, 곧은골고개, 갈마치고개로 이어지고, 검단산과 청량산의 남한산성 지대와도 이어진다. 남쪽으로는 부천당고개를 지나 성남시와 광주시 오포읍, 용인시 수지구와 경계를 이루는 대지산으로 이어지며, 대치고개와 무등재를 지나 법화산으로 이어진다. 산행은 수내동, 정자동, 구미동에서 시작하는데, 정자동에서 시작하여 불정고등학교와 급수대를 거쳐 능선을 타고 정상에 오른 다음 남릉을 따라 구미동으로 내려오는 코스는 2시간이 걸린다. 오포면의 문형산과 연결한 종주 코스도 있다. 정상에 서면 분당 신시가지와 용인 수지, 죽전 지구가 한눈에 들어오는데 자연 생태계가 잘 보존되고 있고, 혼효림이 무성하여 춘하추동이 새롭게 보이는 산이다. 불곡산의 머리글자에서 이름을 딴 불정동[지금의 정자동]이 불곡산의 서쪽 사면에 위치한다. 정자동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한국가스공사가 위치하고 있으며, 정자동에까지 이어지는 해발고도 109.1m의 봉우재에는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태현[泰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과 광주시 오포읍 신현리를 잇는 고개인데 태재라고도 한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서 광주시 오포읍 신현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해발 180m로 성남시에서 광주시로 넘어가는 고개들 가운데 가장 험준한 축에 속한다. 조선 중기부터 한양(漢陽)으로 통하는 '큰 고개'라는 뜻으로 태현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원래는 우마차(牛馬車)나 보행자가 겨우 지나갈 만한 길이었으나 1937년 돌마면 면장이 주선하여 고갯길이 조성되었고, 1985년경 도로가 포장되었다. 고갯마루에 고려 말기의 문신 김자수(金子粹)의 묘와 묘비가 있으며, 서남쪽으로 1㎞ 지점에 주몽재활원 설립자이자 사회사업가인 김기인(金基寅)의 묘가 있다. 또 고개 너머 성남시 방면으로는 지역난방공사가, 광주시 방면으로는 판교공원묘지가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09:42] : 보정역 4번 출구로 나와 보정역,보정교등학교, 동아솔레시티 버스 정류장에서
[09:46] : 31번 마을버스를 탑승한 후
[10:09] : 물푸레마을4, 6단지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한다. 원래는 향린동산 뒷산 분기점에서 시작하여야 하나 골프장인 88C.C. 필드 통과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골프장 필드 통과 부분을 건너 뛴 구간에서 검단지맥 걷기를 시작하려는 것이다.
[10:10] : 물푸레마을 경남아너스빌 아파트 옆 도로(구성로에서 분기되는 청마로)로 진입하는 청덕2통 수청마을을 향해 진행하다가 창우돈가 삼거리(청마로17번길과 청마로가 갈라지는 삼거리)에서 우측 청마로 따라 오르면
[10:14] : 좌측으로 갈라지는 삼거리(양쪽 모두 청마로이다)를 또 만난다. 이번에는 삼거리에서 좌측 도로(청마로)로 오르면
[10:16] : 우측 영일정씨포은공파 재실이 있는 마당에서 도로가 끝난다. 재실까지 가서 주변을 탐방한 후 되돌아 나가서
[10:18] : 우측 재실 가기 전에 정면 좌측 묘역으로 이어지는 임도 따라 오르다가 좌측으로 꺾어서 오르니 원형석관묘 곡장 옆으로 등산로가 이어지고 있다. 한 동안 오르다가
[10:27] : 봉우리 우측 사면으로 진행하여 내려가는 듯 하더니 오르막으로 바뀌는데 등산로를 버리고 우측 능선으로 올라서니 필드(서코스 14번홀)가 보이면서 골프장내 도로가 고개를 넘는 지점에 사각정자가 보인다. 계속 우측에 필드를 끼고 오르막을 오르니
[10:31] : 사각정자가 있는 고개의 절개지 상부에 도착한다. 이제부터 검단지맥 마루금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군 원형참호가 연이어 있으며 우측으로는 88 C.C. 서코스 13번홀의 필드가 펼쳐지고 있는 지점을 지나자 절개지를 내려가는데 좌측 경사면으로 길이 이어진다.
