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airless Mice를 이용한 광노화 모델에서 꾸지뽕나무추출물의 피부주름 형성 억제효과
김옥경1․호진녕1․남다은1․전우진2․이정민1†
1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2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서 론
피부의 노화는 시간 의존성 자연노화에 따른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외부적 요인에 의한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로 구분할 수 있다. 바람, 온도, 공해, 자외선 등에 의한외인성 노화 중 자외선에 의한 노화를 광노화라고 한다(1).
지속적인 자외선 노출은 피부의 활성산소종의 증가를 유도하여 광노화가 진행된다(2,3). 피부에 도달한 자외선은 표피
에 활성산소를 과도하게 생성시키게 하고 이에 의해 멜라닌세포의 불규칙한 멜라닌 생성으로 인한 색소 침착을 관찰할
수 있고(4), 각질형성세포의 배열을 불규칙적으로 변화시켜피부 보습을 저하시킨다(5). 활성산소의 자극을 받은 각질형
성세포는 염증성 cytokine을 분비하여 진피의 섬유아세포를자극시켜 NF-κB pathway와 AP(activator protein)-1의
DNA binding을 촉진시켜 MMPs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반면 type-1 procollagen의 합성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교원
질(collagen) 생합성 저해 및 분해 촉진을 유발시켜 피부주름을 형성하며 탄력감소를 일으킨다(6,7). 이러한 생화학적
인 기전에 근거하여 광노화 피부에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활성산소가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8). 따라서
피부 노화방지와 주름개선에 있어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항산화 물질이나 교원질 분해 작용 억제 및 교원질 합성을
촉진시키는 소재의 발굴이 중요시 된다(9).
많은 연구 보고에서 활성산소에 대한 항산화가 주름개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피부
건강을 위한 항산화제에 대한 천연물질 소재 탐색 연구가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알려져 있는 항산화 물질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페놀성 화합물이며 대표적인 것중 하나가 플라보노이드이다(10). 최근 우리는 꾸지뽕나무
(Curdrania tricuspidata Burea)의 부위별 및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고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잎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지녀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 활성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11). 꾸지뽕나무는 뽕나무과(Mol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동아시아나 우리나라 전라도, 경상도, 충청남도 등
에 분포하며 10월경 붉은 열매를 맺는 특징이 있다(12). 꾸지뽕나무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는 항산화 활성에 대해 다양하
게 연구되어 왔으며(13), 뿐만 아니라 항염(14), 항당뇨, 고혈압 억제(15) 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이에 따라 꾸지뽕
나무의 기능성 입증에 대한 연구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이러한 생리활성 작용은 꾸지뽕나무의 페놀성 화합물의 생
리활성 성분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11-13,16).
이러한 꾸지뽕나무의 항산화 활성은 자외선에 의한 활성산소의 증가를 억제시켜 주름개선 효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전 연구를 통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인 꾸지뽕나무 잎 80% 에탄
올 추출물(CTL80)을 이용하여 광노화 유발 동물모델에서식이 투여와 로션 도포를 통한 주름 형성 억제효과를 비교
및 검증하기로 하였다.
재료 및 방법실험동물 및 처치
대한바이오링크(Eumseong, Korea) 실험동물 사육장으로부터 공급 받은 20 g 내외의 6주령 암컷 hairless mouse
(Skh-1)를 일주일 동안 설치류 사육실에서 적응시킨 후 적응기간 중 일반 상태를 관찰하여 건강한 개체만 실험에 사용
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3±3oC, 습도 50±5%에서 lightcycle을 12시간으로 유지하였고 순화기간 중 건강하다고 판
정된 동물에 대하여 평균체중에 가까운 개체를 선택하여 무작위법을 이용하여 군 분리를 실시하였다.
군 분리는 Table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크게 식이 투여군과 로션 도포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5마리씩 분류하였다.
기본 식이는 AIN93G를 제공하였으며, 기본로션은 propyleneglycol : ethanol : distilled water=5:3:2로 제조하여 동
물의 등 부위에 200 μL씩 도포하였다. 자외선 조사와 함께식이제공을 실시하였으며 자외선 조사 2시간 전에 로션을
도포하였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주름 유발
자외선 조사는 UVB lamp(5 Sankyo Denky G5T5 lamps,Sankyo Denki Co., Yokohama, Japan)를 이용하여 최소 홍
반량(minimal erythromal dose, MED)을 100 mJ/cm2으로하여 1주일에 3회씩 mouse의 등 부위에 조사하였으며, 1주
는 1MED(100 mJ/cm2), 2주는 2MED(200 mJ/cm2), 3주는3MED(300 mJ/cm2), 4주부터 10주까지 4MED(400 mJ/cm2)
로 조사하여 주름살을 유도하였다. 10주의 시험 종료 후 각군의 시험동물을 희생시켜 혈액과 피부 조직을 얻었다.
