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03교육청B-문제.hwp_한글.hwp
■ 2016 고3 3월 학력평가 문제풀이 분석지.hwp
2016년 고3 3월 분석
오답순위
1위: 11번_ 72%
2위: 28번 _ 52%
3위: 43번_ 49%
4위: 12번_ 48% ** 복수정답
5위:19번 _ 45%
■ 화법 1-5번
(1~3) 토의
토의진행시 말하기 방식
사회자: 논의내용 , 논의 배경 등 밝힘.
토의참여자:
(4-5) : 발표문 ‘ 드론 촬영’ → ‘ 항공촬영과 차이 강조하면 드론 촬영의 장점 제시
‘발표자’ 발표 말하기 방식
-
■ 작문 6-10번
6-8번: 개요( 글의조직) - 초고 - 자료
1. 주제제시
2. 자료( 글감) 수집
3. 개요작성( 글의 조직) 구체화
4. 집필( 초고)
5. 퇴고 ( 고쳐쓰기)
9-10번 : 퇴고하기 : < 구체화>
-------------------------
■ 문법: 11-15
11번: 음운변동( 발음규칙)을 알고 있나??
용언의 활용 : 규칙과 불규칙을 알고 있나??
12번: 합성어의 직접성분
보기에 따라 답 찾기
: * 맨 끝 구성 성분의 품사에 따라 , 품사 결정된다.
: 이 문제는 품사를 제대로 알고 있는가?? 묻고 있다.
문법문제인 12번 문항은 합성어를 대상으로 '직접 구성 성분 분석을 했을 때 맨 끝 구성 성분의 품사에 따라 전체 품사가 결정된 경우가 아닌 것'을 찾는 문제다. 보기로는 ①어느새, ②남달랐다, ③늦잠, ④낯선, ⑤하루빨리 등 5가지가 제시됐다. 시교육청은 '어느(관형사)'와 '새(명사)'가 결합돼 새로운 품사인 부사가 된 말이라며 ①의 '어느새'를 정답으로 꼽았다.
하지만 보기 ③의 '늦잠'은 합성어가 아니라 파생어이기 때문에 복수 정답 혹은 전원 정답 처리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고, 시교육청은 이를 받아들여 복수정답 처리했다. 문제를 제기한 < 입시 전문 국어과>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늦'을 '늦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늦게'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명시돼 있다"면서 "'늦'은 어근이 아니라 접두사이기 때문에 '늦잠'은 파생어"라고 지적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파생어(派生語)는 실질 형태소에 접사가 결합해 하나의 단어가 된 말로 명사 '부채'에 접미사 '질'이 붙은 '부채질', 동사 어간 '덮'에 접미사 '개'가 붙은 '덮개', 명사 '버선' 앞에 접두사 '덧'이 붙은 '덧버선' 등이 있다.
13번: 접속조사 와/과 < 겹문장 중 이어진 문장에 속함>
비교부사격 조사 와/과 < 서술어가 하나임. 홑문장에 속함>
14. < 어휘> 쓰임 : 이 문제는 상식이다.
15. ** 올바른 문장 표현 (= 어법에 맞는 표현)
① 부사어 ~ 서술어 : 모름지기 ~ 해야한다.
② 연결어미 ~~ 한다면 ~ 하더라도 / 할 필요 없다 * 양보절
③ 이중피동
④ 와/ 과 : 서술어 나누어 적기
⑤ 높임표현 * 객체
■ 비문( 인문) 16~19 지난 시간에 테스트함
■ 비문(경제) 17~ 23
경기변동의 주요 원인 여러 견해
첫단락: 일반진술로 말하고자 하는 것 제시함.
경기 변동 촉발하는 주원인에 대해 여러 가지 견해 말하겠다 이거임.
1970년대 - 민간기업 그래서 정보가 대응
그러나 70년대 이후 : 금융 당국 ‘ 자의적인 통화 조절이 원인임.
이후: 루카스는 경제 주체들( 기업들)이 항상 ‘ 합리적 기대’ 한다 봄
= 개념: 새로운 정보 들어오면 경제 주체들은 적절이용하여
미래에 대한 기대를 형성한다고 함.
