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칼빈대학교 대학원 수원학습관
 
 
 
카페 게시글
노인복지론 2025-1 노인복지론 1.노인복지과 노인문제
임승혜 교수 추천 0 조회 28 25.03.23 20:32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첨부된 파일
댓글
  • 25.03.23 21:25

    첫댓글 ㅁ 노인의 정의 : 노인은 인간의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심리적, 환경적 변화 및 행동적 변화가 복합적으로 상호작용에 있는 사람이라 규정한다.
    ㅁ 노인의 특성 : ① 환경 변호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는 조직기능이 감퇴되고 있는 사람 ② 생체 자체 통합능력이 감퇴 되고 있는 사람 ③ 인체의 기관, 조직, 기능에 쇠퇴현상이 일어나는 시기에 있는 사람 ④ 생활상의 적응능력이 결손되어 가고 있는 사람 ⑤ 조직의 예비능력이 감퇴하여 적용이 제대로 되지 않는 사람으로 규정하고 있다.

  • 25.03.25 19:33

    노인은 노화 과정의 결과로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이 약화되어 자립적인 생활이 어려운 사람으로 정의됩니다.

    수많은 노인문제 중에서도 제가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고독과 소외"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노인들은 고립되기 쉬우며, 이에 따라 정보 접근성 부족 문제가 발생합니다. 필요한 지원 서비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를 얻지 못해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디지털 시대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기술 적응이 어려운 노인들은 이전 세대보다 더욱 큰 고독과 소외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25.03.27 22:50

    노인은 나이가 들어 늙은 사람을 말하며 나이가 든다는 것을 노화라고 표현하는데 노화란 시간에 따라 신체에 점진적인 변화를 말한다. 노화는 인생의 한순간에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인간 발달에서 지극히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어느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과정이면서 이러한 노인이 현대사회에 의학이 발달하고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평균 수명이 길어지다 보니 노화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호 작용하여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노후 설계는 이러한 다양한 측면들에 대해 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한국 사회의 노후 준비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공감대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 25.03.28 19:01

    2024.12.23을 기점으로 노인의 인구가 20%를 넘게되면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는 지금, 노인인구 부양에 대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으로 인해 노인부양이 가족부양에서 사회의 공동부양으로 옮겨짐에 있어서 체계적으로 급여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무엇이든 장단점이 있듯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후를 책임져준다는 생각으로 중장년층 기간에 노후준비를 하지 않는 세대가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여기에 젊은 층은 노인장기요양을 위한 부담요율이 증가된다며 반대를 하여 노인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세대간의 갈등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기도 하다.
    우선 노인층 스스로가 자신의 삶을 책임질 수 있도록 충분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25.03.28 23:00

    노인이란 노화의 과정 또는 그 결과로서 생리, 심리, 사회적 기능이 약화되어 자립적 생활능력과 환경에 대한 적응능력이 약화되고 있는 사람으로서 개인의 자각이나 기능적 연령이나 사회적 역할의 상실의 정도에 따라 노인의 정의는 일부 달라진다. 인간의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한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었으며 이는 노동력 감소, 저축률 감소, 연금제도의 개혁, 산업구조의 변화와 같은 사회적 변화가 생겨났다. 빈곤, 질병, 고독과 소외, 역할 상실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저하에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많은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 25.03.29 09:23

    노인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노인을 정의 할 때의 기준으로는 역연령(달력상의 나이), 사회적 역할, 늙음 자체, 그리고 늙음에 대한 자각등이 적용된다. 여러 나라에서는 공식적으로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다.법의 따른 우리나라의 노인의 정의는 고령자고용촉진법은 고령자 55세이상, 준고령자 50세이상, 55세미만, 국민연금법에서 노령연금 급여대상자로서의 노인은 60세부터, 노인복지법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65세이상을 의미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