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송배 시인의 시월평 공유(1)
시의 구도, 시인의 기상도
*시월평 대상 문학지(가나다 순)
『국보문학』『계절문학』『문예사조』『문학미디어』『문학세계』『문학저널』『시와수상문학』 『월간문학』『지구문학』『청계문학』『ᄒᆞᆫ맥문학』
=목차=
제1부 시적이냐, 산문적이냐
--『월간문학』
독백 언어의 한계를 넘어(2009. 2.)
자성의 언어 혹은 인식의 미학(2008. 11.)
--『계절문학』
자문(自問)의 시학, 현답(賢答)의 해법(2011.9.제16호)
--『문예사조』
세모에 접하는 시간성 이미지(2019. 1.)
‘삶과 죽음의 경계선’ 그리고 인생론(2019. 2.)
자연 정경(情景)과 서정적 시혼 (2019. 3.)
‘봄’의 향연(饗宴)과 계절의 이미지(2019. 4.)
--『문학미디어』
시의 구도 혹은 시인의 기상도(2009. 봄.)
시간성에 관한 시적 의미(2008. 겨울.)
시적 서정성, ‘세월’과의 동화와 진실(2018. 겨울.)
고독과 독백의 간극, 그 화해의 해법(2018. 가을.)
‘나’와 서정적 자아의 성찰의식(2018. 여름.)
삶의 방식과 사유의 지향점(2018. 봄.)
삶과 동행하는 시간성의 이미지(2017. 겨울.)
상상력의 재생과 이미지의 창출(2017. 가을.)
삶과 성찰의 인생론적 진실 탐구(2019. 봄)
--『문학세계』
삶의 경계에서 조감하는 생명성 (2009. 5.)
시간의 언어 또는 자화상 (2009. 4.)
‘포도나무의 시법’과 종합예술 (2009. 3.)
사물에 관한 상징적 사유 (2009. 1.)
실험정신의 새로운 도전인가 (2008. 12.)
시적이냐, 산문적이냐 (2008. 11.)
--『지구문학』
‘나 속의 나’를 찾는 일과 詩의 이유(2008. 겨울.)
자연 서정의 시적 구도(2009. 봄.)
--『청계문학』
세월과 동행하는 삶의 형태(.2016. 여름.)
간명한 표현과 명징한 주제(.2016. 봄.)
제2부 시적 담론과 독백의 차이
--『ᄒᆞᆫ맥문학』
세월과 인생 그 성찰의 시법(2016. 7.)
삶의 궤적에서 재발생하는 ‘세월’의 과제(2016. 6.)
사랑학의 정수 그 시법의 진실(2016. 5.)
세월과 인생 그 성찰의 시법(2016. 4.)
새 생명의 환희와 ‘나’와의 담론(2016. 3.)
겨울 정취와 시간성 이미지의 탐색(2016. 2.)
시간성에서 탐색하는 이미지의 투영(2016. 1.)
가을 이미지의 시적 형상화(2015. 12.)
생명체 탐구와 서정적 자아(2015. 11.)
서정적 사친가의 향연(2015. 10.)
서정적 관조에서 탐색하는 삶의 모습(2015. 9.)
시적 담론과 독백의 차이(2015. 8.)
생명 탐색에서 동반하는 시적 상황(2015. 7.)
봄의 잔영과 서정적 환영(2015. 6.)
생명의 존귀함 혹은 ‘나’의 지향점(2015. 5.)
제3부 자연 향훈과 시적 진실
--『국보문학』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성찰(2015. 4.)
사친과 체험적 시학(2014. 12.)
삶의 궤적에서 투영된 ‘시의 미학’(2014. 11.)
가을 이미지들과 서정적 시편들(2014. 10.)
여름 시편들과 대자연의 향연(2014. 9.)
염천에서 꽃피운 자연 서정시편(2014. 8.)
세월호 참사와 분노의 시적 형상화(2014. 7.)
Persona의 수사적 목적과 진실(2014. 6.)
봄의 향훈과 서정적 이미지(2014. 5.)
지적 이미지와 문명 풍자 비평(2014. 4.)
내면의 계절 ‘겨울’ 이미지의 재생(2014. 3.)
낙엽 이미지와 시간성 인식(2014. 2.)
‘그리움’에 투영된 자아 인식(2014. 1.)
시적 의미성에 대한 개성과 정서(2013. 12.)
가을 이미지와 시적 진실(2013. 11.)
사물 이미지와 관념 이미지의 차이(2013. 10.)
삶의 궤적과 시적 상상력(2013. 9.)
시적화자의 변용(2013. 8.)
‘싶다’라는 보조형용사와 기원의식(2013. 7.)
그리움과 기다림 그 시간의 시학(2013. 6.)
자연 향훈과 시적 진실(2013. 5)
제4부 소멸의식과 낭만적 환상
--『문학저널』
인간과 자연, 시와 영혼과(2009. 5.)
외연과 이미지의 융화 (2009. 4.)
의문형 어법과 인식 단정(2009. 3.)
삶의 시간 혹은 시간의 삶(2010. 4.)
바움과 채움의 시적 상관성(2010. 3.)
‘생명의 힘’과 ‘사랑의 불꽃’(2010. 2.)
대사물관에서 형상화한 진실’(2009. 1.)
삶의 현장에서 듣는 절감의 언어들’(2009. 2.)
소멸의식과 낭만적 환상(2008. 12.)
인식과 기원의 순정적 언어들(2008. 11.)
-- 『시와수상문학』
시적화자의 활용과 주제의 명징성(2015. 여름호.)
장미와 사랑 혹은 자연 사랑(2014. 가을호.)
시적공간에서의 사물 응시(2014. 여름호.)
시적화자의 어조와 그 감도(2014. 봄호.)
계절의 향연과 그 이미지의 정취(2013. 겨울호.)
화자의 어조에 따라 변화는 감응(21013. 가을호)
정감적 언어와 그리움의 이미지(2013. 여름호.)
계절시편들의 시간과 공간(2013. 봄호.)
가을의 정취 그 시적구도와 진실(2012. 겨울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