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현미경이란?
빛의 굴절을 이용해서 생물의 조직이나 미세한 세균 따위를 확대하여 관찰하는 장치
광학현미경의 구조
*접안렌즈-눈으로 들여다보는 렌즈
*대물렌즈-표본을 향하는 렌즈
*조동나사-상을 찾게 하는 나사, 경통이나 재물대를 위아래로 크게 움직인다.
*미동나사-상의 초점을 맞추는 나사, 경통이나 재물대를 위아래로 작게 움직인다.
*조리개-빛의 양을 조절한다.
*재물대-표본을 올려놓는 받침대 역을 한다.
*회전판-대물렌즈의 배율을 조절한다, 여러 개의 대물렌즈가 겹쳐져 있다.
*경통-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를 연결하는 통이다.
광학현미경 사용법
1.평평한 곳에 현미경을 놓는다.
2.관찰할 대상을 재물대 위에 올린다
3.가장 저배율의 대물렌즈가 중앙에 오도록 한다.
4.현미경의 전원을 켜고 조리개로 빛의 양을 조절한다.
5.조동나사로 관찰 대상과 대물렌즈 사이 거리를 최대한 가깝게 조절한다.
6.접안렌즈로 들여다보면서 관찰하기 좋은 거리를 찾는다.
7.미동나사로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바꿔가며 관찰한다.
주의할 점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관찰한다.
첫댓글 오늘 주의할 점 몇가지를 더 알려줄거에요 : ) 오늘의 유의사항까지 ! 꼭 ! 잘 익혀두도록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