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신살표
일지,년지 | 지살 | 년살 | 월살 | 망신 | 장성 | 반안 | 역마 | 육해 | 화개 | 겁살 | 재살 | 천살 |
亥, 卯, 未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寅, 午, 戌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巳, 酉, 丑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申, 子, 辰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12운성 | 장생 | 목욕 | 관대 | 건록 | 제왕 | 쇠 | 병 | 사 | 묘 | 절 | 태 | 양 |
12신살의 해석
(1) 겁살(劫殺)
겁살은 위협할 ‘겁’자로 ‘뺏는다’, ‘겁탈 당한다’는 뜻으로 교통사고, 강제탄압, 강탈, 손재, 재앙, 탈취 등이 있다.
겁살이 사주에 있고 겁재, 양인이 많으면 산재로 몸을 다치며 무뚝뚝하고 독기가 있으며 정이 없는 경우가 많다. 겁살이 관성과 동주하면 권력을 잡거나 권력의 수장이 되며, 연월일시 사주에 겁재에 해당된 육친은 화를 주의해야 한다.
[심화]
1) 겁살은 삼합오행의 절지에 해당된다
연지가 인오술은 해, 사유축은 인, 신자진은 사, 해묘미는 신
2) 망신살과 겁살이 모두 인신사해의 사맹지에 해당된다
3) 외부로부터 강탈당하는 것과 같이 일어나며 겁살이 재난이 될 때는 안좋은 일이 일어난다.
4) 겁살은 모든 살 중 가장 으뜸이라 하여 대운이나 세운에서 거듭만나면 복과 명을 피할 수 없다.
5) 겁살이 사위에 생과 귀성을 만나고 겁재가 있으면 가업을 일으켜 세우는 큰 선비가 되고, 겁살이 관성이 되면 높은 벼슬에 오르고 공권을 잡는 중인이 된다고 한다.
6) 겁살 머리에 재를 보면 대부를 이루고 겁살머리에 칠살을 보면 무인이 된다.
7) 겁살이 길하게 되면 총명하고 권세가 있고 재주가 뛰어나고 일을 신속히 처리하고 진행한다. 흉하게 되면 교통사고, 돌발사고, 관병, 형옥등의 일이 있다.
(2) 재살(災殺)
일명 수옥살(囚獄殺)이며 구속, 감금, 송사 등에 해당되며 본인이 군인, 경찰, 세무, 금융 등의 권력기관에 인연이 될 수 있다.
재살이 사주에 있으면서 사주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화가 크며 연월일시에 재살에 해당하는 육친은 관액이나 횡액을 주의해야 한다.
재살이 사주와 적절히 조화를 이루면 권력기관 등에서 일을 하게 된다.
[심화]
1) 申子辰年은 午, 巳酉丑年은 卯, 寅午戌年은 子, 亥卯未年은 酉를 만나면 재살이 된다. 재살은 子午卯酉 사정지(四正地)에 해당하고 년지 삼합궁의 태지(胎地)에 해당한다.
2) 년지 사정의 상충작용으로 주장대 주장의 싸움과 같은 것으로 그 투쟁은 가장 치열한 것으로 일명 백호살이라고 한다.
3) 생명과 명예를 건 최고 실권자 상호간의 싸움이므로 급격한 재난, 횡, 급성질환, 교통사고, 납치, 구속, 송사, 관형지액이 있다.
4) 관성과 인성이 만나고, 생왕복신을 만나면 권력기관에 종사하고, 상서로운 일이 있다.
(3) 천살(天殺)
감옥에서 나와 살길이 막막하여 하늘만 멍하게 쳐다보는 상태처럼, 예측할 수 없는 자연재해로 홍수, 가뭄, 태풍, 벼락, 마비, 간질, 지진 등의 재앙을 뜻한다.
천살이 사주에 있으면 중풍, 심장질환, 간질, 마비증세 등의 중병에 걸리기 쉬우며 연월일시의 해당 육친에 작용을 한다.
