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묵은 산길로 오른 근교명산
□ 산행개요
○ 산 행 지 : 관룡산~화왕산 /경남 창녕
○ 산행일자 : 2014년 10월 04일(토) / 맑은 날씨
○ 산 행 자 : 부산토요일산악회와 함께
○ 산행코스 : 화왕산자연휴양림~575.5봉~구룡산~관룡산~허준세트장~동문~화왕산~배바위~구현고개~심곡사
○ 산행기점 : 화왕산자연휴양림(경남 창녕군 고암면)
○ 산행시간 : 5시간 52분(GPS 12.6km)
□ 산행일지
08:00 부산 서면전철역 3, 5번 출구 사이 우리투자증권 앞에서 출발(산악회 버스)
09:56 화왕산자연휴양림 600m 직전 팻말이 있는 도로에서 하차
화왕산자연휴양림 방향으로 2차선 도로를 따라 들어가다가 도로폭이 좁아지는 지점에서 하차했다.
10:05 산행시작 /GPS고도 249m
휴양림으로 들어가는 포장길을 따라 진행한다. 급커브길만 조금 넓다면 대형버스도 진입할 수 있겠다.
10:13 화왕산자연휴양림 종합안내도
이정표(↑산림욕장, →화왕산정상 6km /관리사무소 0.1km)
직진하여 차량통행 차단봉을 지나면 다시 이정표가 있는 갈림길을 만난다. 능선으로 오르는 들머리다.
10:14~15 들머리
이정표(←산림욕장, ↑화왕산정상)
직진하는 임도는 옥천삼거리를 거쳐 허준세트장으로 이어진다. 좌측 계단길로 올라선다. 이어지는 나무
계단길은 제법 가파르다. 도중에 우측으로 갈라지는 길이 있으나 능선을 향해 계속 올라선다.
10:38~44 능선중턱 /GPS고도 516m
8부 능선쯤 될까. 급한 지능선이 완만해지는 곳이다. 잠시 후미를 기다렸다. 길은 희미해졌으나 풀숲이
우거진 곳이 아니어서 우측 능선을 향해 오르면 된다.
10:50 575.5m봉(×575.5) /부산일보 지도상 574봉
완만하게 올라선 봉우리다. 별다른 표식은 없으나 좌측에서 오는 길이 합쳐지는데 이 길은 노단이고개
에서 올라오는 화왕지맥길이다. 따라서 지금부터 걷는 길은 화왕지맥이 된다.
10:52~55 안부
575.5m봉에서 내려선 안부인데 좌우로 희미한 길이 나 있다. 직진하여 능선길을 이어간다.
10:56 이정표(↑구룡산 정상 0.6km, ↘부곡온천 13.9km)
곧 나무의자를 지나면 제법 가파른 오르막이다. 노란 철봉에 밧줄이 이어있는 오르막이 두 번 반복된다.
11:17~23 구룡산(△740.0)
정상석(구룡산 741m)과 삼각점 및 푯말(청도 335)이 서 있고, 나무에는 표찰(화왕지맥 740.7m)이 걸려
있다. 직진하여 평탄한 능선길을 이어간다.
11:25 묵은 헬기장
화왕산 부곡온천간 등산로 안내도가 있다. 풀숲이 우거진 묵은 헬기장에 좌우로 갈림길 있다. 직진하여
몇 걸음 하니 이정표가 널브러져 있다. 이정표(↑화왕산 3.4km, ←옥천 3.1km, ↓부곡온천 14.9km)
그러고 보니 2007년 4월에 이곳에서 좌측길로 내려간 적이 있는데, 그때는 이곳을 부산일보 지도에
따라 구룡산 정상으로 삼았던 것이다. 어쨌거나 화왕산을 향해 주능선길을 따라 진행한다.
11:27 팻말(이곳은 등산로가 아닙니다)
길은 주능선을 좌측에 두고 살짝 우회하는가 했더니 능선 방향에 등산로가 아니라는 팻말이 서 있다.
단체산행인 만큼 반질한 길을 따라 능선을 좌측에 두고 우회하여 내려선다.
11:32 거대한 암굴(안부)
11:36~40 구룡삼거리(암릉)
이정표(↑화왕산 정상 3.4km, ←관룡사 1.0km, ↓부곡온천), 119푯말(구룡삼거리, 창녕 5-3)
좌측은 깎아지른 바위절벽, 조망이 시원하게 트이면서 암릉은 청숲과 어우러져 화려하게 이어진다.
