姓 名 : 이 서 행 (李 瑞 行)
主 要 學 歷
1986년 미국 Delaware대학 정치학과 교환교수
1987년 단국대학교 대학원 졸업(행정철학 박사)
1988년 미국 Trinity Theologlcal Seminary종교철학박사
2009년-(현) 중국연변대학 겸임교수, 명예교수
2012년 일본 오사카 경법대학 초빙교수
主要經歷
1982~2012 한국학 중앙연구원 교수(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부원장)
1976~현 감사원 및 전국공무원연수원 강사, 국방대학, 경찰대, 한국체육대, 경기대학원, 동 국대대학원, 고려대대학원, 서울대대학원강사
1978~(2005) KBS 해설위원(사회교육국 대북방송)
1981~2013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상임위원(미주와 유럽 교포대상 순회교육 강사)
1993~1994 한국국민윤리학회 회장, 상임고문
2000~2005 K-TV 방송 해설위원
2000~(현)남북학술교류위원회 남측위원장
2004~(현) 세계평화통일학회 회장, 상임고문
2003년~(현) 겨레얼살리기국민운동본부 학술자문위원
2007. 1~(현) 6.15 남북공동선언 학술위원회 상임대표, 고문
2008. 11.7-2012.8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원장, 원장대행
2010~2011 행정안전부 제5대 국새제작위원장(차관직)
2012년-(현)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2013~2016 대한당구연맹 고문
● 1985년 11월 27일 국민훈장 석류장
● 2001년 12월 31일 국민훈장 동백장
● 2012년 8월 30일 홍조근정훈장
2023년 10월 9일은 577돌 되는 뜻 깊은 한글날로서 과거 36년간 일본의 식민주의 암흑기 시절 한글도 제대로 사용 못했던 한국은, 이제 더 이상 세계 강대국 틈바구니에서 발버둥치는 작은 나라가 아니다.
지난 1,000년 동안 열강들 사이에서 숨죽이고 눈치보며 살던 극동지역의 대한민국이 더 이상 약소국이 아니라 경제․외교․군사․문화적 측면에서 세계 10위권을 점하는 강대국으로 급성장했다.
50년대 한국 전란을 극복하고 60년대 산업화를 걸쳐 70년대 이후 반도체, 자동차, 선박, 배터리, 휴대폰 등을 발판으로 문화대국이 되었고, 특히 지난 20년 동안 걸그룹, 보이그룹 아이돌, 방탄소년단을 앞세운 K팝 음악과 한류드라마, 영화 등의 문화 콘텐츠로 세계를 놀라게 하였고, 소프터 파워, 군사력을 키워 어느 나라도 건드릴 수 없는 강대국이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한국고유의 한글문화와 콘텐츠가 있었기 때문이다.
최근 아시아인들도 세계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나라는 대한민국(ROK)밖에 없다며 세계 패권의 중심축을 형성하고 강대국들이 집결해 있는 극동 아시아 중에서도 세계를 선도할 나라는 일본이나 중국이 아닌 한국이 되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인도의 시성 타고르는 1929년에 빛나던 아시아의 황금시절에 등촉 코리아라는 명시를 남겨 다가오는 21세기의 한국의 위상을 예측한바 있다. 유구한 역사상 한국은 침략만 받았지 한 번도 남의 나라를 침략한 적이 없는 평화애호의 나라로 근본이 선량한 민족이라는 인식이 있는데다 어떻게 해서든 남의 나라를 도와주려고 애쓰는 나라로 알려지고 있다.
최근에 실제로 코로나 백신과 의료제품을 지원해 주어 위기를 극복하도록 도와준 은혜를 갚기 위해, 친북한 공산주의 국가인 쿠바는 자국 지폐에 한국 국기를 그려 넣어 기념 화폐를 만들겠다고 했으며 지난 2월 14일에는 76년만에 외교적인 국교수교를 맺었다. 칠레의 보리치 대통령도 한국 K팝 팬들의 지지를 받아 권좌에 오르게 되었다고 하면서 자신도 케이팝 팬이어서 한국문화를 좋아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한다.
한글(한국어, 조선어)은 인류가 사용하는 문자들 중에서 창제자와 창제년도, 창제원리, 창제시기, 보편타당한 과학적인 특성이 명확히 밝혀진 문자이다. 첫째, 창제자(세종대왕, 1446년, 10월 9일)와 창제원리, 창제시기를 알 수 있는 세계 유일의 문자 둘째, 세종대왕은 훈민정음(訓民正音: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그 이름으로 창제목적을 밝혔으며 셋째, 한글은 세상에서 누구나 가장 배우기 쉬운 과학적인 문자다. 그래서 유네스코(UNESCO)는 1997년 10월 1일 국보 70호 훈민정음 해례본을 세계기록유산으로 선정했다.
이제 우리는 한글 연구에 더욱 박차를 가하여 우수한 성능의 <한글 리듬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한국어가 빠른 시간 안에 80억 인류가 사용하는 약 7,000종의 모든 언어를 다 적을 수 있는 ‘세계 통일(공용)문자’가 되도록 하는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실제로 놀랍게도 연이어 세계문자 올림픽대회에서 우리의 한글이 금메달 획득했다는 사실이다.
특히 소수민족인 찌아찌아족을 위해 2010년 7월에 유네스코의 추천에 따라 인도네시아정부가 모국어로 한글사용을 공식 승인했다. 한류문화를 타고 세계속으로 대장금 드라마, 한국어, 아리랑, k-푸드(김치와 비빔밥), k-의상(전통한복), k-영화(기생충과 오징어게임) , k-팝(POP), 방탄소년단(BTS) 등. 한국어를 베트남 등 제1외국어로 삼는 나라가 늘고 있다. 조만간에 UN에서 한국어가 공용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택사스 주정부는 이미 한국어를 공용으로 쓰고 있으며 다른 주에서도 한국어를 공용어로 채택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세계 2차대전 후 유일한 분단국인 한반도는 남북 간에 정치적 통일이나 연합은 그 성격상 주변 환경이 복잡하고 요원하기 때문에 순리적으로 미루고, 먼저 가능한 한글문화로<한국어>와 <조선어>를 통합하여 일본에 거주하는 재일 동포들의 탈이념 단일민족성을 회복하여 그 여파로 러시아와 전 세계에 흩어진(Diaspora) 800만 한민족의 한글문화 정체성을 제대로 회복하는데 추진운동의 동기와 궁극적 목적이 있기에 세계인의 적극적인 동참을 기대하는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