[10:39] : 임도에 내려선 후 우측 절개지를 향해서 짧게 오르니 무푸레고개인데 골프장(서코스 12번홀) 방향은 철망 문이 닫힌 상태로 경고문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철망 울타리 좌측으로 등산로가 조성되어 있는데 로프난간이 설치된 계단 길이다. 계단을 오르니 골프장 필드와 헤어지면서
[10:41] : 좌측에서 오르는 길과 합류가 되는데 영남길 이정목(불곡산 출구 10.50Km)이 있다. 이어지는 오르막은 가팔라지면서 로프난간에 이어 로프난간 계단 길이 이어진다.
[10:48] : 벤치 2개가 있는 무명봉에 도착하니 송전탑(No27,No84)도 있다. 무명봉을 넘어 송전탑(No27,No84) 옆을 지나 완만하게 내려가다가
[10:54] : 이정표(법화산정상0.1Kmㅣ마북캠퍼스1.9Km)가 있는 마북캠퍼스 갈림길에서 법화산 정상을 향한 오르막을 오른다. 법화산은 맥 길에서 벗어나 있지만 법화산 정상을 탐방 후 이 지점까지 되돌아와서 마북캠퍼스 방향인 우측 우회로를 진행하던가 아니면 사각정자가 있는 능선 내리막 로프난간 계단을 내려가다가 우회로와 합류하여 진행하던가 하여야 맥 길을 이어갈 수 있다. 오르막길에 법화산으로 직접 오르는 길과 우측 능선 상의 사각정자를 거쳐 오르는 길로 갈라지기에 우측 사각정자를 거치는 우측 길로 진행하여 사각정자에 도착하니 운동기구들이 설치된 체력단련장이 있으며 좌측 능선은 법화산 정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법화산 정상을 들렸다가 다시 사각정자가 있는 능선을 거쳐 마루금을 이어가기로 한다.
[10:56] : 법화산 정상에 도착하니 법화산 소식 안내판(주민센터 안내판과 동일한 크기)과 이정표(모현,청덕동(천주교공원묘)ㅣ마북동주민센터)와 또 다른 이정표(마북캠퍼스2.0Km)가 있으며 법화산 정상석(383.2M)과 벤치, 그리고 전광판이 있다. 전광판 옆으로는 동백호수공원에서 법화산을 오르는 등산로가 있다. 선답자의 산행기에 나오는 삼각점(수원472 1987복구)을 찾아보았으나 철거를 했는지 찾을 수가 없다. 삼각점 찾기를 포기하고
[11:01] : 법화산 정상을 출발하여 사각정자가 있는 갈림길로 내려가서 로프난간 계단을 내려간다.
[11:03] : 로프난간 계단길이 좌측으로 굽어지는 지점에 이정표(마북캠퍼스1.85Km)가 있는 갈림길을 만나는데 법화산 정상을 우회하는 지맥 길과 합류하는 지점이다. 맥 길 따라 내려가는데
[11:04] : 등산로 좌·우로 벤치가 2개씩 있다. 그러더니 또 벤치 2개가 있는 둔덕을 만나고 잠간 내려서더니 이어지는 완만한 오르막을 오르는데
[11:05] : Y자형 갈림길이 나온다. 좌측 오르막길로 진행하여 올라선 봉우리(371.3m)에서
[11:07] : 또 갈림길을 만난다. 우측 능선으로 뻗어가는 길이 있지만 직진하여 봉우리(371.3m)를 넘어 내려간다.
[11:09] : 오르막을 오르니
[11:10] : 운동기구와 벤치가 있는 체력단련장이고 조금 더 오르니
[11:11] : 382.1봉 정상이다. 382.1봉을 넘어 내려가는데 가파른 내리막길에 원형목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11:14] : 짧게 이어지는 오르막을 오르고
[11:15] : 무명봉을 넘어 또 가파른 내리막길을 내려간다.
[11:16] : 할미산성 갈림길 안부에 도착하니 이정표(용인숲길ㅣ법화산정상0.8Kmㅣ할미산성6.2Km, 오산리 사기막골0.9Km)가 있다. [이곳에서 안내하는 할미산성 코스는 오산리 사기막골을 거쳐 레이크사이드CC West코스와 88CC 동코스 사이의 경계능선을 거쳐 향린동산 뒤의 검단지맥 분기점으로 이어진 후 한남정맥 마루금 따라 할미산성까지 이어지는 루트인 것으로 추정해본다.] 이어지는 오르막을 완만하게 오른다.
