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3.27] 예멘 공습 단톡방 트럼프 뒷담화 한 부통령, 자동차 관세 발표로 미국 증시 또 휘청, 온라인 스포츠 도박 사기 급증, 항공사 휴대용 보조배터리 기내사용 금지
✅ 예멘 공격 전 정보 유출 논란, 국방장관이 구체 계획 공유
2025년 3월 26일 <디 애틀랜틱(The Atlantic)>은 예멘(Yemen) 공습과 관련한 비공개 채팅방(Signal) 메시지를 추가 공개하며 논란이 더욱 커졌습니다. 이 채팅방에는 트럼프 대통령 측 핵심 인사들이 포함돼 있었으며, 당시 채팅에 언론인 제프리 골드버그(Jeffrey Goldberg)가 실수로 포함된 사실이 알려지며 큰 파장이 일었습니다.
새로 공개된 메시지에 따르면, 3월 15일 오전 11시 44분(미 동부 시간), 국방장관 피트 헥세스(Pete Hegseth)는 “작전 개시 승인” 메시지를 대문자로 공유하며, 날씨가 적합하고 중앙사령부(CENTCOM)와 확인을 마쳤다고 밝혔습니다. 이 메시지에는 예상된 타격 시간과 사용할 무기 종류 등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됐습니다.
이 메시지는 공습 31분 전 발송됐으며, 주요 타겟 중 하나인 후티(Houthi) 지휘관 제거 시점 약 2시간 전이었습니다. 만약 이 정보가 적대 세력에 전달됐다면, 공습의 기습 효과는 무산됐을 수 있고, 미군 조종사들의 안전도 크게 위협받을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백악관과 정부 관계자들은 해당 내용이 기밀이 아니며 “전쟁 계획(war plans)”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부통령 J.D. 밴스(J.D. Vance) 역시 “기자가 과장했다”고 비판했고, 국가정보국장 존 래트클리프(John Ratcliffe)와 튤시 개버드(Tulsi Gabbard)도 의회 청문회에서 “작전 세부사항은 포함되지 않았다”고 증언했습니다.
✅ J.D. 밴스 의원, 예멘 폭격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과 이견 보여
최근 <디 애틀랜틱(The Atlantic)>의 보도에 따르면, 상원 의원 J.D. 밴스(J.D. Vance)가 트럼프 대통령과의 사적인 논의 중 예멘(Yemen) 폭격에 대해 반대 의견을 낸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밴스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 측근들과 함께 ‘후티 PC 소그룹(Houthi PC small group)’이라는 비공개 채팅방에서 예멘 폭격 계획을 논의하던 중, 공격 시점에 대해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그는 “지금 시점에서 공격을 단행하는 것은 유럽 문제에 대한 대통령의 메시지와 일관성이 없다”고 말하며, 섣부른 공격은 석유 가격 급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밴스 의원은 이어 미국의 무역 중 수에즈 운하(Suez Canal)를 지나는 비율은 3%에 불과하지만, 유럽은 40%에 달한다며 “또다시 유럽을 도와줘야 하느냐”는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에 국방장관 피트 헥세스(Pete Hegseth)는 “유럽은 정말 한심하다”며 동의했지만, 미국만이 이런 행동을 할 수 있는 나라라고 덧붙였습니다. 실제로 헥세스 장관은 이후 항공모함 추가 배치를 지시했고, 미국은 10일 넘게 예멘에 대한 공습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번 채팅 내용이 언론에 공개되면서, 튤시 개버드(Tulsi Gabbard) 등 참가자들은 상원 정보위원회에 소환됐습니다. 헥세스 장관은 해당 보도를 한 제프리 골드버그(Jeffrey Goldberg) 기자와 <디 애틀랜틱>을 강하게 비난하며, 유럽과의 우호적인 관계는 사실상 종료됐다고 말했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 자동차 관세 발표 예정…차량 가격 급등 우려
트럼프 대통령은 3월 27일 오후 자동차 및 부품 수입에 대한 새로운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레빗(Karoline Leavitt)은 기자회견에서 이를 확인했지만, 관세가 전체 수입 차량에 적용될지, 특정 국가나 품목에 한정될지는 아직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습니다.