[심화]
1) 년지 삼합궁의 양지養地에 해당하며, 삼합의 첫자가 장생이 되므로 앞자가 천살이 된다. 亥卯未年은 戌, 寅午戌年은 丑, 巳酉丑年은 辰, 申子辰年은 未가 천살이 된다.
2) 불의의 천재지변을 당한다는 살로 조재(早災), 수재, 낙뢰 등의 재난을 당한다는 살로 그 작용력은 약하다.
(4) 지살(地殺)
새로운 일을 시작하기 위해 이사를 하거나 외국 출입 등을 하며 항공, 해운, 자동차, 선박, 철도, 무역 등에 인연이 많으며 항상 분주하고 바쁘게 산다.
지살이 사주에 있으면 외국 유학을 가거나 통역이나 외교 등에 맞으며 생년에 있으면 고향을 떠나서 타향살이를 하게 된다. 직업으로는 여행사, 외교, 통상, 무역, 이민, 어학, 항공, 해운업 등이 좋다.
[심화]
1) 삼합의 첫자 장생지가 지살이 된다. 아기가 처음 태어나서 한다는 뜻으로 성장활동함을 뜻한다. 역마와 충되는 지지 이다.
2) 지살의 의미는 새로운 활동을 시작하고 가담하는 행위로, 활동의 시작, 개시, 영업활동, 외교력, 출근 등을 의미합니다.
3) 여행, 변동, 이사, 타향살이 등의 작용을 하며 유년에 지살에도 변화, 변동, 이사 등 일이 있게 된다.
3) 의식주를 확장하기 유지하기 위해서 변동하는 행위입니다.
4) 주로 본인이 주도로 하여 변동, 이동, 활동을 꾀하는 행위입니다.
(5) 년살(年殺)
도화살(挑花殺), 함지살(咸地殺)이라고도 한다.
년살 도화는 호색, 풍류, 사교, 외정 등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으나 요즘은 인기 유명세를 뜻하며 연예인들에게 년살이 많이 있다. 년살이 사주에 있으면 성욕을 바탕으로 결혼 생활을 하거나 얌전하다가도 색난을 일으켜 가정에 문제가 생기는 등 남녀 모두 색정 문제로 곤란을 겪는 경우가 많이 있다.
[심화]
1) 년살은 시선을 받기 위한 고도의 기술로 씻는 행위, 꾸미는 행위, 의복을 입는 행위, 치장하는 행위, 반복적 행위, 아부하는 행위, 딱고 조이고 다듬는 행위, 치료하는 행위 등을 의미한다.
2) 시선을 받기 위한 기술은 하루아침에 생기는 것이 아니므로 반복, 지연, 인내의 시간이 필요하고 직업적으로 다재다능하고 고급기술을 습득하게 된다.
3) 속살을 보여주고 사례금이 생기는 것이므로 치료행위, 의료행위, 의료보장행위 등에 해당한다.
4) 탈선, 밀애 등을 의미하므로 불필요한 교제비가 많이 들어간다.
(6) 월살(月殺)
고초살(枯焦殺), 고갈살(枯渴殺)이라고도 한다.
월살(月殺)은 달월, 죽일 살 문자 그대로 한치 앞이 안 보일 만큼 칠흑같이 어두운 밤에 자신이 가는 길을 밝혀줄 달이 떴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자신이 힘든 상황에 처해지면 반사적인 이익을 볼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메마르다’는 뜻을 가지며 황무지와 같이 풀이 나지 않는다는 뜻이며 사주에 있으면 무녀(巫女), 승려(僧侶)가 되기도 합니다. 사주에 월살이 있으면 임신이 잘 되지 않아서 무자식일 경우가 많고 있어도 몸이 아프고 병치레가 많아서 고생을 하며 신비주의를 좋아하고 신병으로 몸이 아프기도 합니다. 모든 일의 침체, 답보, 중단, 장벽, 좌절의 뜻을 갖고 있으며, 자살할 위험도 내포하고 있는 위험한 살이다.