10:47~51 암봉 /GPS고도 713m
11:54 119푯말(구룡삼거리 200m, 창녕 5-4)
12:00 공터갈림길
119푯말(헬기장, 창녕 4-5), 이정표(↑용선대, ↗화왕산 정상 2.9km, ↓청룡암 0.6km)
화왕산으로 가는 길은 우측 내림길이지만, 관룡산 정상은 용선대 방향 몇 걸음 앞에 있다.
12:01~03 관룡산(×753.6)
널찍한 헬기장 한쪽에 정상석(관룡산 754m)이 있다. 공터갈림길로 되돌아와 화왕산 방향으로 내려선다.
12:11 690.7m봉(×690.7)
12:18~50 옥천삼거리(GPS고도 620m) /중식
이정표(←1등산로 4.1km, →고암감리 3.0km, ↓관룡사 2.0km)
내려선 길 외 널찍한 임도가 세 갈래로 갈라지는 안부공터다. 화왕산스토리길 안내도 등 3개의 입간판이
서 있고 이정표는 직진 임도에 2개가 잇달아 서 있다. 주변에서 점심을 먹고 직진 임도를 따랐다.
이정표1(←1등산로 4.1km, →고암감리 3.0km, ↓관룡사 2.0km) 이정표2(↖화왕산 1.8km, ↗박월산 6.5km)
13:03 허준세트장
13:14~17 동문
이정표(↑서문 0.4km, ←남문, 배바위 0.6km, →화왕산정상 0.7km, ↓허준세트장 0.7km/옥천매표소 5.2km)
화왕산 정상은 서문으로 가는 것이 가깝다. 그러나 우측 성벽을 밟고 간다. 장쾌한 능선을 걷기 위함이다.
13:25 주능선 갈림길 /GPS고도 747m
이정표(←화왕산정상 0.5km, →천문관측소 0.9km, ↓동문, 배바위 0.9km)
광활한 억새밭을 좌측으로 내려다보면서 정상을 향한다. 곧 정면으로 우뚝한 암봉이 나타나고 우측은
깎아지른 절벽이다. 헌걸찬 능선의 황홀한 억새길이다. 우뚝 암봉에 올라서면 바로 앞에 정상이 보인다.
13:40~45 화왕산(△757.7) /정상석(화왕산 756.6m)
화왕산 정상은 오늘도 만원이다. 정상 인증사진을 위해서는 줄을 서야 한다. 하산길을 따라 내려선다.
13:46 자하곡 갈림길 /직진
이정표(↑서문, 배바위 0.7km, →3등산로, 자하곡매표소 3.1km, ←동문 0.7km)
13:50 서문
이정표(↑배바우 0.6km, ←동문 0.4km, →자하곡매표소<산림욕장> 2.4km, ↓정상 0.2km)
정면 위에 우뚝하게 보이는 것이 배바위다. 억새밭 사이로 나 있는 길을 따라 배바위를 향해 오른다.
13:58~14:04 배바위(×756.8)
이정표(→1등산로 자하곡매표소 2.8km, ←동문, 남문 0.6km, ↓화왕산정상 0.7km)
몇 개의 바위가 더미지어 널찍한 바위는 천길 낭떠러지를 이룬다. 바위 위에 올라서면 화왕산 일대가
한눈에 들어온다. 진행방향은 올라선 우측능선이다.
14:07 창녕 화왕산 소방무선중계소
14:08~10 전망 좋은 바위더미
14:12 창녕시 일대 조망처
119푯말(장군바위, 창녕 1-5) 앞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몇 걸음한 곳이다. 창녕시가 한눈에 보인다.
되돌아 능선길로 진행하는데 바로 이정표가 서 있는 갈림길을 만난다.
14:13 도성암 갈림길 /직진
이정표(↑비들재 3.5km, →도성암 2.2km, ↓화왕산 0.7km)
14:28 749.6m봉(×749.6) /직진
이정표(↑비들재 2.8km, →창녕매표소 2.6km, ↓화왕산 1.5km)
14:32~39 구현고개 /GPS고도 678m
이정표(↑비들재 2.5km, →심곡사 2.0km, ↓화왕산 1.9km)
주변에서 회원들을 기다렸다가 심곡사로 내려선다. 골짜기를 따라 내려가는 길이다.
14:57 계곡 둑
15:04 계곡 건넘
제법 폭이 있는 곳이지만 상류라 그런지 물이 없는데, 잠시 후 물이 흐르는 계곡도 건너고 어느덧
길은 계곡을 좌측 아래에 두고 사면길로 이어진다.
15:32~55 계곡욕
심곡사를 7, 80m를 앞두고 계곡에 내려가 몸을 담갔다. 제법 규모 있는 소도 있고 깨끗한 곳이다.
