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학총서2] 작성 견본1>(현대인물)
권갑하權甲河(음1958.9.3~)
(인적사항)
본관 예천醴泉, 아호 예당醴堂. 부 권석문(權錫汶. 1921~2004)과 모 반우중(潘又仲. 1929~2004)의 3남3녀 중 2남으로 경북 문경시 산북면 내화리 탑동 110번지 출생했다. 형은 영하(永河. 1949~. 전 행정공무원. 문경시의회 부의장), 동생은 두하(斗河. 1966~ 현 문경경찰서 112치안종합상황실장)이다. 손윗누이는 영자(정재달), 정희(양무영), 손아랫누이는 연희(임순삼)이다. 1985년 10월 6일 권차숙(權且淑. 1962~. 본관 안동)과 결혼하여 아들 세영(1986~. SK텔레콤)과 문영(1990~. 이명건설. 배 김보경<본관 경주>)을, 손자 도윤(2022~)을 두고 있다. 산북초등학교, 산북중학교, 문경종합고등학교 인문과를 졸업(1977)한 뒤 농협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영문과에서 공부했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2009),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화콘텐츠학 박사 학위(2015)를 취득하였다.
(주요 약력)
1980.03 점촌농협 입사
1980.07 군 복무(미육군 2사단 S&T대대. 카투사(KATUSA). 병장 제대)
1985.12 나래시조문학회 가입
1986.10 농협중앙회로 이동
1991.06 《시조문학》 2회 추천 완료 문단 데뷔
1992.01 <조선일보><경향신문> 신춘문예 당선
1993.12 농민신문사 파견 근무
1994.12 『농민신문30년사』 집필 편찬
1997.08 경제학 석사학위 취득(고려대 자연자원대학원)
1997.08 90년대 시조동인 <역류> 결성을 주도, 초대 2대 회장 역임
2003.08 직지사여름시인학교 개최(나래시조)
2004.07 인터넷문학클럽 <시로여는 e좋은세상> 개설 클럽장 역임
2004.09 <현대시조아카데미> 개설, 창작지도 시작
2005.08 2014년 8월까지 10년 간 나래시조시인협회 회장 역임
2008.08 문경새재여름시인학교장 취임
2008.03 농협대학교 겸임교수 3년간 출강
2012.02 한국시조시인협회 부이사장 당선 취임(4년 뒤 연임 당선)
2012.01 중앙일보 시조백일장 심사위원 4년간 역임
2014.08 『농민신문50년사』 편찬위원장 맡음.
2015.02 한국문인협회 시조분과회장 당선 취임
2015.08 문화콘텐츠학 박사학위 취득(한양대 대학원)
2015.09 한양대학교 대학원 겸임교수 출강
2015.12 농민신문사 고객지원국장, 출판국장, 논설실장 등 역임 후 퇴임
2016.01 농협중앙회장 당선인 비서실장 역임
2016.08 농협중앙회 도농협동연수원장(구 농촌사랑지도자연수원) 취임
2018.04 문경 하늘재아리랑시조문학관 개관, 관장 취임
2019.02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당선 취임
2019.05 이지엽 교수 연구모음집 『권갑하시조연구』 출간
2020.08 농협중앙회 도농협동연수원장 퇴임
2021.09 농협대학교 출강(강의과목 <의사소통능력1-글쓰기><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주요 저서 논문 목록)
1997.06 석사논문 <농가의 정부지원 농림사업 수용실태 분석>(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1999.06 농협비평서 『농협이야기만 나오면 나도 목이 메인다』(좋은날. 446쪽)
1999.09 첫시조집 『단 하루의 사랑을 위해 천년을 기다릴 수 있다면』(좋은날. 128쪽)
2000.09 답사여행서 『왕건과 떠나는 문경새재 답사여행』(세시. 280쪽)
2001.12 시조집 『세한의 저녁』(태학사. 우리시대 대표시조 100인선. 136쪽)
2009.10 시조집 『외등의 시간』(동학사. 120쪽)
2009.08 사랑시선집 『사랑은 기다림이 아니라 찾아가는 것입니다』(책만드는집.156쪽)
2011.01 문학평론집 『현대시조 진단과 모색』(알토란북스. 395쪽)
2011.12 시조집 『아름다운 공존』(알토란북스. 132쪽)
