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과 요약
디 - 엄마 / 리엄 - 아빠 / 로지 - 첫째 / 헬렌 - 둘째 / 앤서니 - 막내
아이들의 탄생은 부모의 선택의 문제 부모는 양육의 의무가 있다.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달리 본능을 죽이고 이성적 학습을 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본능에 의지하는 생존은 태어나자마자 혼자 자립할 수 있지만 발전의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인간은 어릴 때는 한없이 약한 대신 자라며 학습하고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하물며 현대 사회는 엄청난 속도로 고도화되고 전문화되었다. 한 인간이 학습하는 속도만으로는 따라갈 수 없을 만큼 시간이 필요하다. (선진국일수록 더)
우리나라는 학력이 최우선시 되는 나라이다. 성인 전까지 공부에만 올인하도록 하는 사회분위기가 형성되어있다.
경제적 능력은 하나도 키워주지 않는다. 그런데 성인이 되었다고 갑자기 경제적 독립을 하라고 한다. 너무 가혹하다.
서구 사회가 더 독립적인 것은 성장기에 그런 경험들을 가르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전혀 그렇지 않고, 풀하우스 책에 나오는 부모도 그렇 교육들을 한 적이 없어 보인다.
모든 법률을 집행하는 데도 유예기간이 있다. 이렇게 갑작스럽게 시행하는 것은 이유가 무엇이든 정말 잘못되었고 이기적인 행동이다.
가족은 남과 다른 공동체라고 생각한다. 손익을 따질 관계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요즘 박수홍같이 진짜 사기 치는 그런 것이 아니라면 좋은 방향으로 해결되도록 노력했어야한다. 하루아침에 태도를 바꿀 것이 아니라. 돌아가는 것같은 길이 사실은 가장 빠른 길이다.
리엄 - 제일 싫다. 눈치없고 착한 사람 콤플렉스다. 본인의 실업에 따른 변화상황에 디가 나름 최선의 해결책을 내놨고, 부득이하게 자식들과 갈등상황이 생기는데 본인은 착한 사람이고 싶어만 한다. 악역은 다 디에게 미룬다. 나중에 본인의 이득이 확정 되었을 때라야 태도를 완전히 바꾼다. 본인은 본인이 나쁜 사람이라는 것을 모를 듯.
디 - 자식들을 위해 헌신하는 좋은 부모지만, 자식들의 자립심을 길러주는 교육을 해주지 못했다. 그리고는 바로 독립시켜버린다. 무책임하고 이기적이라고 느꼈다. 몰랐기 때문에 그런 교육들을 못 시켰을 수 도 있다. 그렇다면 위기의 상황에 자식들과 상의를 해서 함께 위기를 해쳐나가려고 했어야한다고 생각한다. 무슨 방법을 쓰든 가족이 함께 위기를 극복했어야 하는데 본인 부부만 생각한 점이 아쉽다. 자식들이 무책임하고 철없어 보이지만 어쩌면 본인의 교육이 자처한 일일 수 있다.
자식들 - 철없고 무책임하다. 결과적으로 본인들 잘못이다. 부모 잘 만난 덕분에 지금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다. 부모님들의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을 가졌어야 한다. 감사함은 모든 인간관계의 기본이다.
과거는 물론 지금까지도 캥거루족인 나의 모습이 보이는 거 같아 조금 찔렸다.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은 알겠지만 너무 소설이었다.
1. 자식들을 바로 쫒아내도 장기간 지낼 곳 (친구집 등)이 있다는 점. 그 장소들이 위험하지 않은 곳이라는 점.
2. 자식들이 삐뚤어져서 비행을 저지르지 않은 점
3. 정말 이상적인 세입자가 그것도 바로 구해지고 아무런 트러블없이 잘 지낸다는 점
질문 3가지
1. 독립을 해야하나?
2. 본인이 부모라면?
3. 결혼해서 부모님 집에 사는 건?
추가로 생각한 것들
최근에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업을 마친 우리나라 청년들 중에서 절반 이상이 독립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고
경제적인 이유가 70%. 경제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 두가지 측면에서의 독립이 필요
부모는 자식을 양육할 의무가 있지만
자식은 부모를 봉양할 의무는 없다
“신체적으로 잘하는 성장은 아무 노력을 안 해도 저절로 돼요. 내가 노력을 안 해도 내 몸뚱아리는 알아서 만 24세까지 자라나고 많이 25세부터 늙어가거든요. 근데 정신적으로 잘하는 성숙은 내가 특별히 노력을 해야만 얻어낼 수가 있어요. 그래서 성숙을 위해서 반드시 해야 될 인생 과제들이 있어요.”
그 인생 숙제들이 이제 나이대에 따라 (에릭슨 발달과업)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독립
자식이 부모로부터 독립하는 건 4가지가 있어요. 정서적 독립/경제적 독립/ 신체적 복립/ 정신적독립
나머지 3개는 다 20살 넘어서 성인이 돼서 해야 되는 건데 정서적 독립은 10대 때 중고등학교 때 해야 한다.
경제적 독립이 우선 되어야 정신적 신체적 독립이 가능
따라서 내 마음대로 정신적으로 독립을 할 수가 없다.
그래서 20대 가장 중요한 인생 숙제가 취업
일자리를 얻어서 돈을 버는 행위가 20대 가장 중요한 숙제
일단 어렸을 때부터 부모 돈이 내 돈이 아니라고 생각을 해야지
너무나도 많은 부모들이 사실은 자기들이 어릴 때 누리지 못했기 때문에 많은 걸 해주려고 한다.
그러니까 애들은 어렸을 때 당연히 엄마 아빠의 부가 나의 것이라고 생각
어릴 때부터 네가 지금 누리고 있는 것들은 엄마 아빠가 고생해 가지고 만들어 놓은 것들이고 너가 성인이 되기 전까지 넌 준비를 해야 되는 시간이라고 얘기를 해 줘야 한다.
어른이라는 거 성인이라는 것은 내 선택을 내가 책임지는 게 성인인데 많은 사람들이 어른이 못되고 있는 이유가 자기가 뭘 선택했고 뭐 선택을 어떻게 책임질까에 대한 고민이 없이 살아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