[11:18] : 벤치 2개가 있는 쉼터에 도착하니 현대인재개발원 안내문이 등산로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으로 희미한 갈림길이 있지만 무시하고 직진하여
[11:19] : 무명봉을 넘어 내려가는데 가파름과 완만함이 반복되는 내리막길이 이어진다.
[11:23] : 안부 사거리인 작은무등치고개에 도착하니 이정표(마북캠퍼스0.5Kmㅣ법화산정상1.5Km)가 있다. 그러나 이정표는 좌측 마북캠퍼스와 지나온 법화산 방향만 안내를 하고 있다. 이어지는 오르막을 오르는데 아주 작은 바위들이 등산로 양 옆에 산재해 있다.
[11:26] : 무명봉을 넘어 내려가고
[11:27] : 오르막을 오르다가 작은 바위들이 있는 둔덕을 지나니
[11:29] : 법화산 등산로 안내문이 있는 무명봉(328.5m)에 도착한다. 전방과 우측으로 드넓은 천주교 서울대교구 묘원이 펼쳐지고 있다. 묘역 상부 도로 옆에 이동통신탑도 설치되어 있다. 천주교 묘원 상부 도로를 향해 내려가는데
[11:30] : 현대인재개발원 안내문과 마북동주민센터2.7Km 안내문이 함께 세워져 있고 좌측 넝쿨들이 무성한 곳에 이정표(법화산 정상1.9Km)가 있다. 자세히 보니 천주교 묘원 상부 도로 좌측으로 등산로가 있는데 넝쿨지대를 거쳐서 이어지고 있다. 조금 전에 보았던 마북동 주민센터 방향으로 이어지는 등산로인 것 같다.
[11:32] : 천주교 서울 대교구 용인공원 봉안 묘역안내판을 지나 묘원내 상부 도로 따라 내려가다가
[11:36] : 간이 화장실이 있는 큰무등치고개에서 오르막 도로로 바뀌는데 도로 좌측으로 등산로가 보이며 이정표(정상1.4Kmㅣ죽전동2.3Km)도 있다. 그러나 도로 따라 계속 오르는데 얼마 안가서 또 이정표(하늘말?km, 마북동주민센터2.3kmㅣ법화산정상 약1.9kmㅣ야외음악당?km)가 있는 등산로를 만난다. 계속 도로 따라 오르니 시멘트 포장도로가 끝나면서 흙길로 바뀌고 등산로는 묘역 옆으로 이어지는데
[11:39] : 쌍 갈래길이다. 좌측 넓은 등산로와 묘역 옆으로 이어지는 소로가 있는데 묘역 옆으로 이어지는 소로로 진행하여
[11:40] : 무명봉에 도착한다. 묘역과 잠시 헤어지면서 잠시 내려갔다가 오르막을 오르는데
[11:41] : 단국대학교 안내문이 있다. 그리고 곧 이어 봉우리(307.8m) 정상에 올라선다. 잠시 가파르게 내려가다가 완만한 내리막이 되더니 다시 묘역과 경계를 이루며 산길이 이어진다. 그렇게 한동안 묘역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 바깥쪽 산길을 오르내리며 진행하는데
[11:47] : 또 단국대학교 안내문을 만난다. 그리고 언덕을 넘으니
[11:48] ; 묘역 내 상부 비포장도로를 진행하게 된다.
[11:50] : 운동기구와 벤치 2개가 있는 쉼터 봉에 도착하니 삼거리 갈림길이다. 좌측은 죽전야외음악당(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산37)으로 이어지고 지맥길은 우측 묘역 내 비포장도로로 이어진다. 비포장도로 따라 내려가니
[11:55] : 묘역 내 상부 도로 삼거리를 만나고 도로 좌측으로 도로 따라 내려간다.
[11:58] : 오르막 도로에서 좌측 파란색 송전탑 있는 곳을 향해 도로를 버리고 산길로 접어든다. 도로 따라 계속 오르면 322.1봉이고 93번 송전탑은 322.1봉 바로 아래에 있다.