형태학적 관찰
형태학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로 mouse의 등 부위를 근접 촬영하였으며, 보다 자세한 관찰을 위해
digital microscope(DG-3x, Scalar Co., Tokyo, Japan)을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 형태를 관찰하였다.
조직병리학적 관찰
조직 준비를 위해 mouse를 희생시킨 후 등쪽 피부를 떼어내어 filter paper에 편평하게 부착한 후 10% 중성 포르말린
에 고정시킨 다음 일반적인 조직처리 과정을 거쳐 파라핀포매하여 조직절편기(RM2125, Leica, Wetzlar, Germany)
를 이용해 4 μm의 두께로 절단한 다음 polylysine으로 coating된slide에 붙였다. 조직절편은 xylene을 이용하여 paraffin을
제거하고 alcohol과 증류수로 10분간 함수시켜 증류수로 세척한 후, 피부조직의 변화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H&E
(Hemaoxylin & Eosin) 염색을 실시하였다.
항산화 효소 활성 측정
동물을 희생시켜 얻은 혈액을 16,000 rpm에서 20분 동안원심분리 하여 혈청을 얻은 후 superoxide dismutase(SOD)
와 glutathione peroxidase(GSH-Px) 활성을 측정하였다.
SOD 활성은 SOD assay kit-WST(Dojindo, Kumamoto,Japan)를 이용하여 지시대로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혈청을 넣고 WST-1(2-(4-iodophenyl)-3-(4-nitrophenyl)-5-(2,4-disulfophenyl)-2H-tetrazolium, mono-sodium salt)
과 xanthine oxidase working solution을 첨가한 다음 37oC에서 20분간 배양한 후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Menio Park, CA, USA)를 이용하여 4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GSH-Px 활성은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assay kit(BioVision Inc., Mountain View, CA,USA)를 이용하여 지시대로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NADH, glutathione, glutathione reductase 용액을 첨가한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340 nm에서 흡광도의 변
화 값을 측정하였다.
RNA추출 및 실시간 정량 PCR
피부조직으로부터 총 RNA의 추출은 TRIzolⓇ(Life TechnologiesInc., Rockville, MD, USA)의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cDNA 합성은 각 시료에 대하여 1 μL의 RNA를 이용하여 iScript cDNA Synthesis kit
(Bio-Rad Laboratories, Inc., Hercules, CA, USA)로 합성하였다. 유전자들의 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SYBR Green(iQ
SYBR Green Supermix, Bio-Rad Laboratories, Inc.)을 이용한 실시간 정량 PCR(real time quantitative PCR)을 실시
하였고, 기기는 Real-Time PCR(Applied Biosystems,Foster City, CA, USA)을 사용하였다. 모든 유전자의 PCR
산물의 크기는 100 bp 내외로 하였고, Tm(melting temperature)값도 54oC 부근으로 디자인하였다. 각각의 유전자에
대한 PCR primer의 염기서열은 다음과 같다. GAPDH forwardprimer 5'-CAT GGC CTT CCG TGT TCC TA-3',
reverse primer 5'-GCG GCA CGT CAG ATC CA-3';MMP-1 forward primer 5'-TTG CCC AGA GAA AAG
CTT CAG-3', reverse primer 5'-TAG CAG CCC AGAA GCA ACA-3'; MMP-3 forward primer 5'-CCC
CTG ATG TCC TCG TGG TA-3', reverse primer5'-GCA CAT TGG TGA TGT CTC AGG TT-3'; MMP-9
forward primer 5'-AGT GGG ACC ATC ATA ACA TCACAT-3', reverse primer 5'-TCT CGC GGC AAG TCT
TCA G-3'. Real-time PCR 반응은 총 20 μL 내에 cDNA1 μL와 10 μL의 2×SYBR mix, primer는 각각 100 pmol/μL
를 1 μL씩 첨가하였고 나머지는 증류수로 채워 주었다. 모든유전자에 대하여 PCR 증폭 단계는 다음과 같고 증폭 cycle
은 40 cycle을 실시하였다. Hot start를 위해 95oC에서 10분,증폭 단계의 denaturation을 95oC에서 15초, annealing을
55oC에서 15초, extension을 72oC에서 10초간 반복하며, 각cycle의 extension 후에 값이 기록되었다. 모든 cycle이 완료
된 후 primer의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해 melting curve 분석을 실시하였다. mRNA의 상대적인 함량은 자외선 처리와
물 투여군에 대한 상대적인 양으로 나타내었다. 결과의 분석은 Applied Biosystems에서 제공하는 One step System
software v2.1로 분석하였다.