2012.10 논문 <문경전통찻사발축제의 장소마케팅 전략과 로컬거버넌스 행정과정 분석>(『문화예술콘텐츠』 5호)
2013.03 논문 <중국실경공연 ‘인상시리즈’ 벤치마킹 전략 연구-문경새재 실경 뮤지컬 ‘새재사랑가’를 중심으로>(『문화예술콘텐츠』 6호)
2013.05 시조암송경연대회용 시조집 『도전! 시조암송 100편』(개정판 2015) 출간
2013.09 논문 <‘제영’의 문화자원 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문경지역을 중심으로>(『문화예술콘텐츠』 7호)
2013.09 논문 「디지털시대 현대시조의 과제와 대응 전략 연구」(『문화예술콘텐츠』 7호)
2014.03 「시조의 시대성 수용 양상과 형식미학」(『한국시조시학』 제2호)
2014.04 논문 <국가문화브랜드 아리랑의 글로벌 콘텐츠화 전략 연구>(『한국언어문화』 제53집)
2014.08 논문 <아리랑 글로벌 콘텐츠화를 위한 지역문화브랜딩 전략 연구>(『문화정책논총』 제28집2호)
2014.12 논문 <아리랑의 문화콘텐츠화 양상 연구>(『한민족문화연구』 제48집)
2015.01 명시조선집 『누이감자』(알토란북스. 246쪽)
2015.08 박사논문 <아리랑의 글로컬문화콘텐츠화 전략 연구>(한양대 대학원)
2017.02 시조집 『겨울발해』(알토란북스.134쪽)
2017.06 시노래음반 <그대 그리운 날은> 출시(기념공연 함춘회관)
2018.04 문학평론집 『현대시조와 모더니즘』(알토란북스. 380쪽)
2018.04 산문집 『하얀 인연-하늘재에서 띄우는 편지』(알토란북스. 240쪽)
2020.06 시조집 『오곡밥』(알토란북스. 110쪽)
2020.08 전문서 『농촌 문화콘텐츠 개발과 스토리텔링 마케팅』(수동예림. 249쪽)
2020.09 논문 <영강구곡원림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연구>(문경구곡원림보존회 워크숍)
2022.02 논문 <(사)국학연구회 10년 성과와 발전 방안 모색>(국학연구회 정기총회)
(수상 내역)
1970.05 산북초등학교 5학년 어린이날 문교부장관상(홍종철) 수상
1993.08 제5회 나래시조문학상 수상(수상작 「바다이미지4」)
1998.08 대산문화재단 ‘문학인 창작지원금’ 받음
1998.12 제17회 중앙시조대상 신인상(수상작 「세한의 저녁」) 수상
2007.10 제17회 한국시조작품상(수상작 「외등의 시간」) 수상
2008.03~ 중앙일보 중앙시조백일장 심사위원
2009.10 제6회 한국문협작가상 수상
2011.04 한국문화예술위원회(아르코) 문예창작진흥기금 받음
2011.01 동시조 「비오는 날」 초등학교 5-1 국어 <읽기> 교과서에 수록됨
2011.12 제30회 중앙시조대상(수상작 「누이감자」) 수상
2016.05 서울문화재단 문예창작지원금 받음
2017.08 제9회 바움문학상 작품상(역사기행 시조집 『겨울발해』) 수상
2020.04 제4회 한국시낭송문학상 수상
2021.7 제8회 김상옥백자예술상(수상작 「은하수 햅별밥상」) 수상
(생애)
삼국유사 사불산조에 나오는 사불산(공덕산. 914.5m)이 남쪽으로 뻗어 금천에 이르러 솟아오른 숫돌봉(650m)이 내가 태어난 탑동의 배산背山다. 9세기경 통일신라시대 때 창건한 화장사華藏寺가 있던 곳으로 보물 제51호로 지정된 ‘내화리 삼층석탑’이 전해온다. 탑동 뒷산 숫돌봉 자락에는 중시조 참봉공(권오상權五常)의 묘소를 비롯해 용문 종가에서 분가한 고조高祖 이후 선조의 묘소가 모셔져 있다. 용문면 죽림동에 종택宗宅이 있고 12대 선조인 초간草澗(권문해文海)공께서 직접 조성한 초간정草澗亭 원림이 전해온다. 이렇게 대대로 관향에 터 잡고 대쪽 같은 선비정신으로 절의를 지키며 학문을 앞세워온 집안의 정신문화는 내게 큰 영향을 주었다. 배산 숫돌봉의 정기와 산태극수태극으로 굽이치는 앞내 금천의 푸른 숨결, 천년 절터 삼층석탑의 문화적 향기는 나의 감성과 정서를 자극하고 삶의 자양분이 되어주었다.
초등학교 시절 집이 가장 멀었지만, 2학년 때부터 반장을 맡았고 6학년 때는 전교어린이회장이 되었다. 5학년 어린이날에 문교부장관(홍종철)상을 받았는데, 그 때는 그 상이 큰 상인 줄 몰랐다. 초등학교 때는 공부 외에도 예능분야를 좋아해 글짓기와 서예, 그림 대회에 나가 많은 상을 탔다. 당시 글짓기는 김정일 선생님이, 서예는 유명준 선생님께서 지도해 주셨다. 이러한 초등학교 시절의 이러한 활동 경력은 자연스럽게 내 삶에 하나의 틀로 굳어졌다.