[11:59] : 93번 송전탑에 도착하니 잡목들과 넝쿨식물들이 주위를 감싸고 있다. 주변을 둘러보는데 93번 송전탑에서 2시 방향으로 홀대모 표지기 2개가 보인다. 322.1봉으로 되돌아가서 우측의 채석장 방향으로 내려갔다는 선답자의 산행기가 생각나지만 홀대모 표지기를 보니 생각이 바뀐다. 그래서 93번 송전탑에서 표지기 따라 내려가는데 완전히 직벽에 가까운 내리막길이다. 조심하면서 한 동안 내려가니
[12:14] : 폐기된 건물 뒤로 내려서고 폐기된 건물 진입 도로 따라 나가니 대지고개가 우측으로 보이는
[12:18] : 43번 도로(포은대로)에 접속된다. 좌측 죽전교차로로 이어지는 포은대로 굴다리를 통과하기 위해 자동차 전용도로 갓길 따라 한 동안 내려간다.
[12:25] : 죽전교차로(죽전동ㅣ수지구청ㅣ죽전디지털밸리, 현암고등학교)에 연결되는 포은대로 하부 도로를 통과한 후 죽전교차로에서 우측 대지고개를 향해 보행자 인도가 있는 대지로 따라 오른다.
[12:27] : 광명샤인빌 버스정류장을 지나고 현암고등학교 갈림길을 지나 계속 오르막 인도를 진행하는데
[12:29] : 죽전1동 하늘의문 성당이 인도 옆에 있다. 점심시간도 되었고 바람 없는 따뜻한 곳에서 식사하고 싶은 욕구가 생겨서 성당 식당을 이용하기로 한다. 성당 식당에서 점심식사를 한 후
[12:57] : 성당을 뒤로 하고 계속 오르막 인도를 진행하는데
[13:02] : 도로 갈림길 중앙에 죽전동 표지석이 있는 지점을 지난다. 좌측 산자락 아래의 신한금융그룹 데이터센터와 한국전력기술 한기인재개발교육원 건물이 웅장하게 보이기 시작하면서 43번 도로(포은대로) 건너편으로는 93번 송전탑에서 내려왔던 폐사된 건물들이 보인다. 그리고 곧 이어
[13:12] : 대지고개에 도착한다. 곧장 건너면 5분도 안 되는 거리를 무단횡단 안 하려고 26분간 우회한 것이다. 도로(대지로) 옆에 돌담을 두른 집이 있고 바로 그 옆에 녹색철망 울타리를 한
2층 집이 있는 대지고개 정상에서 등산로 진입로는 2층 집 정문 옆 녹색철망 울타리와 도로변에 얕은 목책을 설치한 사이로 이어지고 있다.
[13:13] : 좌측의 녹색철망 울타리 따라 오르면
[13:15] : 94번 송전탑 아래를 지나 언덕에 올라선다.
[13:17] : 이어지는 가파른 내리막길을 짧게 내려가고
[13:18] : 완만한 오르막을 오르는데 좌측으로 교하노씨 가족납골묘원을 지나니 용인이공 가족묘를 지난다. 그리고 바로 위 4단으로 조성된 석관묘역이 있는데 진양정씨 가족묘지 인 것 같다. 계속 오르는데
[13:23] : 소로와 임도가 갈라지는 갈림길에서 좌측 소로로 진행하여
[13:29] : 무명봉에 도착한다. 무명봉 좌측 내대지마을 광명샤인빌아파트(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에서 올라오는 등산로와 만나는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진행하니
[13:31] : 철책이 있는 Y자형 갈림길을 만난다. 철책을 우측에 두고 철책 옆길 따라 오르는데 정상 부근에서 다시 길이 갈라진다. 우측 철책 따라 가는 길은 대지산 정상석을 경유하여 숫돌봉으로 가는 길이고 좌측 길은 정상석을 비껴서 불곡산으로 가는 길이지만 불곡산 가는 길도 정상석이 있는 정상을 거쳐 이어지고 있다. 계속 철책 따라 진행하여
[13:32] : 대지산 정상에 도착하니 정상석(해발326m)과 쉼터용 의자들이 산재해 있고 철책 옆에 삼각점(수원320 1988재설)이 있다. 정상에서 철책이 우측으로 굽어지는데 철책 옆으로 등산로가 이어지고 있다. 철책 따라 진행하면 숫돌봉으로 가는 길이고 맥 길은 좌측 죽전동 방향 능선 따라 내려가야 한다. 대지산 정상을 좌측으로 오르는 등산로에는 이정표(죽전동ㅣ대지고개ㅣ숫돌봉, 약수터)가 있다.