통계처리
본 실험결과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Science, SPSS Inc., Chicago, IL, USA) version 18.0 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측정 항목의 결과는 평균(mean)±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표시하였고
실험군간 평균의 차이는 one-way ANOVA로 유의성을 확인한 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사후 검증
하였으며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의 여부를 검증하였다.
결과 및 고찰
피부의 형태학적 관찰
피부는 외부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조직이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노화 현상을 연구하
는데 있어 가장 적합한 기관이다(17). 그러나 자외선 노출에의한 인체 피부노화 연구는 오랜 기간이 소요되며 자외선
노출량을 조절하기 어렵다. 따라서 광노화 연구에 있어서인간의 표피 및 진피의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hairless
mouse가 광노화 연구 모델로 적합하여(18), 본 연구에서는 hairless mouse를 이용하여 UVB를 조사함으로써 광노
화 유발 모델을 만들어 항산화 작용이 뛰어난 비타민 C와CTL80의 주름 형성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광노화 피부의 임상적인 특징은 피부표면이 거칠고 건조하며, 비정상적인 탄력섬유물질이 축적되어 탄력성이 감소
하고 심하면 피부가 쳐져 주름살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19). 따라서 이러한 피부 주름 변화의 형태학적인 관찰을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로 mouse의 등 부위를 촬영하여 관찰하였으며 digital microscope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을 더 자
세하게 관찰하였다. UVB 조사 6주 이후에 주름이 형성되는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8주째가 되자 깊은 주름이 형
성되었다. 실험기간 10주째 피부주름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UVB 조사한 군은 비조사군과 비교하였을 때 주름 능선의
두께가 굵고 간격이 넓으며 주름이 깊게 형성되었으며 각질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비타민 C와
CTL80을 처리한 군들에서는 주름 형성이 억제되었음을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CTL80의 처리 농도가 높
아질수록 억제 효과가 더 커졌으며, 로션 도포군이 식이 투여군보다 더 효과가 좋았음을 확인하였다(Fig. 1). 이는 로션
의 도포가 UVB로부터의 피부손상을 직접적으로 보호한 효과를 갖은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피부의 조직병리학적 관찰
광노화 피부의 조직학적인 특징은 표피의 두께가 두꺼워지며 각질세포의 배열이 불규칙해지거나 세포의 모양이 비
정상적으로 변화한다. 진피에서는 교원질의 양이 심하게 감소되고 상부 진피에 비정상적인 탄력섬유물질이 광범위하
게 침착되면서 피부주름살, 탄력감소 등이 더 심하게 나타나게 된다(20). 이러한 조직학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동물
을 희생시킨 후 등 부위의 피부조직을 H&E 염색을 하여표피와 진피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보고된 바와 일치하
게 UVB 비조사군에 비하여 UVB 조사군에서는 표피의 두께가 두꺼워졌고 각질세포의 다형성이 관찰되었으며 모낭
의 크기도 증가하였다. 진피에서는 교원섬유의 배열이 불규칙적으로 변하였고 탄력섬유가 증가되었다. 하지만 비타민
C와 CTL80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질층과 표피층의 증가가 감소하였으며 진피층의 교원섬유가 증가되었
고 배열이 상대적으로 조밀하고 규칙적으로 나타났다. 특히실험군 간의 비교에서는 2% CTL80 로션 도포군의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Fig. 2). 조직학적인 변화도 형태학적인변화를 관찰한 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혈액의 항산화효소 활성 변동
