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결(口訣)은 한문 문장의 우리말 해석을 위하여 그 뜻풀이 순서를 점 등의 기호로 표시하거나 토(우리말 조사, 어미등)를 한자나 그 약자형태를 빌어 적은 표기체계이다. 석독구결(釋讀口訣), 음독구결(音讀口訣)로 크게 나누어 볼수 있다. 중요한 점은 한문문장의 원래 어순을 바꾸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두(吏讀)는 한문을 우리말 어순으로 바꾸어 배열하고 필요한 경우 우리말 조사, 어미등을 한자의 음을 빌어 적은 표기 체계이다. 주로 각 관청의 하급 관리(아전)들에 의해 많이 쓰였다.
향찰은 신라말을 한자로 적은 글로 한자 표기법이 맞지만, 의미와 소리를 모두 정자 형태의 한자로 표기 하였다. 문법 형태소에 해당하는 조사, 어미 등을 한자의 약자 형태로 표기한 것은 구결이다.
향찰이란 우리나라 고유의 서찰이란 뜻으로 한자를 사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한 서식이다. 향찰은 중국어 표기의 한문어순과는 달리 우리말의 어순대로 표기한 것이다. 즉, 한문의 음과 훈을 빌어 우리말을 완전하게 표기하려는 의도로 우리말의 의미부는 훈독으로 형태부는 음독으로 나누어 표기하였던 것이다.
훈민정음은 소리글자이나 초성, 중성, 종성등을 모아쓰기하여 표의 문자가 가지고 있는 장점도 아울러 취하고자 하였다. 즉, 음절과 형태를 고려하여 모아쓰기를 함으로써 형태소, 단어 등의 의미단위를 사용자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 표기 방식을 택했다. 한자도 각각의 글자가 곧 의미 단위이기 때문에 해당 한자를 알고 있으면 띄어쓰기를 하지 않더라도 그 의미를 직관적으로 알수 있다. 영어와 같은 인구어는 알파벳을 옆으로 풀어쓰므로 단어 경계나 어절 경계를 띄어쓰기로 보여주지 않으면 표기만으로는 의미 단위를 구별하기가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