[13:36] : 대지산을 출발하여 죽전동 방향 능선 내리막길을 내려간다.
[13:39] : 좌측으로 내리막길이 있는 능선을 계속 직진하여 완만하게 오르는데 바로 좌측 내리막길 옆에 이정표(대지산정상l무지개마을)가 있는 갈림길을 지나지만 직진하는 오르막길은 계속 이어진다. 오르막길이 쌍 갈래로 나누어지는 삼거리에서 우측 오르막길로 오르니
[13:43] : 벤치 1개가 있는 둔덕에 올라서고 조금 더 오르니
[13:44] : 무명봉 정상이다. 무명봉을 넘는 내리막 우측에 63번 송전탑을 보면서 내려가니
[13:45] : 벤치 1개가 있는 둔덕에서 길이 갈라진다. 우측 길은 좌측 휘남에고개인 대지산 쉼터를 거치지 않고 우회하면서 맥 길을 이어주고 있지만 휘남에고개인 대지산 쉼터를 거쳐서 진행하기로 하고 직진하여 휘남에고개인 대지산 쉼터로 향한다.
[13:46] : 휘남에고개에 있는 사각정자가 보이면서 이정표(용인시 죽전동ㅣ구미동1.9Kmㅣ불곡산1.8Km)와 현 위치가 죽전동 갈림길임을 알리는 국가지점번호(다사 6789 2677ㅣ구미동2.2Kmㅣ대지산0.6Kmㅣ죽전동1.1Kmㅣ불곡산정상1.8Km)가 등재된 소방구조목이 있는 사거리에서도 불곡산을 향한 맥 길이 우측 내리막길로 이어지고 있으므로 조금 전의 갈림길로 되돌아가지 않고 이 곳 사거리에서 맥 길을 이어가도 된다. 계속 진행하여
[13:48] : 대지산 쉼터 현판이 달린 사각정자가 있는 휘남에고개에 도착하니 사각정자 뒤로 벤치 1개와 훌라후프가 걸려있다. 다시 죽전동 갈림길 사거리로 되돌아 내려온 후
[13:49] : 소방구조목 우측으로 내려가자마자 길이 Y자형으로 갈라진다. 좌측 넓은 등산로를 버리고 우측 소로로 진행하여 우회로와 합류하고
[13:52] : 새로이 만나는 Y자형 갈림길에서는 좌측으로 내려가니
[13:53] : 영남길 이정목(판교역입구9.60Kmㅣ불곡산출구2.20Km)과 현 위치가 불곡산 능선임을 알리는 국가지점번호(다사 6783 2694ㅣ구미동2.4Kmㅣ태재고개1.1Kmㅣ대지산0.8Kmㅣ불곡산정상1.6Km)가 등재된 소방구조목, 그리고 그 옆에 성남 누비길 이정표(불곡산1.6Km, 태재고개3.6Kmㅣ구미동(성남용인시계), 대지산ㅣ태재고개(도로)0.9Kmㅣ구미동)가 있는 사거리 갈림길에 도착한다. 계속 직진하여 불곡산 방향으로 완만하게 오르는 중에
[13:57] : 구미동주택단지로 이어지는 갈림길을 만나는데 이정표(불곡산ㅣ구미동(산림욕장)ㅣ구미동주택단지)도 있다. 불곡산을 향해 직진하여 올라
[13:58] : 무명봉을 넘어 내려가는데 우측 경사면에 탁자를 중심으로 사면이 장의자로 둘러쳐진 쉼터가 내려가 보인다. 잠시 후
[14:00] : 장의자가 딸린 식탁이 등산로 좌측에 있는 지점을 지나니
[14:01] : 평상을 중심으로 벤치 6개가 설치되고 영남길 이정목(판교역입구9.40Kmㅣ불곡산출구2.40Km)과 성남 누비길 이정표(불곡산1.1Kmㅣ구미동(용인,수지)2.6Kmㅣ광주시 신현리ㅣ구미동주택단지), 그리고 현 위치가 조류학습장임을 알리는 국가지점번호(다사 6789 2733ㅣ불곡산정상1.1Kmㅣ신현리1.4Kmㅣ구미동2.8Km)가 등재된 소방구조목이 있는 사거리 쉼터에서 좌측 불곡산 방향 내리막길을 내려가는데 로프난간이 설치된 내리막길이다.