자외선이 피부에 과량으로 노출되면 활성산소가 많이 발생하여 항산화 방어체계가 손상 받게 됨으로써 주름 형성,
피부의 탄력성 저하 등의 피부노화가 가속화된다. 산화적스트레스는 생체대사 과정 중에 자유라디칼을 생성하여 세
포에 상해를 주는데, 이러한 자유라디칼 중 세포내 호흡 부산물로써 생성되는 superoxide anion radical은 SOD에 의해
과산화수소(H2O2)로 전환되며 이것은 다시 CAT 및 GSHPx에의해 물과 산소로 분해되어 해독화 된다(21). 뿐만 아
니라 GSH-Px는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여 과산화수소의 축적을 막아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어하는 기능
을 한다(22).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광노화 유발된 mouse의항산화 방어체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SOD와 GSH-Px
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CTL80의 식이 섭취와 로션 도포가 SOD 효소 활성도에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Fig. 3과 같다. UVB 비조사군
들(54.20±4.39%, 58.95±2.49%)에 비하여 식이 투여군과 로션 도포군의 대조군이 각각 32.67±2.94%, 37.01±2.17%로
활성도가 유의적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반면 양성 대조군들과 CTL80 처리군들에서는 활성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
는데, 식이 투여군에서는 UVB만 조사한 군에 비하여 CTL80가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양성대조군보
다 CTL80 0.25%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로션 도포군에서는 UVB 조사+base lotion군(37.01%)에 비하여 비타민
C, CTL80 1%와 CTL80 2% 각각의 활성도가 59.63±2.18%,64.51±7.46%, 66.06±2.12%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
히 CTL80 로션 도포군에서 유의적으로 활성도가 가장 증가하였지만 농도 의존적이지는 않았다.
GSH-Px 효소 활성도 결과 또한 UVB 비조사군들에 비하여 식이 투여군과 로션 도포군의 대조군의 활성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식이 투여군의 UVB만 조사한 군(0.10±0.02mU/mL)은 정상군(0.75±0.01 mU/mL)에 비하여 0.65 mU/
mL만큼 낮은 활성도를 보이면서 유의적으로 가장 활성도가낮았으며, 로션 도포군은 UVB 비조사+base lotion군(0.74
±0.03 mU/mL)에 비하여 UVB 조사+base lotion군(0.28±0.02 mU/mL)에서 0.46 mU/mL만큼 유의적으로 낮은 활성
도를 보였다. 반면 양성대조군과 CTL80 처리군들에서는 활성도가 증가하였는데 식이 투여군에서는 UVB만 조사한 군
에 비하여 비타민 C가 0.23 mU/mL만큼 유의적으로 활성을증가시켰고 CTL80은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을 증가시켰다.
로션 도포군에서는 GSH-Px 효소 활성도가 비타민 C는0.57±0.04 mU/mL, CTL80 1%는 0.62±0.04 mU/mL, CTL
80 2%는 0.60±0.03 mU/mL로 UVB 조사+base lotion군에비하여 각각 활성이 0.29 mU/mL, 0.34 mU/mL, 0.31 mU/
mL만큼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Fig. 4). 따라서 CTL80의로션 도포에서는 농도와 크게 차이 없이 양성대조군과 유의
적인 차이가 없게 GSH-Px 효소 활성도를 증가시켰다.
UVB 비조사군에 비하여 UVB만 조사군들은 효소 활성도가 낮아졌음을 확인하였고 비타민 C와 CTL80의 처리를 통
하여 활성도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SOD와 GSH-Px의 활성도 측정 결과 모두에서 CTL80의 식이 투여군보다
로션 도포군에서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는 자외선조사로 증가한 자유라디칼을 체내에서의 빠른 제거를 하기
위해 활성이 증가된 것으로 보인다.
