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상(義湘, 원교국사)625(진평왕 47)~702(성덕왕 1)
[의상 /의상 영정, 호림박물관 소장]
한국의 화엄종을 일으킨 신라의 승려.
해동(海東)의 화엄초조(華嚴初祖)라고도 한다. 문헌에 따라 '義相'·'義想' 등으로도 표기되고 보통 '義湘'
으로 통용되지만, 의상의 법손(法孫)들은 거의가 '義相'으로 부르고 있으며 그의 저술에도 '義相'으로 표기
된 것이 많다.]
[ 생애 ]
의상의 전기(傳記)를 싣고 있는 문헌은 〈삼국유사〉·〈송고승전〉·〈백화도량발원문약해〉 등인데 그 내
용에 많은 차이가 있다. 이들을 종합해보면, 속성은 김씨(金氏) 또는 박씨(朴氏)이며 아버지는 한신(韓信)이
다.
어려서 경주 황복사(皇福寺)에서 출가했다고 한다. 8세 위인 원효(元曉)를 만나 친교를 맺고 그와 함께 고구
려 보덕(普德) 화상에게 〈열반경 涅槃經〉을 배우기도 했다.
650년 당나라 유학을 결심하고 원효와 함께 중국으로 가던 길에 요동(遼東) 변방에서 고구려 군사에게 첩자
로 오인되어 잡혀 있다가 겨우 빠져 나왔다. 육로를 통한 첫번째 입당의 시도는 실패하고, 661년 다시 원효
와 함께 해로를 통하여 중국에 가던 중 원효는 한 고분에서 깨친 바가 있어 발길을 돌리고 의상 혼자만이 귀
국하던 당나라 사신의 배를 타고 중국에 도착했다.
의상은 양주(揚州)에 이르러 그곳의 주장(州將) 유지인(劉至仁)을 만나 관아에 머물면서 성대한 대접을 받고,
다음해 종남산(終南山) 지상사(至相寺)로 지엄(智儼)을 찾아갔다. 당시 지엄은 중국 화엄종의 제2조로서 새
로운 화엄학풍을 일으켜 문하에 법장(法藏) 등의 제자를 두고 있었다.
지엄은 특별한 예(禮)로써 의상을 맞이하며 전날 꿈에 그가 올 징조를 보았다며 자신의 제자로 받아들였다.
그후 의상은 지엄의 문하에서 공부하면서 더욱 새로운 이치를 탐구하여 깊은 것을 끌어내고 숨은 뜻을 찾아
내어 나중에는 스승을 능가하게 되었다고 한다.
당에 머물면서 남산율종(南山律宗)의 개조인 도선율사(道宣律師)와 교유했으며, 동문수학한 19세 연하의 법
장과도 각별한 교분을 맺었다. 법장은 지엄의 뒤를 이어 화엄종의 제3조로서 중국 화엄종을 교리적으로 완성
했던 인물로 항상 의상의 학식과 덕망을 흠모했다.
법장은 의상이 귀국한 후에도 그를 극찬하는 서신과 함께 자신의 저서 7부 29권을 신라 승려 승전(勝詮) 편
으로 의상에게 보내어 상세히 검토하고 부족한 점을 깨우쳐주기를 청하기도 했다.
의상은 668년 지엄이 입적하기 3개월 전에 〈화엄일승법계도 華嚴一乘法界圖〉를 지어 스승의 인가를 받고
670년 귀국했는데, 〈삼국유사〉에 의하면 그의 귀국 동기는 당 고종의 신라 침공을 알리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그는 신라로 돌아온 후 적극적인 교화활동을 펼쳤다. 귀국 직후 낙산사(洛山寺)에서 〈백화도량발원문〉을 지
어 관세음보살에 기도하고 그를 친견(親見)했다고 한다.
(→ 〈백화도량발원문〉). 그후 전국을 유람하다가 676년 태백산에 화엄의 근본도량이 된 부석사(浮石寺)를
창건한 것을 비롯해 많은 사찰을 세우고 각처에서 교화활동을 폈다.
원효가 저술에 힘쓰고 개인적인 교화활동을 편 데 반해, 의상은 교단 조직에 의한 교화와 제자들의 교육을
중시했던 것으로 보인다. 여러 문헌에 따르면, 의상은 부석사에서 40일간 일승십지(一乘十地)에 대해 문답
하고, 황복사에서 〈화엄일승법계도〉, 태백산 대로방(大盧房)에서 행경십불(行境十佛), 소백산 추동(錐洞)
에서 90일간 〈화엄경 華嚴經〉 등을 강의했는데, 추동에서 강의할 때는 3,000여 명의 제자가 운집했다고 한
다.
제자들 가운데 특히 뛰어난 10명의 제자가 있었는데, 오진(悟眞)·지통(智通)·표훈(表訓)·진정(眞定)·진
장(眞藏)·도융(道融)·양원(良圓)·상원(相源)·능인(能仁)·의적(義寂)으로 당시 아성(亞聖)이라 불리며
존경받았다고 한다.
그외에 범체(梵體)·도신(道身)·신림(神琳)·법융(法融)·진수(眞秀) 등도 의상의 법계(法系)에서 나온 훌
륭한 제자들이다.
이처럼 제자들을 육성하고 사찰을 건립하는 등 실천수행을 통하여 화엄의 선양에 전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