[14:05] : 도착한 안부도 골안사 갈림길 사거리로 영남길 이정목(판교역입구8.83Kmㅣ불곡산출구2.97Km)과 성남 누비길 이정표(불곡산ㅣ구미동ㅣ광주시 신현리ㅣ골안사600m,12분), 그리고 현 위치가 골안사 갈림길임을 알리는 국가지점번호(다사 6778 2745ㅣ불곡산정상0.9Kmㅣ구미동3.0Kmㅣ신현리1.2Kmㅣ골안사0.6Km)가 등재된 소방구조목이 있다. 또한 의자가 딸린 원형탁자와 장의자 3개가 골안사 방향 갈림길 옆에 있다.
[14:07] : 불곡산 방향으로 직진하여 완만하게 둔덕을 올랐다가
[14:08] : 이어지는 내리막길을 내려간다.
[14:10] : 의자가 딸린 원형탁자가 등산로 좌측에 있는 지점을 지나자마자 부천당 고개 사거리를 만난다. 이곳에도 영남길 이정목(판교역입구8.50Kmㅣ불곡산출구3.30Km)과 성남 누비길 이정표(불곡산정상0.65Kmㅣ구미동3.05Kmㅣ광주시 신현리0.9Kmㅣ골안사0.9Km), 그리고 현 위치가 부천당 고개임을 알리는 국가지점번호(다사 6760 2764ㅣ불곡산정상0.7Kmㅣ구미동3.3Kmㅣ신현리0.9Kmㅣ골안사0.9Km)가 등재된 소방구조목이 있다. 불곡산을 향한 오르막을 오르는데 정면의 봉우리를 향해 오르는 길과 봉우리 우측으로 우회하는 길이 갈라진다. 그러나 봉우리를 확인하고자 직진하여 봉우리를 향해 오른다.
[14:16] : 봉우리 정상 부근의 능선에 도착하니 성남 누비길 이정표(불곡산정상ㅣ구미동ㅣ분당서울대병원, 대광사(시민전망대))와 능선 좌측으로 높다란 망루가 보인다. 아마도 산불감시초소인 것 같다. 이정표가 있는 능선에서 우측으로 올라
[14:17] : 무명봉을 넘어 내려가니
[14:18] : 우회로 합류지점 삼거리에 이정표(불곡산350mㅣ구미동3350mㅣ대광사,구미중학교(시민전망대))가 있다. 방금 내려온 삼거리 무명봉을 거치는 대광사 방향을 안내하는 이정표인 것이다.
[14:19] : 불곡산을 향한 등산로 우측에 벤치 1개가 있는 지점을 지나고 등산로 좌측에 영남길 이야기(불곡산과 한국전쟁) 판과 사각정자가 있는 전망대 갈림길에는 간단한 운동기구와 사고다발지역임을 알리는 원형의 위험안내판이 있다. 그리고 벤치도 2개가 있다. 계속 직진하여 오르막을 오르는데 나무계단 길이 이어지고 있다.
[14:20] : 현 위치가 부천당 고개임을 알리는 국가지점번호(다사 6748 2803)가 등재된 소방구조목
을 지나 계단을 오르니
[14:21] : 성남 누비길 이정표(불곡산정상0.2Kmㅣ구미동3.5Kmㅣ정자동(이마트,LH공사)ㅣ광주시숙골0.5Km)가 있는 사거리를 만난다. 잠시 후
[14:22] : 로프난간이 있는 계단을 오르니
[14:23] : 이마트 갈림길 삼거리에 도착하는데 영남길 이정목(판교역입구8.00Kmㅣ불곡산출구3.80Km)과 성남 누비길 이정표(불곡산정상ㅣ구미동ㅣLH공사1100m), 그리고 현 위치가 이마트 갈림길임을 알리는 국가지점번호(다사 6750 2807ㅣ불곡산정상0.2Kmㅣ구미동3.8Km)가 등재된 소방구조목이 있다. 그리고 조금 더 진행하니
[14:24] : 산악용 오토바이 진입을 막기 위해 원형목을 박아 장애물을 만든 지점을 지나고 이어지는 계단 오르막길을 오른다.