피부조직의 MMPs mRNA 발현 변동
자외선을 조사한 피부에서는 표피의 각질형성세포와 진피의 섬유아세포 표면에 있는 성장인자나 cytokine 수용체
를 활성화시켜 NF-κB pathway와 AP(activator protein)-1의 DNA binding을 촉진시키고, 이는 MMPs의 유전자 전사
를 증가시키게 한다. MMPs는 활성 중심부에 아연을 가지는금속단백분해 효소로 세포 외적 성분과 기저막 성분을 분해
하는 능력이 있다(6,7,23,24). MMP-1은 교원질분해효소로서 type-Ⅰ procollagen으로부터 합성된 교원질의 분해를 촉
진한다. MMP-3은 제Ⅳ형 교원섬유을 분해하고 proMMP-1을 활성화시키며(25), MMP-9은 교원질분해효소를 조절함
으로써 교원질의 분해를 촉진시켜 주름 형성과 탄력 감소를일으키게 된다(1). 따라서 MMPs는 광노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피부노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피부조직의 MMPs의 유전자 발현량 변동을 측정한 결과
UVB 조사한 군들에서 MMP-1, MMP-3, MMP-9의 발현량이 모두 증가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MMP-1의 발현
정도에서는 식이 투여군에서 양성대조군과 CTL80의 처리가 UVB로 증가된 MMP-1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
으나 CTL80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양성대조군에 비하여 CTL80 0.25%가 유의적으로 낮은 발
현을 보였다. 로션 도포군에서도 UVB 조사+base lotion군에 비하여 양성대조군과 CTL80이 유의적으로 낮은 발현을
보였으나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Fig. 5).MMP-3의 발현 정도를 살펴본 결과 또한 식이 투여군과
로션 도포군 모두 UVB 조사한 군들이 UVB 비조사군에 비하여 발현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식이 투여군과 로션
도포군 모두 양성대조군과 CTL80의 처리가 발현을 UVB를조사한 군들보다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하지만 식이 투여
군과 로션 도포군에서 양성대조군들과 CTL80을 처리한 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Fig. 6).
MMP-9 발현 변동에서는 UVB를 조사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UVB 조사군에서 5배 정도 발현이 증가되어 가장 크게
변화하였음을 관찰하였다. 증가된 MMP-9의 발현을 로션도포군의 비타민 C군이 가장 유의적으로 낮은 발현을 보였
다. 또한 CTL80의 처리가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주었으며, 특히 식이 투여군보다 로션 도포군에서 유의적으로
발현을 감소시켰으나 농도 의존적인 결과는 보이지 않았다(Fig. 7). 따라서 MMP-1, MMP-3, MMP-9의 발현의 감소
량은 정도의 차이가 있었으나 CTL80의 처리가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특히 MMP-9의 발현이 CTL80의 로션 도포군에
서 크게 감소되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통해서 꾸지뽕나무의 잎 80% 에탄올추출물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한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항산화 효소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이러한 체내 항산화방어 체계에 의해 UVB에 의한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시키고
MMPs의 발현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주름 형성을 억제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꾸지뽕나무는 광노화에 의한 주
름 형성 억제 효능을 지니는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가치 및실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요 약
본 실험에서는 안전하고 우수한 효과를 지닌 천연항산화제의 광노화에 의한 피부주름 형성을 억제하는 천연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CTL80의 식이투여와 로션도포가 광노화를 유발한 동물모델에서 주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광노화 유발 동물모델을 만들기 위해hairless mice에 10주 동안 UVB 조사를 주 3회 실시하였다.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UVB를 조사한 군은 각질이증가하고 주름 능선의 두께가 굵고 주름이 깊게 형성한 반
면,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와 CTL80 처리한 군에서 주름형성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2% CTL80 로션 도포군이 가장
주름 형성을 억제하였다. 피부조직의 H&E 염색을 통한 조직학적인 변화에서는 UVB 조사로 두꺼워진 각질층과 표피
층을 관찰하였으며 진피층의 교원섬유가 감소되었음이 관찰되었다. CTL80은 각질층과 표피층의 증가를 감소시켰으
며 진피층의 교원섬유를 증가시켰음을 관찰하였다. 형태학적 변화와 같이 2% CTL80 로션 도포군의 효과가 가장 양호
하게 나타났다. 항산화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동물 혈청의 SOD와 GSH-Px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비타민
C와 CTL80처리 군에서 UVB만 조사한 군에 비하여 활성이유의적으로 높아졌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항산화 활성 또한
CTL80에 농도 의존적이지는 않았으나 식이 투여군에 비하여 로션 도포군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교원질 합성을 억
제하고 분해를 촉진시키는 MMPs(MMP-1, MMP-3, MMP-9)의 발현을 실시간 정량 PCR로 측정하여 발현 변화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식이 투여군과 로션 도포군 모두 UVB 조사군에서는 발현이 현저히 높아졌으나 비타민 C와 CTL80 처
리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CTL80 로션 도포군에서 MMP-9의 발현이 확연히 낮아졌
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CTL80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지녔으며 이러한 항산화능을 통하여 UVB
로 광노화를 유발시킨 동물모델에서 주름 생성 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주름 억제 효능을 지니는 기능성 소재로
써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