[심화]
삼합자(三合者)의 끝 자(字)를 충(冲)하는 字 (예 : 寅午戌에 辰)
1) 월살은 음(陰)을 상징하는 ‘月’이다. 음기(陰氣)가 번성하여 음양의 균형이 깨어져 있는 것이다. 월살 기운이 동하면 마음은 허탈(氣脫)해 지고 몸은 기탈(氣脫)해 지니 아무것도 현실적으로 이룰 수 없다. 마음이 허탈하니 우울증, 신경쇠약, 정신박약, 정신이상증세가 나타난다. 일종의 무병(巫病)현상이 생기는 것이다.
2) 신약사주자가 월살이 있으면 신경정신과 방향으로 이상이 오는데 요즘 현대인이 많이 겪는 공황장애가 일어나는 것도 월살작용이 크다 할 것이다. 심하면 무병을 앓다가 신접하든지 아니면 정신이상이 온다. 일반인은 신흥종교나 사이비종교에 심취하여 일상을 벗어나는 광신적인 신앙형태를 뛸 수 있다.
3) 자신의 실력이 부족하거나 주변의 배려를 받지 못한 채, 책임감과 의무감에 시달리다 보니 자신의 기력이 고갈되게 되며, 내가 먼저 먹기보다는 남을 먼저 먹여야 하니, 피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변에 의하여 남지 않는 인생이 되는 것이다.
4) 주위에 가깝게 지내던 사람의 액운으로 인해 자신에게 반사이익이 돌아오게 된다. 예를 들어 가족의 죽음으로 인해 상속이나 증여의 이익이 있다면 월살(月殺)에 해당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7) 망신살(亡身殺)
파순살(破軍殺)이라고도 하며 인간, 재물, 보증 등으로 망신을 당하며 사주에 있으면 일생동안 망신당할 일이 많이 있다.
망신살이 사주에 있으면 화려한 색과 혁명성을 지닌 정치살로 색난과 정치적 암투상이 암시되어 있으며 자신이 일을 저질러서 크게 잃는다는 뜻이 있다.
망신살은 본인 의도와 상관이 없이 어쩔 수 없이 비밀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행위로 외부 환경의 변화 때문에 노출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태이다.
망신살의 의미는 비밀유출 행위, 노출행위, 환부를 보이는 행위, 실리추구 행위(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이다. 사업장에서는 높은 곳의 옥상, 선전탑, 광고탑, 전망대 등이 있는 장소이다.
[심화]
망신은 년지 삼합 오행의 록지에 해당한다.
인오술은 사, 사유축은 신, 신자진은 해, 해묘미는 인이 망신이 된다.
1) 내부에서 그 작용이 일어나는 것으로 육친생별, 사별, 살상, 도난, 사업실패, 사기 등에 의한 재물손실 등이 망신의 작용에 해당한다.
2) 망신은 생왕귀살을 만나 길하게 되면 외모가 준수하고 위엄과 모략이 있어 간계함이 신과 같으며 언사를 다투어서라도 기어이 이익을 내고 장담을 잘하여 장년에는 인기상승 발전을 한다.
3) 흉살이 많으면 성품과 마음이 좁고 거짓말을 잘하고 비속어를 잘하며 주색풍류에 탐닉하고 송사를 잘 일으킨다. 망신이 대운, 세운에서 거듭 만나면 파재, 형옥, 망신을 한다.
4) 겁살, 망신살은 일지 살이 있으면 처를 극하고 시지에 살이 있으면 자녀를 극한다.
(8) 장성살(將星殺)
정의감이 강하고 주관이 뚜렷하나 고집이 세서 다툼이 많고 용맹심, 승진, 번영을 뜻하며 지배욕이 강하여 정 관계에 진출하면 좋다.
