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현미경이란? | 광학 현미경은 표본을 통과하거나 표본에서 반사된 가시광선을 집광 렌즈를 통해 모으고 대물렌즈로 확대해 이미지를 관찰하는 현미경이다 |
구조 및 기능 | 1)접안렌즈: 눈에 대고 관찰하는 부분의 렌즈로, 대물렌즈의으에 의해 형성된 상을을확대하여 보여준다. 2)대물렌즈: 물체의 미세한 부분을 확대시켜 접안 렌즈의 조리개 위치에 상을 맺게 하는 역할을 한다, 3)집광기: 조명 장치에서 나오는 광선을 모아 표본으로 올려 보낸다. 4)조리개: 조명 장치에서 나오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5)조동나사: 시료의 초점을 대략적으로 맞출 때 사용한다. 6)미동나사: 대략적으로 맞춰진 초점을 더 정확히 맞출 때 사용한다.
|
사용 방법 | ①회전판을 돌려 배율이 가장 낮은 대물렌즈를 중앙에 오도록 한다 ②현미경의 전원을 켠 다음 조리개를 이용하여 빛의 양을 조절한다 ③클립을 열고 영구 프레파라트를 재물대 위의 가운데에 고정한다 ④옆에서 보면서 조동 나사로 재물대를 올려 대물렌즈와 프레파라트의 거리를 가장 가깝게 한다 ⑤조동 나사로 재물대를 천천히 내리면서 접안렌즈로 상을 찾는다 ⑥미동 나사로 상을 뚜렷하게 보이도록 조절하고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관찰하다 |
사용시 주의사항
| 1. 사용시 평평한 바닥에 둬야 한다. 2. 사용 후 대물렌즈를 저배율로 돌려 놓아야 한다. |
첫댓글 잘하셨어요 : ) 주의사항에 유의하여 오늘 관찰해보도록 할게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