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 | 단원명 | 교육과정 성취기준 | 수업방법 | 평가방법: 수업-평가 연계 주안점 |
월 | 주 (시수) |
8 | 3~5 (4) | 1. 운동과 건강의 관계 (1)생활 습관과 건강 관리
| [12운건01-01] 생활 습관과 건강관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에 필요한 건강관리 방법을 탐색한다.
| 모둠협력수업 탐구활동 | ▪교사관찰: 학생들의 수행 과정을 면밀히 관찰
|
9 | 1~2 (4) | 1. 운동과 건강의 관계 (2)건강과 운동 효과
| [12운건01-02] 건강 유지·증진에 도움이 되는 여러 유형의 운동 특성과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건강과 운동의 관계를 파악한다.
| 탐구활동 | ▪자기평가: 운동 수행 과정에 대한 성찰 확인
▪디지털 평가: 디지털 교구를 활용한 동작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기 평가 |
9 | 3~4 (2) | 1. 운동과 건강의 관계 (3)운동과 자기 관리 | [12운건01-03] 심신의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운동에 참여하여 건강을 관리한다. | 탐구활동 | ▪자기평가: 운동 수행 과정에 대한 성찰 확인 |
9 | 4 (0) | 중간고사 |
10 | 1~4 (8) | 2. 운동과 건강 관리 (1)운동과 자세 관리 (2)운동과 비만 관리
| [12운건02-01] 바르지 못한 자세로 생기는 각종 신체 질환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바른 자세 유지를 위한 자세 교정을 탐색하여 지속적으로 바른 자세를 관리한다. [12운건02-02] 운동부족으로 인한 생활습관병과 대사량의 개념에 근거하여 비만의 예방 및 관리에 필요한 운동 계획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운동을 비만관리에 적용한다. | 탐구활동 | ▪동료간 피드백: 그룹 트레이닝 후 동료 간 피드백 나누기
|
11 | 1~4 (8) | 2. 운동과 건강 관리 (3)운동과 체력 증진 (4)운동과 정서 조절 | [12운건02-03] 건강한 삶을 위한 체력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여러 체력 요소를 측정하여 평가하고 체력관리를 위해 스스로 운동 계획을 수립하여 적용한다. [12운건02-04] 운동의 정서적 효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활력 있는 생활과 스트레스 관리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비교하고 자신의 정서 조절에 적합한 운동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 탐구활동 | ▪자기/동료평가: 운동 수행 참여 태도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통한 성찰
▪체크리스트 점검: 체크리스트 작성을 통해 과업 수행 과정 점검 |
12 | 1 (0) | 기말고사 |
12 | 2~3 (3) | 3. 운동과 안전 (1)운동 손상의 유형과 특성 (2)운동 손상의 예방과 대처 (3)안전한 운동 환경 | [12운건03-01] 운동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 손상의 유형과 특성을 탐색한다. [12운건03-02] 운동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운동 손상을 예방하고, 운동 손상이 발생했을 때 적절한 대처 요령 및 처치 방법을 적용한다. [12운건03-03] 기구, 시설, 환경 등 운동 안전사고 발생 위험 요인을 탐색하고 운동환경 안전도의 평가를 통해 운동 안전 대책 및 방법을 마련하여 운동사고 예방 및 관리에 적용한다. | 다문화 이해교육 세계시민교육 생태교육 안전교육 성 교육, 보건교육 소방안전교육 | ▪자기/동료평가: 토의·토론 참여 태도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통한 성찰 ▪체크리스트 점검: 체크리스트 작성을 통해 과업 수행 과정 점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