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신의, ‘단가 육장’[2014년 EBS수능완성 B형][실전 모의고사 1회].hwp
[37~39]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장부의 ᄒᆞ올 사업(事業) 아ᄂᆞᆫ다 ᄆᆞᄅᆞᄂᆞᆫ다
효제충신(孝悌忠信) 밧긔 ᄒᆞ올 니리 ᄯᅩ 인ᄂᆞᆫ가
어즈버 인도(人道)의 ᄒᆞ올 니리 다ᄆᆞᆫ 인가 ᄒᆞ노라(제1장)
남산의 만턴 솔이 어ᄃᆞ려 가단 말고_
난(亂) 후 부근(斧斤)(1)이 그대도록 ᄂᆞᆯ낼시고
두어라 우로(雨露) 곳 기푸면 다시 볼가 ᄒᆞ노라(제2장)
창밧긔 세우(細雨) 오고 ᄠᅳᆯ ᄀᆞ에 졔비 ᄂᆞ니
적객(2)의 회포ᄂᆞᆫ 무슨 일로 그디 업셔
뎌 졔비 비비(飛飛)ᄅᆞᆯ 보고 한슘 계워 ᄒᆞᄂᆞ니(제3장)
적객의 벗디 업셔 공량(空樑)(3)의 졔비로다
종일 ᄒᆞᄂᆞᆫ 말이 무ᄉᆞᆷ 사설 ᄒᆞᄂᆞᆫ작고
어즈버 내 푸은 실ᄅᆞᆷ은 널로 만ᄒᆞ노라(제4장)
인간(人間)의 유정(有情)ᄒᆞᆫ 버ᄉᆞᆫ 명월밧긔 ᄯᅩ 인ᄂᆞᆫ가
천 리(千里)를 머다 아녀 간 ᄃᆡ마다 ᄠᆞᆯ아오니
어즈버 반가온 녯†버디 다ᄆᆞᆫ 넨가 ᄒᆞ노라(제5장)
설월(雪月)의 ᄆᆡ화를 보려 쟌을 쟙고 창을 여니
셕긘ƒ곳 여왼 속ᄋᆡ 자잔ᄂᆞᆫ이 향긔(香氣)로다
어즈버 호졉(胡蝶)이 이 향긔 알면 애 ᄭᅳᆫᄎᆞᆯ가 ᄒᆞ노라(제6장)
-이신의, ‘단가 육장’
(주) (1) 부근: 큰 도끼와 작은 도끼.
(2) 적객: 귀양살이하는 사람.
(3) 공량: 들보.
37. 윗글의 표현상 특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반어적 표현을 활용하여 삶의 모순을 드러내고 있다.
② 의문형 문장을 사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강조하고 있다.
③ 색채 대비를 통해 대상의 인상을 분명하게 표현하고 있다.
④ 풍자적 어조를 통해 비극적 상황에 희극적 요소를 가미하고 있다.
⑤ 청각과 후각적 이미지를 동시에 사용하여 대상을 구체화하고 있다.
38. (보기)는 윗글을 자료로 한 수업의 일부이다. 학생들의 의견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3점]
(보기)
선생님: 이 시를 다음과 같이 나타냈을 때, 이를 바탕으로 감상해 보세요.
A(제1장) → B(제2장) → C(제3장~제6장)
① A는 화자의 변치 않는 삶의 좌표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B와 C의 근본 바탕이 된다고 볼 수 있군.
② B는 C의 상황을 이해하는 맥락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군.
③ C에서 언급된 공간은 B에서 언급된 공간과는 다르다고 볼 수 있군.
④ A, B, C의 시상 전개는 계절의 순서를 염두에 두고 전개했다고 볼 수 있군.
⑤ A, B, C 모두 마지막 행이 동일한 서술어로 종결되어 통일감이 있다고 볼 수 있군.
39. (보기)를 바탕으로 윗글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조정은 왕위 계승 문제를 두고 대립한다. 광해군을 지지하는 대북파(大北派)가 영창 대군의 어머니인 인목 대비를 폐위하려고 하자 이신의는 폐모는 ‘효(孝)’에 어긋난다고 하여 인목 대비를 폐위하는 것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린다. 이 사건을 계기로 많은 인재들이 숙청을 당했으며, 이신의도 유배를 간다. 이신의는 유배지에서 근심을 드러내면서도 한편으로는 자신의 행위가 옳다고 생각하며 지조를 지키겠다고 다짐한다. 이러한 이신의의 생각이 ‘단가 육장’에 잘 드러나 있다.
① ‘어즈버 인도(人道)의 ᄒᆞ올 니리 다ᄆᆞᆫ 인가 ᄒᆞ노라’에는 상소를 올린 일에 대한 후회가 드러나 있다고 할 수 있다.