장성살이 사주에 있으면 남자는 권력계통으로 진출하면 출세하여 가문을 빛낼 수 있고 여자는 흉하게 보는데 기가 강하여 사회진출을 꿈꾸고 남편에게 순종하지 않고 몸이 아프고 신기가 있을 수 있다.
[심화]
1) 일지 중심 삼합궁의 왕지에 해당한다.
寅午戌은 午, 申子辰은 子, 亥卯未는 卯, 巳酉丑은 酉,
2) 가장 강력한 실력자, 실권자, 무리의 중심, 대장을 의미한다.
3) 양인과 동주하면 생살대권(生殺大權)을 장악하고, 관성과 동주하면 관계(官界)에서 대관(大官)으로 출세하고, 재성과 동주하면 재정권을 갖는다고 하나 격국을 보아서 장성이 유기 생왕하여야 한다.
4) 일지 장성은 주관이 뚜렷하고 밤에 무서움이 없고 단대(但大)하다. 장성이 망신(亡神)에 임하면 국가의 동량지재(棟樑之材)가 된다고 한다.
5) 책임감이 막중하고 사적인 일은 실익이 없고 공적인 일에 실익이 있기에 내실은 적다.
6) 지키고 막아내고 감시하고 대신하고 책임지고 공사를 구분하는 일에 특화되어 있다.
(9) 반안살(攀鞍殺)
말안장이라는 뜻으로 출세, 승진을 뜻한다.
반안살은 최고의 자리에서 물러난 상태, 궤도의 이탈, 약방의 감초 역할, 전리품, 돈줄, 비밀금고를 의미하는데, 보좌하는 역할이 주된 역할이며 중책을 감당해야 하기에 반안살은 비밀사 보좌라는 행위의 특성이 있다.
인품이 중후하여 조상의 음덕이 있고 인적교류, 꾸미고 장식하는 것을 좋아하며, 출세가 빠르고 행운도 따르며 만인의 존대를 많이 받는다.
반안살이 사주에 있으면 공부하는 사람은 합격이 되고 회사원은 승진을 하고 월급이 오르며 연월일시의 해당 육친의 덕을 입는다.
[심화]
1) 권력자가 믿고 일을 맡기는 사람이고, 비서와 같이 보좌하고 비밀사 등을 관리하는 행위로 모든 것을 맡기고 나서 편안하게 행동한다.
2) 약방의 감초격으로 윤활류 같은 사람이나 이러한 일들을 감당하는 행위이다.
3) 반안살은 임기응변에 능하고 문제해결 능력이 있고 자금마련을 잘한다.
4) 권력자와 함께 하므로 능력이 대단해 보이고 주로 전문직이 많다.
5) 개인 사업장에 있어서는 계산대, 카운터가 위치하는 장소가 된다.
(10) 역마살(驛馬殺)
역마는 寅申巳亥가 해당하고 오늘날 교통수단과 같다.
타의에 의한다는 의미가 있고 타향, 외국 등과 인연이 있고 이민, 해외관련, 무역관련 직업이 좋다. 역마살이 사주에 있으면 ‘이동살’이라고도 하며 일생을 바쁘게 사방팔방 돌아다니기를 좋아하고 임기응변에 뛰어나며 흉신작용을 하면 직업변동이 심하고 평생 안정이 안된다.
[심화]
1) 일지중심 삼합의 장생지와 충되는 지지가 역마가 된다. 이는 삼합궁의 병지(病地)가 된다.
寅午戌은 申, 巳酉丑은 亥, 申子辰은 寅, 亥卯未는 巳가 역마가 된다.
2) 역마작용을 물질적으로 생각하면 원행(遠行), 出行, 이사, 이동, 해외여행, 이민, 각종물자의 이동운반, 무역업, 운수사업, 차량 수송, 관광여행, 운동경기 등이 역마작용이다.