[14:26] : 불곡산 정상석(335m)이 사각정자 모퉁이에 있는 불곡산 정상에 도착한다. 우측 로프난간이 있는 곳에 영남길 이정목(판교역입구7.86Kmㅣ불곡산출구3.94Km)이 있고, 정자를 오르는 계단식 발판 옆에 이정표(수내,정자동 경계능선 500m, 8분ㅣ광주시 숙골500m, 15분ㅣ구미동3700mㅣ태재고개2000m)와 현 위치가 불곡산 정상임을 알리는 국가지점번호(다사 6761 2813ㅣ수내동,정자동0.5Kmㅣ광주 숙골0.5Kmㅣ구미동3.9Kmㅣ태재고개2.0Km)가 등재된 소방구조목이 있다. 사각정자 정면 내리막길에는 간단한 운동기구들과 성남 누비길 거리 표시 안내판(태재고개-<1Km>-형제봉정상-<1Km>-현위치-<0.9Km>-부천당고개-<2.1Km>-휘남에고개-<0.64Km>-불곡산산림욕장-<1.1Km>-탄천-<1.3Km>-동막천-<1.03Km>-동원동)이 있는데 길이 산발한 머리모양 갈래치고 있어 혼돈하기 쉽다. 맥 길은 정자 바로 옆에 있는 이정표와 소방구조목이 안내하는 수내동,정자동 방향인 좌측 내리막길로 이어지고 있다. 정자 정면 내리막길 좌측으로 태재고개를 이정표가 안내하고 있지만 그리로 진행하면 맥 길에서 벗어난다. 아마도 성남 누비길인 것 같다.
[14:31] : 불곡산 정상을 출발하여 정자 옆 좌측 수내동, 정자동 방향을 향해 내려간다.
[14:32] : 내리막길에 벤치 1개와 각종 안내문이 있는 지점을 지나니
[14:35] : 등산로 우측에 벤치 5개가 듬성듬성 자리하고 있는 지점도 지난다. 이어지는 오르막길에 작은 바위들이 산재해 있는 지점을 지나
[14:37] : 정면에 둔덕처럼 보이는 봉우리를 우측으로 우회하면서 등산로가 이어지지만 직진하여 둔덕처럼 보이는 봉우리를 향해 오른다.
[14:38] : 이정표(불곡산정상450mㅣ태재고개1550mㅣ광주시 능안골500m,10분 ㅣ정든마을,청구APT.1600m,25분)와 평상, 그리고 의자가 딸린 직사각형 식탁 2개가 있는 311.7m봉으로 맨발님의 검단지맥311.7m팻말이 나무에 달려있고 그 옆에 삼각점(수원312 1987복구)이 있다.
[14:40] : 사거리가 형성되고 있는 311.7m봉에서 태재고개 방향으로 내려가서 우회로와 합류한 후 로프 난간이 등산로 좌측 둔덕으로 설치된 지점을 내려가니 전방 좌측으로 로프난간이 설치된 능선길이 시야에 들어온다.
[14:42] : 그러나 맥 길은 직진하여 능선을 넘어 가파른 내리막길로 이어지고 있다.