이번 관세는 미국 내 자동차 공장 설립을 유도해 제조업을 되살리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목표와 맞닿아 있지만, 반대로 부품 공급망을 혼란에 빠뜨리고 소비자 가격을 급격히 올릴 수 있다는 우려도 큽니다. 미국 내 판매 차량의 절반은 수입산이며, 미국에서 조립되는 차량 부품 중 약 60%도 해외에서 들여온다는 점에서 그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유럽연합, 일본, 한국 등 주요 수출국들과의 무역 마찰이 심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미 중국산 제품에는 20% 추가 관세가 부과됐고, 캐나다와 멕시코 제품에는 25% 관세가 적용된 상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상호 관세’ 발표도 예고한 바 있습니다.
KPMG 수석 이코노미스트 켄 킴(Ken Kim)은 차량 가격이 수천 달러에서 최대 1만 달러 이상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 트럼프, 자동차 관세 발표 예고…나스닥 중심 주가 급락
3월 26일(수),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수입 관세 발표 예고로 인해 미국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나스닥은 2% 이상 급락, 특히 **테슬라(Tesla)**와 엔비디아(Nvidia) 등 기술주 중심으로 매도세가 강화됐습니다.
📉 주요 지수 동향
S&P 500: -1.2%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0.5%
나스닥 종합지수: -2.0% 이상
테슬라, 엔비디아 주가: 각각 -5% 이상 하락
🚗 관세 발표 여파
백악관, 오후 4시(ET) 트럼프 대통령 관세 발표 예정
GM, Ford, Tesla 주가 하락세 확대
트럼프는 자동차 관세에 “예외를 최소화하겠다”는 강경 입장 재확인
4월 2일부터 관세 시행 예정
💻 기술주 매도세 심화
엔비디아: 중국 환경 규제 관련 보도 후 하락세 가속
마이크로소프트(MSFT):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축소 보도 이후 하락
팔란티어(PLTR), 메타(META) 등도 동반 하락
📉 테슬라 추가 악재
테슬라 주가 하루만에 약 6% 하락
정치적 논란, 불매 운동, 유럽·중국 판매 부진
3월 29일 예정된 글로벌 불매 시위도 부정적 요인
위기관리 전문가 “머스크의 정치적 이미지가 브랜드에 악영향”
📊 기타 경제 지표
내구재 주문: 2월 0.9% 증가 (예상치 -1%)
하지만 경기 전망은 여전히 불확실, 1분기 GDP 성장률 1.3%로 유지
💬 시장 반응
전문가들 “불확실성 증가로 경기 위축 가능성 커져”
기술주 중심의 조정이 지속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옴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한 명확한 방향성과 예측 가능성 부족이 시장에 악재
👉 요약: 트럼프의 자동차 관세 예고와 보호무역 기조 강화는 기술주 중심의 주가 하락과 시장 전반의 불안감을 유발.
✅ 테슬라, 충전 대기 시간 해결 위해 '레스토랑+극장' 복합 공간 추진
테슬라(Tesla)가 전기차 충전 대기 시간을 보다 즐겁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사업에 나섰습니다. 일론 머스크(Elon Musk)는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 산타모니카 블러버드(Santa Monica Boulevard)에 ‘테슬라 레스토랑 및 충전소’ 복합 공간을 조성 중입니다.
이 공간은 테슬라 슈퍼차저(Supercharger) 충전소와 2층짜리 레스토랑, 대형 영화 스크린 2개, 다양한 식사 공간이 함께 어우러진 복합 엔터테인먼트 공간으로, 1950년대 미국식 다이너와 드라이브인 극장 스타일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이 특징입니다. 24시간 운영될 예정이며, 테슬라 이용자뿐 아니라 관광객들에게도 명소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해당 프로젝트는 2023년 9월 착공되었으며, 아직 공식 개장일은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테슬라는 이를 통해 고객 경험을 향상시키고 매출 증대를 꾀할 계획입니다.
✅ 터프츠대 터키 유학생, 연방 이민당국에 체포…비자 취소 논란
2025년 3월 25일 저녁, 매사추세츠(Massachusetts) 주 서머빌(Somerville)에서 터프츠대학교(Tufts University) 박사과정 유학생 루메이사 외즈튀르크(Rumeysa Ozturk)가 연방 이민당국(DHS)에 의해 체포됐습니다. 그녀는 라마단 금식을 마치기 위해 친구들을 만나러 가던 중이었으며, 당시 유효한 학생비자(F-1)를 유지하고 있었다고 변호인은 밝혔습니다.