그런데 이때 잘못된 = 불완전한 정보로 인해 잘못된 판단하여 경기가 변동 발생
이러한 이론 < 화폐적 경기 변동 이론> 루카스가 제시
그래도 루카스는 경제 주체들이 ‘ 합리적 기대’ 하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기대 형성한다고 봄
㉠ 가상이 사례 제세하여 : 잘못된 판단 깨달아서 생산량 줄이게 된다고 함.
그 다음 ‘ 루카스이론’에 비판제기 이론
‘ 실물적 경기 변동 이론’이 경기 변동 원인임.
- 기술 혁신- 고용량 생산량 증가
- 유가 상승 실물요인은 - 에너지 감소로 고용량 생산량 감소
최근 : < 일부 학자들>: 해외 부분이 원인이다.
■비문(예술) 24~26 단토 예술 종말론
- 단토 예술 종말론 주장
- 계기는 ‘ 앤디 워홀 < 브릴로 상자> 전시회
: 일상의 사물 vs 예술작품
- 예술의 본질은 무엇에 관함, 구현
즉 예술 작품은 해석되어야 할 주제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것들을 이해하기위해서는 예술 역사 성찰함. - ‘ 예술계 개념’ <당대 예술 상황을 주도하는 지식
이론 + 태도) 포괄개념을 말함.
- 예술의 역사는 ‘ 내러티브(이야기)의 역사다. *** 철학이 유무가 기준임.
【 1. ‘ 바자리의 내러티브’ 는 모방론임// 르네상스+ 인상주의 - 시각적 경험 줌
2. 예술 모방에서 벗어나 << 예술의 철학적 내러티브>>>로 변함 = 단토가 발견 ‘ 예술종말론’
단토의 ‘ 예술 종말론’은 예술의 역사에서 ‘ 철학적’단계에 이름에 따라 그 이전의 내러티브= 이야기가 종결됨
■ 비문 (과학) 27~30번 파동
1. 파동은 진동- 멀리 퍼져 나가는 현상
‘매질’ 통해
* _ 수면파: 물
_ 음파 : 공기
이러한 것을 역학적 파동 에너지인데
: 진동하는 매질의 입자가 옆의 입자를 진동시키는 방법
2. 파동 분석
결론: ‘ 파동’
구성요소: ① 마루 _높은지점 ② 골- 낮은지점 ③ 진폭_ 최대 벗어난 거리 ④ 파장 - 거리 ⑤ 주파수 -1 초동안 진동 횟수
3. 파동 진행 속도
공식 : 파동속도= 파장 × 주파수
100 = 10 × 10
100 = 20 × 50
100 = 50 × 20
* 일정하면 =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이 짧다.
그런데 이러한 ‘ 역학적 파동 두가지 상황 일반진술로 설명
파동 진행시-. 매질에 흡수되어 에너지를 잃기도 하는 함(= 공통조건)(* 28번 5번 선택지 적용)/ ‘ 주파수가 높을수록 매질에 더 잘 흡수되어 멀리 진행하지 못함. ( * 추론적용 28번 2번 선택지 적용)
1. 매질따라 진행시 ‘ 다른 매질’ 만나면 ① 일부 반사되어 되돌아오고, 일부는 다른 매질로 투과함
㉠ 한 끝이 벽에 고정된 줄을 따라 파동이 전달되는 상황
고정단 만남 - 반사됨
㉡ 다른 조건은 모두 같을 때 , 밀도가 낮은 줄이 밀도가 높은 줄에 연결되어 있고, 이 줄을 따라 파동이 진행하는 상황.
= 파동시 일부는 반사, ( 밀도 높은 줄 도달하면 - 파동일부 반사됨)
하지만 일부 밀도가 높은 줄로 계속 진행됨 그런데 이것을 투과라고 함
( 즉 투과나 반사는 매질은 물리적 특성 차이에 의해 결정됨)
* 파동: 매질 간의 밀도 차가 큰 경우,
* 음파의 경우: 음파 저항= 매질밀도× 음속
따라서 음파저항이 클수록 반사 정도가 큰 경계를 형성하기 때문임. = 반사가 더 크다.
에너지 = 에너지보존법칙
* 다만 파동에너지: 진폭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반사파의 진폭은 줄어듦. 왜냐하면 일부는 투과되기 때문임.
* 진폭이 커지면 / 파동에너지 커짐. (* 27번 5번 선택지) / 28번 1번 선택지 적용
: cD드라이브 지문 12수능기출 적용하기
: 지난해 (17대비 6월 모평 기술지문 적용하기)
첫댓글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