15:57 심곡사 /GPS고도 164m
16:02 자련농원 앞(버스 대기) /산행종료
16:17 버스 이동, 김해 선암다리 주변에서 저녁식사
19:13 부산 백양터널을 지나 하차
▽산행개요도
▽산행고도표
▽구글로 본 산행경로
▽구간 상세도(자연휴양림~옥천삼거리)
▽구간경로(자연휴양림~옥천삼거리)
▽화왕산자연휴양림 진입도로에서 하차했다. 급커브구간에 버스가 진입할 수 없기 때문...
▽600여m를 걸어서...
▽휴양림 안내도를 만났다.
▽들머리는 안내도를 지나 몇 걸음하면 좌측에 있다.
▽계단길로 올라서...
▽묘지를 지나면...
▽산길은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약간 희미한 길도 있으나 능선을 따라 오르면 된다.
▽첫 번째 봉우리. 화왕지맥길과 만나는 575.5m봉이다.
▽안부에 내려서면...
▽이정표를 만나고...
▽곧 가파른 오르막이 시작된다.
▽올라서면 잠시 완만하다가...
▽다시 된비알이 반복된다.
▽구룡산 정상, 정상석과 삼각점이 있다.
▽구룡산 정상부근은 편평하다.
▽100m앞에 오래된 안내도가 있는데...
▽둘러보니 묵은 헬기장이고...
▽몇 걸음 앞에 이정표가 넘어져 있다.
▽능선은 등산로가 아니라해서...
▽우측 비탈길로 우회했다.
▽이건 거대한 바위굴...
▽기도처로 삼은 흔적이 있다.
▽산행로는 능선(구룡삼거리)으로 올라서는데...
▽돌아보니 이곳도 출입금지? 괜히 우회했다는 생각이 든다.
▽이제부터는 암릉길이다.
▽좌측으로 확 트인 조망과 함께...
▽암릉은 화려하게 이어진다.
▽안전줄이 있지만 전혀 미끄럽지 않다.
▽다가선 암봉. 우회길을 외면하고 바로 올랐다.
▽지나온 암릉을 돌아보고...
▽암봉을 내려서는데 두발로 걸어도 좋은 길이다.
▽이제 바윗길은 끝났다.
▽오르막을 올라서면 넓은 공터...
▽이정표가 서 있다. 화왕산은 우측이지만, 용선대 방향으로 몇 걸음하여...
▽관룡산 정상석을 보고 돌아왔다.
▽길은 잠시 내리막이 이어지다가...
▽중턱봉(×690.7)을 하나 넘어서...
▽옥천삼거리로 내려선다.
▽구간상세도(옥천삼거리~구현고개)
▽구간경로(옥천삼거리~구현고개)
▽옥천삼거리에서 화왕산 가는 길은 직진방향이다.
▽반반한 임도길은...
▽허준세트장을 지나고...
▽배바위를 향한다.
▽동문에 이르러...
▽성벽에 올라 능선으로 향했다.
▽억새밭을 가로질러...
▽화왕산 넓은 평원을 보며 걸었다.
▽평원 가장자리를 걸어가는 능선길이다.
▽화왕산 정상은 오늘도 만원이다.
▽서둘러 정상을 찍고...
▽서문을 향해 내려선다.
▽서문은 상인들로 번잡해서...
▽배바위를 향해 걸음을 재촉한다.
▽배바위. 화왕산 억새분지를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명당이다.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또 하나의 암봉을 넘어서...
▽창녕군 일대를 내려다 본 후...
▽화왕지맥을 이어간다.
▽짧게 내려섰다가...
▽짧게 올라서는 길이 반복된다.
▽저 앞 암봉(×749.6)은 제법 우뚝하게 보이지만...
▽몇 걸음하면 금방 올라선다.
▽749.6m봉. 갈림길이 있으나...
▽우리는 직진하여 능선을 이어간다.
▽저 앞에 보이는 병풍바위...
▽그러나 오늘 걷는 지맥길은 이곳 구현고개까지다.
▽구간상세도(구현고개~심곡사)
▽산행경로(구현고개~심곡사)
▽구현고개에서 심곡사로 내려서는 길은 가파르다.
▽많이 다니지 않는 길이지만, 그런대로 길은 이어지고...
▽작은 물길을 몇 차례 건너면...
▽계곡을 왼쪽 아래에 두고 걷는 길이 한동안 계속된다.
▽심곡사 직전에서 계곡으로 내려가...
▽적당한 곳을 찾아 땀을 씻은 후...
▽되돌아 올라와 심곡사로 나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