터프츠대 총장은 해당 학생의 비자가 취소됐다는 사실만 통보받았고, 체포 사유나 경위에 대해서는 전혀 몰랐다고 전했습니다. 대학 측은 이번 사건 전 연방 당국과 어떠한 정보도 공유하지 않았으며, 체포 장소도 학교 소속이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변호인은 외즈튀르크가 어디에 수감됐는지 알 수 없고, 접촉도 불가능한 상태라며, 그녀의 이동을 막기 위한 긴급 인신보호청원(habeas petition)을 법원이 받아들였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서머빌에서는 외즈튀르크를 지지하는 집회가 예정돼 있습니다.
이번 사건은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의 이민 단속 강화 조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매사추세츠 주지사와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외국인 유학생을 위축시키는 조치라며 우려를 표했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 연방 선거 개혁 행정명령 서명…시민권 증명·선거 당일 마감 의무화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3월 25일 미국 연방 선거 제도를 대대적으로 개편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번 명령은 연방 선거 유권자 등록 시 시민권 증명 서류 제출을 의무화하고, 모든 투표용지가 선거 당일(Election Day)까지 도착해야 유효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대통령은 일부 주(州)가 선거 이후 도착한 투표를 집계하거나, 비시민권자의 등록을 제대로 막지 못하고 있다며, 연방 정부가 기본적인 선거 보호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따라 각 주는 유권자 명단을 연방 기관과 공유하고, 선거 범죄를 기소하는 데 협조해야 하며, 지침을 따르지 않을 경우 연방 예산 삭감도 경고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헌법상 주정부의 선거 관할권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민주당 관계자들은 “불법적이고 부도덕한 연방 권력 남용”이라며 반발했고, 선거법 전문가들도 법적 소송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이 명령은 또한 QR 코드 기반 투표 시스템 사용을 제한하겠다고 밝혔으며, 선거 지원 위원회(Election Assistance Commission)가 관련 기술 기준을 수정하고, 이를 충족하지 않으면 주정부에 자금을 제한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조지아(Georgia) 등 일부 주는 현재 QR 코드 기반 투표기를 사용하고 있어, 그 영향도 주목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으로 추가적인 선거 관련 조치를 계속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 '하우징 퍼스트' 폐기 추진…노숙자 강제 치료·수용 정책으로 전환
트럼프 대통령은 노숙 문제 해결 방식을 기존의 '하우징 퍼스트(Housing First)'에서 벗어나, 노숙자들을 대형 캠프로 강제로 이주시켜 정신건강 및 중독 치료를 의무화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이 정책은 수십 년간 주거 안정이 우선이라는 기존 연방 정책과는 완전히 다른 접근입니다.
대통령은 “우리 도시가 더 이상 살기 어려운 악몽 같은 공간이 되었다”며, 정신질환이 심각한 노숙자들을 수용소로 옮겨 치료 후 사회 복귀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노숙자 지원 예산 삭감과 사회복지 시스템 개편이 시작됐고, 워싱턴 D.C.에서는 거리 노숙자 철거 명령도 내려졌습니다.
'하우징 퍼스트'는 조지 W. 부시 행정부 때 도입돼, 안정된 주거를 먼저 제공하고 이후 자발적인 치료와 지원을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이 방식은 장기 노숙자 주거 안정에 효과적이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비효율적이며 중독을 조장한다"며 폐기를 추진 중입니다.
