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기시험 방식은 객관식, 각 과목당 20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시험 시간은 총 120분이다. 과목당 8문제 이상을 맞춰야 하며, 한 과목이라도 8문제 미만으로 맞출 경우 총점이 평균 60점 이상이라도 과락으로 불합격이다. 문제는 공개하지 않으며, 시험장에서 시험지를 걷어간다. 현행 기사 제도에서는 유일한 필기 비공개 시험이다. [4][5] 최초 시행된 2021년 제2회 필기시험에서는 예상보다 통계 관련 문제가 많이 나와 수험생들을 멘붕에 빠트렸다. 합격률이 한 자릿수가 아니냐는 의견도 나왔으나 필기 합격률은 40%대로 꽤 높은편이다.
[실기]
실기 프로그램은 R(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Python 중에서 수험자가 직접 선택하여 응시 가능하다. 시험 시간은 180분.
제5회 실기시험까지 단답형 10문제(각 3점씩)와 데이터 전처리 능력을 보는 작업형1 3문제(각 10점씩), 제공되는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예측 모델링을 수행하는 작업형2 1문제(40점)가 출제되었으나, 제6회 실기시험부터는 단답형 10문제가 없어지고 가설검정 능력을 평가하는 작업형3 2문제(30점)가 출제된다. 총점 60점을 넘으면 합격한다.
실제 6회 시험에서는 작업형3 문제가 3문제 출제되었고, 출간된 교재나 강의에서 다루는 범위가 아닌 회귀문제도 나왔다. 문제오류로 인해서 전원 정답처리되는 문제가 2문제 가량 있었는데, 시험 자체가 자리를 잡지 못하고 매번 유형이 바뀌고 있는 점이 수험생들에게는 난이도 떡상의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작업형3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통계학 개론 수준의 내용은 알고 있어야 하는만큼 기존에 작업형2 문제까지 나오는 빅데이터분석기사를 생각하고 시험장에 들어가는 상황이 되면 안될 것이고, 철저한 코딩 준비가 필요하다.
클라우드 기반 코딩 플랫폼이 제공된다. Jupyter Notebook처럼 셀 혹은 줄 단위로 실행시킬 수 없고, 전체 코드를 한 번에 실행해야 한다. 또한 자동완성 기능도 제공되지 않으므로 유의할 것. 코드 실행시간은 최대 1분이며, 1분을 넘기면 자동 실행취소된다. 아래 링크의 환경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