1983년 군 복무 후 점촌농협에 근무할 때 <매일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해 점촌에서 활동하던 정석주 나래시조 회장을 만나면서 시조와 인연을 맺었다. 석주 선생을 만나면서 초등학교 시절 소질을 보였던 글짓기와 서예, 그림이 내 안에서 기지개를 켰다. 1985년 말 <나래문학회>에 가입했고, 고문으로 계신 정완영 박재삼 선생을 스승으로 모셨다. 1986년 월간 《새농민》에서 주최한 농민문학상 공모에서 농촌운동 수기부문에 당선돼 대구 <매일신문>(10.11) ‘이번 주에 만난 사람’ 인터뷰 코너에 전면 기사로 소개되었다. 1992년 1월 1일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시조 「처용의 탈」이 장순하 선생의 심사로 당선했고, 같은 해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시조 「춤추는 처용」이 김상옥·이상범 선생의 심사로 당선했다.
2012년 계간 《시와반시》(여름호)는 「현대시조와 모더니티」란 주제로 현대시조의 모더니즘을 진단하는 특별기획을 마련했다. 이 기획에서 총괄 평론을 쓴 문학평론가 유성호 교수(한양대)는 현대 시조 중에서 대표적인 모더니즘 작품으로 나의 졸작 「외등의 시간」을 들었다.
서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6번 출구 벽면에 타일 시화로 시조 ‘인사동’이 제작되었고, 여수 오동도 둘레 길에 목비 ‘동백’이 세워졌다. 평창 태기산 가는 길에 ‘숫돌’ 시비가 세워졌고, 2020년 문경아리랑시조문학관에 시조 ‘연을 띄우다-발해를 찾아서’, ‘숫돌’, ‘담쟁이’, ‘사랑이란’, ‘종’을 새긴 돌비가 세워졌다. 2011년 문경 산북면 경계비 공원(서중리 고개)에 ‘산북예찬’ 시가 입석에 새겨져 있다. 서울 지하철 스크린도어에 「담쟁이」 「장관」 「비 오는 날」 「김밥 한 줄의 명상」 「동태수사학」 시조가 게시되었다. 여름시인학교를 시작한 2003년부터 작곡가 박제광 가수와 함께 시노래 운동을 전개했고, 2016년에는 개인 시노래 음반 「그대 그리운 날은」을 출시하고 서울 함춘회관에서 콘서트를 열었다. 지금까지 ‘돌배나무길’, ‘연을 띄우다-발해를 찾아서’, ‘외등의 시간’, ‘경상도 돼지국밥’, ‘그리운 새재’ 등 여러 편의 시조가 시노래로 만들어졌다.
2008년부터 3년 간 농협대학교에 겸임교수로 출강해 ‘농업농촌의 이해’ 과목을 강의했다. 2011년 몽골 국립예술대학에서 초빙교수로 ‘한국시조의 현대적 변용’을 강의했다. 2015년 한국문화콘텐츠학회 회장을 맡았고, 같은 해 한양대학교 대학원(석사)에서 겸임교수로 ‘문화콘텐츠 상호연동시스템 연구’를 강의했다. 2021년 2학기부터 농협대학교 외래교수로 ‘의사소통능력1’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농민신문사 퇴임 후인 2016년 1월 농협중앙회장 당선인 비서실장을 맡았고, 임원급으로 도농협동연수원 원장을 4년 역임했다. 4년의 재임 기간 동안 220여 여성 소비자 단체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주 5일제 도입 이후 변화한 시대 에 부응하는 새로운 개념의 농촌사랑운동을 펼쳤다. 2017년부터 각계 여성 소비자 단체 지도자들이 참여하는 여성지도자대회를 각 시도별로 개최했고, 2018년에는 6.3빌딩 컨벤션 홀에서 전국의 700여명의 여성 지도자가 참여하는 ‘농촌사랑 전국여성지도자대회’를 농협 역사상 최초로 개최했다.
2018년 4월 하늘재 문학관(문경읍 관음길 529)을 열었다. 박사학위 논문 주제인 ‘아리랑’과 내 문학의 중심 장르인 ‘시조’를 테마로 하는 사립 문학관이다. ‘우리 것’으로 집약되는 이 두 테마는 나의 정신적 지향을 상징한다.
2020년부터 유튜브에 <권갑하감성TV>를 개설해 인문학과 시조, 아리랑, 시와 시조 창작법, 시노래, 인물 탐구 등 콘텐츠를 소개해오고 있으며 2021년 10월 1일 현재 구독자 2,800명을 돌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