이번 조치는 전문가들과 현장 단체들의 강한 우려를 불러일으켰으며, 민주당 의원들도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일부 지방정부도 비슷한 조치를 취하면서, 노숙자에 대한 처벌 강화와 강제 치료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 LA카운티, 노숙자 문제 해결 위해 9억 달러 예산 승인…청년·예방사업 일부 유지
LA카운티 감독위원회는 3월 25일, 노숙자 지원 예산으로 총 9억 800만 달러를 승인했습니다. 이 중 6억 5,600만 달러는 새 세금인 ‘Measure A’에서, 나머지는 기존 잔여 예산과 주정부 보조금에서 충당됩니다. Measure A는 기존의 ‘Measure H’를 대체하는 반센트 판매세로, 4월부터 시행되며 연간 약 10억 달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예산에는 일부 프로그램 삭감도 포함됐습니다. 대표적으로 노숙자 취업 지원 프로그램(LA: RISE)은 8.4백만 달러에서 1.8백만 달러로 축소되며, 모바일 샤워 서비스는 완전히 중단됩니다. 반면 청년 대상 지원과 예방 서비스에 각각 최대 1,900만 달러와 700만 달러가 유지되며, 지역별 자율 대책을 위한 ‘Local Solutions Fund’에 9,640만 달러가 배정됩니다.
카운티는 앞으로 5년 내 길거리 생활자 수를 30%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encampment 정리, 노년층 주거지원, 위험군 예측 분석 등 새로운 시도도 포함됐습니다. 한편, 전체 Measure A 세금 중 약 36%는 별도로 신설된 ‘LA카운티 주택해결청’에 배정돼 저소득층 주거 확보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 Dollar Tree, 10년 만에 Family Dollar 매각…8억 달러 투자, 10억 달러에 정리
미국의 대표적인 할인매장 체인인 달러트리(Dollar Tree)가 2015년에 80억 달러에 인수했던 패밀리달러(Family Dollar)를 10년 만에 단 10억 달러에 매각하기로 했습니다. 인수 당시와 비교해 큰 손실을 입은 셈입니다.
이번 매각은 사모펀드 브리게이드 캐피탈(Brigade Capital Management)과 마셀럼 캐피탈(Macellum Capital Management)이 패밀리달러를 인수하며, 본사는 계속해서 버지니아 주 체서피크(Chesapeake, Virginia)에 유지될 예정입니다.
패밀리달러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소매업체지만, 위치 문제, 공급망 차질, 경쟁 심화, 그리고 설치류가 창궐한 창고 문제가 겹치며 지속적인 경영난에 시달렸습니다. 작년에는 1,000개 점포 폐쇄 계획도 발표됐습니다.
달러트리는 그동안 패밀리달러의 고객들이 매우 민감한 가격대에 반응한다며, 도난 사고도 수익성에 큰 타격을 줬다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달러트리가 감당하기 어려운 회사를 무리하게 인수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달러트리는 이번 매각을 통해 본래 사업에 집중하며 구조조정을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매각 발표 이후 주가는 소폭 상승했습니다.
✅ 사회보장 연금 과지급 회수 정책 강화…수령액 전액 압류 우려
2025년 3월 27일부터 미국 사회보장국(SSA)은 새롭게 발생하는 연금 과지급(overpayment)에 대해 수령자의 월 연금액 100%를 전액 회수하는 정책을 시행합니다. 이전까지는 월 수령액의 10%까지만 회수되었으나, 이번 조치로 인해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고령층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번 정책은 일론 머스크(Elon Musk)의 정부 효율성 부서(DOGE)와 함께 일해온 사회보장국 임시 국장 리 두덱(Lee Dudek)이 비용 절감을 위해 추진한 것으로, 수천 명의 직원 해고와 지역 사무소 폐쇄도 함께 이루어졌습니다.
전문가들은 연금 수령자의 40%가 전체 소득의 90% 이상을 사회보장 연금에 의존하고 있어, 전액 회수는 식비나 주거비를 감당하지 못하게 만들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특히 과지급의 상당수가 사회보장국 내부 실수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수령자가 이를 미리 알기 어렵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전 바이든 행정부는 이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회수율을 10%로 제한한 바 있으나, 다시 강화된 것입니다. 수령자는 소득 변동 등 개인 정보를 사회보장국에 즉시 업데이트하고, 연금 금액에 예상치 못한 변화가 있을 경우 즉시 문의해야 합니다. 또한 과지급 관련 통지를 받을 경우 SSA 양식 632를 통해 회수 면제를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 3월 대학 농구 시즌, 온라인 도박 사기 급증…가정과 청소년도 피해 우려
‘March Madness’라 불리는 미국 대학 농구 토너먼트 시즌 동안 약 31억 달러 규모의 베팅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온라인 도박 사기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사이버보안 업체 아코스 랩스(Arkose Labs)의 CEO 케빈 고스크척(Kevin Gosschalk)은 이 시기를 “사기, 가짜 사이트, 가짜 앱의 전성기”라고 지적하며, 한 번 베팅을 유도한 뒤 돈을 빼앗는 수법인 ‘러그 풀(Rug Pull)’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2023년에는 온라인 게임 및 베팅 플랫폼이 미국 내 디지털 사기 의심 거래 1위에 올랐으며, 전체 거래 중 약 11%가 사기로 분류됐습니다.
