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기와 란?
알루미늄, 아연의 특성을 이상적으로 결합시킨 갈바늄(Galvalume)이라는 특수 도금 강판을 프레스 기술로 전후면 8겹 이상 코팅한 고급 지붕재를 말합니다. 주재료인 갈바늄은 전기온돌판, 공장지붕, 가전제품 등 산업용으로 많이 쓰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81AF33B4DD3B10207)
금속기와의 단면 구성입니다.
각 층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 FINISH - COATING ? 투명 아크릴수지 코팅으로 세라믹 그래뉼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여 원식 유지와 방균작용을 합니다.
* CERAMIC GRANULE ? 독특하고 아름다운 색상이 오랜기간 유지되며 BASE METAL인 갈비늄을 부식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합니다.
* ACRYLIC COATING ? 세라믹그래뉼의 접착력을 강화시키고 방수 및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습니다.
* ACRYLIC BASE - COATING ? 기본 코팅을 통하여 BASE METAL을 보호합니다.
* EPOXY PRIMER ? 방수효과 및 상부코팅재와의 접착력을 강화시킵니다.
* BASE METAL ? 알루미늄 + 아연 + 실리콘 합금도금강판으로 고내열성, 내식성, 애구성과 열 반사 효과 등 알루미늄 도금 강판과 아연 도금 강판만의 강점만을 결합한 것입니다.
* BACK - COATING ? 하부 마감코팅을 통한 방수 효과 및 부식 방지 강화 기능이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158673A4DD3C3312E)
금속기와를 옆에서 본 모습입니다.
금속기와의 규격 은?
규격은 제조사에 따라 다른데요, 3kg짜리 금속기와를 기준으로 길이는 1,340mm(노출 길이는 1,280mm), 노출폭은 370mm 정도라고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220FD3B4DD3B5890E)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8183B4DD3B5891E)
참고하시라고 어떤 회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한식 금속기와의 규격을 올립니다.
그럼 이러한 금속기와를 왜 사용하는 걸까요? 금속기와의 장점 은 무엇일까요?
① 기존의 기와지붕, 함석, 슬레이트, 적삼목 등의 모든 형태의 지붕에 덧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② 콘크리트지붕 무게의 1/6 ~ 1/8 밖에 되지 않는 가벼운 무게 덕분에 시공비용이 절감됩니다.
③ 색상과 형태가 다양하여 시공시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④ 12 ~ 90도까지 시공이 가능합니다.
금속기와의 특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강한 내구성
대동페루프 금속기와는 9홉겹의 보호막을 갖추고 있으며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시공되어 폭우, 태풍, 혹한, 혹서, 충격과 부식등에 강한 내구성이 있다.
경제성
일반 기와에 비해 무게가 1/6정도 되므로 취급, 운반, 보관이 용이하며 가벼워진 무게만큼 구조적 건축비가 절감된다.
다양한 색상
대동청기와와 더불어 다양한 색상을 구비하여 현대건축물의 특색에 어울리는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지붕개발용이
슬라브나 스레트 등으로 시공된 기존 건축물에도 간편하고 빠르게 시공을 할 수 있으며, 아스팔트 슁글로 시공된 지붕의 경우 폐슁글의 제거작업 없이 그 위에 바로 시공을 할 수 있어 건축물 폐자재 처리비용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
긴 수명
9홉겹의 보호막으로 구성된 대동페루프 금속기와는 50년 이상의 긴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시공의 간편성
경사 12°~90°에 이르는 각종 형태의 건물에 모두 시공이 가능하며 고층 아파트와 같은 건물에도 시공이 용이하다.
용이한 개조
아스팔트 슁글, 스라브, 스레트 등 기존 건물의 지붕위에도 쉽고, 빠르게 재공이 가능하며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금속기와의 시공방법 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동 경안중학교 급식센터의 사례입니다. 지붕면적은 200평 정도입니다. 마감재로는 금속기와, 부속자재는 열반사 단열재와 루핑 시트를 사용하였습니다.
방수공사 → 각재를 세로로 세팅하고 고정 → 기와걸이 세팅
![](https://t1.daumcdn.net/cfile/cafe/19379E364DD3BC5516)
반사단열재 폴리늄 시공 → 기와걸이 세팅 완료 → 처마부터 금속기와 세팅
작두로 기와를 절단하는 모습 → 측면 마감 → 용마루 마감
![](https://t1.daumcdn.net/cfile/cafe/1568AD374DD3BC5312)
![](https://t1.daumcdn.net/cfile/cafe/116052374DD3BC5424)
![](https://t1.daumcdn.net/cfile/cafe/1556F9374DD3BC543B)
기와 고정못 작업 → 상층기와 고정 작업 → 사이드부분 금속기와 접어올리기
![](https://t1.daumcdn.net/cfile/cafe/20378C364DD3BC5411)
시공 완료
(원래 60단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중요한 것만 골라 썼어요. 자세한 것은 http://cafe.naver.com/hsy716.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31& 이곳을 참고하세요~)
다음은 금속기와의 종류 입니다.
모양과 시공되는 부위에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82D6B344DD3C0000D)
금속기와를 사용한 지붕시공의 사례 입니다.
1) 경기도 일산
원래 기와로 지붕이 되어 있는 건물인데요, 금속기와의 장점 중 하나라고 말씀드렸었죠~ 기존의 기와지붕 뿐만 아니라 모든 형태의 지붕에 덧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 ![](https://t1.daumcdn.net/cfile/cafe/1159293C4DD3C0BA04)
→ ![](https://t1.daumcdn.net/cfile/cafe/205B133C4DD3C0BA01)
2) 서초구
원래는 따로 지붕이 없고 옥상만 있는 건물이었는데, 오른쪽 사진과 같이 금속기와로 지붕을 만든 사례입니다.
→ ![](https://t1.daumcdn.net/cfile/cafe/114C503C4DD3C15B20)
+ 스톤칩 금속기와 란?
스톤칩 금속기와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천연 돌입자를 강판에 도포 접착시킨 제품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67E73A4DD3C2D315)
스톤칩 금속기와를 지붕마감재로 시공한 모습입니다.
금속은 다양한 제품으로 만들어져 고유의 광택을 보이면서 건축에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이렇게 광택을 감추고 모습을 바꾼 마감재, 외장재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전부터 느끼는 것이지만 기와에는 참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어서 건축에서 기와의 가능성은 정말 무궁무진한 것 같습니다.
그럼 이것으로 리포트를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