② ‘남산의 만턴 솔이 어ᄃᆞ려 가단 말고’에는 많은 인재들이 숙청당한 것에 대한 안타까움이 드러나 있다고 할 수 있다.
③ ‘두어라 우로(雨露) 곳 기푸면 다시 볼가 ᄒᆞ노라’에는 인재들이 다시 등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이 드러나 있다고 할 수 있다.
④ ‘뎌 졔비 비비(飛飛)ᄅᆞᆯ 보고 한슘 계워 ᄒᆞᄂᆞ니’에는 유배지에서의 근심이 드러나 있다고 할 수 있다.
⑤ ‘셕긘ƒ곳 여왼 속ᄋᆡ 자잔ᄂᆞᆫ이 향긔(香氣)로다’에는 여전히 간직하고 있는 지조가 드러나 있다고 할 수 있다.
2014년 EBS수능완성국어영역 국어 B형
[수능완성 국어영역 국어 B형 실전편]
실전 모의고사 1회
37. ② 38. ④ 39. ①
고전 시가 37~39.
이신의, ‘단가 육장’
지문 이해하기
(해제) 이 작품은 귀양살이의 고달픔과 임금에 대한 충정을 형상화한 연시조이다. 작가는 인목 대비의 폐위에 반대하는 상소문을 올렸다가 함경도로 유배를 떠난다. 이때의 고달픔을 제비나 명월 등의 자연물을 통해 잘 드러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변함없는 충정도 표현하고 있다.
(주제) 귀양살이의 고달픔과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충정
흐름 파악하기
* 제1장: 장부로서 할 일에 대한 천명
* 제2장: 당대의 정치적 상황과 인재 복귀에 대한 희망
* 제3장: 귀양살이의 처량한 신세 한탄
* 제4장: 귀양살이의 시름
* 제5장: 귀양살이의 외로움
* 제6장: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충정
37. 표현상 특징 파악
답: ②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② 확인: 의문형 문장쪽
‘아ᄂᆞᆫ다 ᄆᆞᄅᆞᄂᆞᆫ다’, ‘ᄒᆞ올 니리 ᄯᅩ 인ᄂᆞᆫ가’, ‘그대도록 ᄂᆞᆯ낼시고’, ‘무ᄉᆞᆷ 사설 ᄒᆞᄂᆞᆫ작고’, ‘명월밧긔 ᄯᅩ 인ᄂᆞᆫ가’ 등에서 의문형 형태의 문장을 사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강조하고 있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확인: 반어적 표현
반어적 표현을 사용하고 있지 않다.
③ 확인: 색채 대비
색채 대비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
④ 확인: 풍자적 어조
풍자적 어조를 사용하여 희극적 요소를 가미한 부분을 찾을 수 없다.
⑤ 확인: 청각과 후각적 이미지를 동시에 사용
청각적 이미지와 후각적 이미지를 각각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동시에 사용하고 있지는 않다.
38. 시상 전개 방식에 대한 이해
답: ④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④ 확인: 계절의 순서
C에서 ‘세우’를 봄으로, ‘명월’을 가을로, ‘설월’을 겨울로 본다면, C는 어느 정도 계절의 변화를 염두에 두고 시상을 전개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A와 B에서는 계절감이 드러나지 않는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확인: 변치 않는 삶의 좌표
B는 화자가 정치적으로 숙청을 당하는 상황이고, C는 그로 인해 유배를 온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자는 A에서 ‘효제충신’이라는 삶의 지표를 계속 지키겠다는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② 확인: 상황을 이해하는 맥락
C와 같이 화자가 유배를 온 것은, B와 같은 숙청을 당했기 때문이다. 즉 B와 같은 사건 때문에 화자가 C와 같은 상황에 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③ 확인: 언급된 공간
B에서 언급된 공간은 남산, 즉 서울을 의미하는 데 반해, C에서 언급된 공간은 천 리나 떨어진 귀양지이다.
⑤ 확인: 동일한 서술어로 종결
A, B, C 모두 마지막 행을 ‘?노라’라는 동일한 서술어로 종결하여 통일감을 주고 있다.
39. 외적 준거에 따른 작품 감상
답: ①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① 확인: 인도
‘인도’란 효제충신을 의미하는데, 화자는 인목 대비의 폐위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린 것이 효제충신에 맞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를 계속 지키겠다는 신념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화자가 상소를 올린 일에 대해 후회를 드러내고 있다는 진술은 적절하지 않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② 확인: 남산, 솔
‘남산’은 조정을, ‘솔’은 국가를 지킬 인재를 의미하므로 인재들의 숙청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③ 확인: 우로
‘우로’는 임금의 은혜를 의미하므로 인재들을 다시 볼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드러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④ 확인: 한슘
화자가 현재 유배지에서 느끼고 있는 감정이므로 유배지에서의 근심을 드러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⑤ 확인: 향긔
매화의 향기는 지조를 의미하므로 화자의 지조를 드러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