피해 사례로는 리카르도 리베라(Ricardo Rivera)라는 남성이 400만 달러 잭팟에 당첨됐다고 속은 후 추가 세금 명목으로 1,000달러를 요구받았고, 이에 항의하자 계정이 차단되고 돈도 돌려받지 못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사기 경고 신호에 주의할 것을 권고합니다:
과도하게 높은 보너스 제공
‘확정 수익’ 광고
암호화폐만 결제 가능하고 신용카드 사용 불가한 플랫폼
TV나 주요 언론에 광고되지 않는 생소한 사이트
FBI는 매년 수백 건의 온라인 도박 사기 신고를 접수하지만, 피해자들이 수치심에 신고를 꺼리는 경우도 많다고 밝혔습니다.
✅ 아시아 항공사들, 휴대용 보조배터리 기내 사용 금지 확대…화재 위험 우려
최근 아시아 지역 항공사들이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보조배터리(power bank)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내에서 발생한 과열 및 화재 사고가 늘어난 데 따른 조치입니다.
특히 지난 1월 한국 김해공항에서 대기 중이던 에어부산(Air Busan) 여객기에서 발생한 화재 원인이 보조배터리였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조사 결과, 배터리 잔해에서 다수의 전기적 용해 흔적이 발견됐으며, 과열이나 충전 중 불꽃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에 따라 한국은 모든 항공편에서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를 머리 위 수납함에 보관하는 것을 금지하고, 좌석 포켓 또는 좌석 아래에만 보관할 수 있도록 규정했습니다. 기내에서 USB 포트를 이용한 보조배터리 충전도 금지됐습니다.
이 밖에도 타이항공(Thai Airways), 싱가포르항공(Singapore Airlines), 에어아시아(Air Asia), 대만의 에바항공(EVA Air), 중화항공(China Airlines), 유니항공(Uni Air), 홍콩익스프레스(Hong Kong Express) 등도 보조배터리 사용 또는 충전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낮은 가격 덕분에 널리 사용되지만, 과충전, 손상, 제조 결함 등으로 인해 화재 위험이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여행 전 보조배터리에 부풀음이나 외부 손상이 있는지 확인하고, 단자에 절연 테이프를 붙이거나 별도 포장해 단락을 방지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FAA와 TSA에 따르면, 보조배터리는 위탁 수하물이 아닌 기내 반입 수하물에만 허용되며, 대부분의 항공사는 100Wh 이하 또는 최대 160Wh까지 2개까지 반입 가능하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 한국 동남부 대형 산불로 최소 24명 사망…3만 명 대피
한국 동남부에서 지난 5일간 발생한 대형 산불로 최소 24명이 사망하고 약 3만 명이 대피했습니다. 이는 한국 역사상 최악의 산불 중 하나로, 현재까지 약 4만4천 에이커(약 178㎢)가 불에 탔고, 300채 이상의 건물이 소실됐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TV 연설을 통해 “이번 산불은 과거 어느 때보다 심각하다”며 “모든 역량을 동원해 이번 주 내에 진화에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현재까지 4,650명의 소방관과 군인 등이 130대 헬기와 함께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으며, 소량의 비가 목요일에 예보되어 있습니다.
불은 영덕(Yeongdeok), 안동(Andong) 등지까지 번졌으며, 고운사(Gowoonsa)와 운암사(Unramsa) 등 천년 고찰도 화재로 소실됐습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하회마을과 병산서원도 위험에 놓여 있습니다.
또한 많은 반려동물과 가축이 피해를 입었으며, 동물 구조 단체 WEACT는 현재까지 13마리의 개를 구조해 치료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