[14:43] : 로프난간이 설치된 좌측 내리막길이 있는 능선 갈림길에는 영남길 이정목(판교역입구7.25Kmㅣ불곡산출구4.55Km)과 현 위치가 명상의 숲임을 알리는 국가지점번호(다사 6761 2870ㅣ태재고개1.6Kmㅣ불곡산정상0.5Kmㅣ정자동1.6Km)가 등재된 소방구조목이 있다. 직진하여 오르막을 오르는데
[14:46] : 오포읍 신현리 절터골 갈림길에 영남길 이정목(판교역입구7.17Kmㅣ불곡산출구4.63Km)과 국가지점번호(다사 6765 2877ㅣ수내동1.3Kmㅣ불곡산0.7Km)가 등재된 불곡산25-4번 소방구조표시물이 등산로 좌·우에 있다. 소방구조목의 수내동 표시는 잠시 후 만나는 수내동(정자동) 갈림길 삼거리 방향을 안내하고 있다. 오르막을 계속 오르니
[14:47] : 수내동 갈림길을 만나는데 이곳에도 영남길 이정목(판교역입구7.10Kmㅣ불곡산출구4.70Km)과 성남 누비길 이정표(태재고개(분당동주민센터)ㅣ불곡산ㅣ정자동), 그리고 현 위치가 수내동갈 림길임을 알리는 국가지점번호(다사 6765 2884ㅣ태재고개2.8Kmㅣ불곡산정상0.8Kmㅣ정자동1.2Km)가 등재된 소방구조목이 있다. 또한 쉼터용 통나무 의자가 좌측에 1개, 우측에 2개가 있으며 정자동(수내동) 방향은 로프난간이 설치된 가파른 내리막길이 이어지고 있다. 능선에서 내려가면 정자동이고 정자동 뒤가 수내동이라 이정표에는 정자동으로 표기를 하고, 소방구조목에는 수내동 갈림길로 표기를 한 것 같다. 그러나 정확히 짚으면 정자동 갈림길이 맞는 것 같다. 능선 길 따라 진행하니
[14:49] : 산악용 오토바이 진입을 막기 위해 원형목을 박아 장애물을 만든 지점을 통과한다.
[14:50] : 내리막길을 내려가니
[14:51] : 의자가 딸린 식탁과 평상, 간이 운동기구들이 나무 사이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쉼터로 쉼터 좌측으로는 사각정자가 보인다. 좌측 사각정자에 가기 직전에 성남누비길 이정표(태재고개0.95Kmㅣ불곡산1.05Kmㅣ분당동주민센터1.6Km,장안타운0.9Km)와 국가지점번호(다사 6785 2900ㅣ형제봉0.1Kmㅣ분당동주민센터1.5Km)가 등재된 불곡산24-4번 소방구조물이 있다. 사각정자에 가니 정자 기둥에 형제봉(280M) 팻말이 부착되어 있고 정자 옆으로 분당동 주민센터로 등산로가 이어지고 있다. 다시 운동기구들이 산재해 있는 쉼터로 되돌아와서
[14:56] : 태재고개 방향인 우측 넓은 임도 따라 내려가는데 바이오 매트가 깔려있다.
[14:58] : 내리막길에 좌측으로 갈라지는 삼거리를 만나지만 계속 직진하여 내려가다가
[15:02] : 성남 누비길 이정표(태재고개400mㅣ불곡산1600mㅣ분당동ㅣ광주뒷골)가 있는 갈림길 사거리를 만난다. 그런데 분당동과 광주뒷골로 가는 길이 엇비슷하게 갈라지고 있다. 태재고개 방향으로 바이오 매트가 깔린 길을 내려가는데
[15:04] : 등산로 좌측에 간이용 의자 2개가 있는 지점을 지난다.
[15:07] : 바이오 매트가 깔린 등산로 우측으로 골프연습장 그물이 보이면서 우측으로 내리막길이 있는 갈림길을 만나지만 계속 직진하여 내려간다. 등산로 좌측 아래로 한국지역난방공사 시설물들이 보이더니 능선 우측 내리막길로 내려가는데
[15:09] : 성남 누비길 이정표(영장산등산로입구ㅣ불곡산ㅣ분당구 분당동ㅣ광주시 상태)와 산림정화 보호구역 내 금지행위 안내문을 만난다. 내리막길 우측에 로프난간이 설치된 계단을 내려가니
[15:10] : 불곡산.영장산 등산 안내도와 성남누비길 노선안내도가 있으며 불곡산길 해설판도 있다. 성남누비길 불곡산길 구간 여기는 제4구간입니다 라고 쓰인 아치문을 나서니 도로(상태길)에 내려선다. 도로 건너에는 킹크랩.대계 전문점과 채선당이 보인다. 도로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니
[15:13] : 태재고개에 도착한다. 오포읍 신현4리(웃태재) 표지석이 있는 구 도로인 태재고개이지만 상가들이 형성되어 차량통행이 빈번한 지역이다. 오늘의 산행은 태재고개에서 마치고 귀가 길에 오르기 위해 우측으로 내려간 사거리 코너에
[15:16] : 신현2리앞 버스 정류장이 있다. 520번 버스를 타고 AK플라자 2층 버스정류장에서 하차한 후 서현역으로 이어지는 AK플라자 지하로 내려가서
[15:41] : 분당선 전철을 탑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