3) 역마작용을 정신적으로 보면 신문, 방송, TV 등을 통한 각종 선전 보도, 우편 통신, 전화, 전보, 서적출판, 명예의 선양 등이 역마작용에 해당한다. .
4) 역마가 길성과 함께 있으면 활동력이 많고 재성과 동주하면 재물을 일찍 부터 모으고 역마가 생왕하면 임기응변의 재주가 있고 외교에 능하고 운수사업 등으로 성공한다.
5) 역마가 있고 대운에 역마운이 와서 길신에 해당하면 영전하게 되고 합운에도 발전한다.
8) 대운, 세운, 월운이 모두 역마를 하는 운이 오면 승물(乘物)의 재액이 발생한다. 통관신이 있으면 액난을 면한다.
(11) 육해살(六害殺)
건강에 문제가 많고 만성질환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고 부모, 형제, 부부, 자녀 등의 덕이 적으며 종교에 귀의하는 경우도 많다.
육해살이 사주에 있으면 동작이 빠르고 눈치도 있고 음식을 빨리 먹으며 남의 집에 양자로 가던지 신앙으로 삶을 살아가는 경우가 많고, 여성은 난산을 하거나 자식을 잃을 수도 있다.
[심화]
1) 년지 삼합궁의 사(死)지에 해당한다. 申子辰年(임수)은 卯, 寅午戌年(병화)은 酉, 亥卯未年(갑목)은 午, 巳酉丑年(경금)은 子 가 六에 해당한다.
2) 액(厄)이란 어려운 일을 만나는 것을 말하며 구병(久病), 병고(病苦), 모든 일이 막히고 유년 동년同年에도 병고病苦로 신음하거나 어려운 일에 부딛치게 된다.
3) 육액(六厄)이 생왕生旺 귀기貴氣를 만나면 길귀(吉貴)하게도 된다.
(12) 화개살(華蓋殺)
겉은 화려하나 내면은 고독을 상징하므로 예술인, 승려, 보살, 학자, 성직자에게 많으며 학문이 뛰어나고 두뇌가 총명하여 문장에도 능하며 이상적인 세계를 추구하는 경향이 매우 크다.
화개살이 사주에 있으면 불교와 인연이 깊은 집안이며 해당 육친이 승려가 될 수도 있고 다재다능하고 총명하며 팔방미인의 운명이다.
辰戌丑未년생은 조상의 얼을 계승할 임무를 띠고 태어난 사람이며, 화개가 공망이 되면 승려가 되고 자식인연이 박하며, 인수가 간섭하거나 동주하면 대학자가 될 수 있다.
[심화]
1) 일지 삼합궁의 묘지가 화개가 된다.
寅午戌은 戌, 亥卯未는 未, 巳酉丑은 丑, 申子辰은 辰
2) 묘지는 오행의 정기를 저장하는 창고와 같은 것으로 이 묘지는 본체의 보존과 영원성을 계승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컨대 戌은 火氣를 겨울동안 저장하였다가 봄에 다시 피워 쓰는 것과 같은 것이다.
3) 오행의 속성을 동動과 정靜, 시중미(始中未)로 나눈다면 화개는 정靜에 속하고 결실을 거두어들이는 未에 속한다. 화개는 사물과 정신을 보관하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진리의 보고이다.
4) 문화, 예술, 신앙의 전당인 학교, 학원, 사찰, 교회, 미술관, 수도장, 기도원등이 화개에 속한다. 종교의식이 강하며 신앙생활을 소중히 생각한다.
5) 인수와 동주하면 대학자가 되고, 천월이덕과 동재하면 청귀한 귀인이고 길신에 임하여 파해가 없으면 귀貴와 문文이 겸비하여 영달한다. 인수와 묘가 함께 하면 화품격(華品格)이라 하여 품격이 청고하고 공경(公卿)이 된다.
6) 화개가 공망을 만나면 승려에 나가게 되고 화개가 일주에 임하면 마음이 사원(寺院)에 있고 도학道學에 뜻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