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甲殼綱 Crustacea
크게는 절지동물門(Arthropoda), 大顎亞門(Mandibulata)에 속한다. 갑각류는 게, 새우, 대하, 가재 등의 수서생활을 하는 절지동물을 포함하며, 보통 바다에서 살지만 민물에서 사는 종도 많다. 반육서나 육서군도 있으나 육서군은 큰 적응적 진화를 보이지 않는다. 현서종은 약 32,000종이 알려져 있다. 외골격은 키틴질로 되어 있는데 얇고 거의 막상이며, 투명한 경우도 있고, 두껍고 탄산칼슘이 침적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몸은 머리, 가슴, 배의 3부분이 뚜렷하나 머리와 가슴이 유합하여 두흉부를 형성한다. 두부는 5쌍의 부속지를 가지는데 앞에서부터 제1촉각(antenule), 제2촉각(antenna), 大顎(mandible), 제1소악(first maxilla), 제2소악(second maxilla)등이 있다. 2쌍의 촉각을 소유하는 것은 본 綱의 특징적 구조가 된다. 체간의 체절이나 부속지는 변화가 많고 원시형인 두판류(頭板類)와 요지류(橈肢類)를 제외하고는 흉부, 복부의 분화가 생긴다. 대부분 두흉부는 갑각으로 덮여 있다. 갑각은 머리의 등쪽 뒷가장자리의 피부가 앞뒤로 중복 신장하여 생기는 것인데 간혹 가슴 체절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판(背板)과 유합하는 경우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더욱 더 신장하여 몸 전체를 둘러싼다.
가슴과 배의 부속지는 전형적인 이분지형이다. 다리의 기부에는 基節과 底節의 2마디로 된 原節이 있다. 저절에는 內肢와 外肢가 붙어 있는데 각각 1개에서 여러 개의 마디로 되어 있다. 이따금 부속지의 서로 다른 부분이 잘 발달한 돌기를 가지는 경우가 있어 특별한 명칭으로 불리운다. 가장 흔하게는 기절에 붙은 것을 副肢, 외지에 달린 것을 외돌기, 내지에 붙은 것을 내돌기라고 한다. 부속지는 원시적으로는 수가 많고 서로 비슷하며 함께 여러가지 일을 하지만 진화의 경향으로서 그 수가 줄어들고 부속지에 따라 특수한 기능을 위해 특수화 하였다. 이들테면 유영용, 교접용, 난의 부착용, 포획용 등으로 변형된 것이 있다.
軟甲亞綱 Malacostraca
갑각류 최대의 亞綱으로 20,000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몸은 5체절의 두부, 8체절의 흉부 그리고 7체절의 복부로 된다. 모든 체절에 부속지가 있는데 그 구조와 기능이 다양하다. 복안은 대부분 안병을 가지나 등각목이나 단각목에는 안병이 없다. 제1촉각은 가끔 이분지하며, 대악은 수염(palp)을 가지며, 그 면은 갈아 부수는 어금니돌기와 절단용의 송곳니로 나뉘어 진다. 2쌍의 소악도 수염을 가진다. 암컷의 생식공은 항상 제6흉절에 위치하고 수컷은 제8절에 개구한다. 유생은 nauplius시기를 난 속에서 경과한다.
眞軟甲下綱 Eumalacostraca
진연갑류는 2장으로 된 갑각이 없고제7복절이 없다는 점에서 엽하류(葉蝦類)와 다르고, 口前部(acron)가 없고 5쌍의 흉지가 반집게를 이루지 않는다는 점에서 극하류(棘蝦類)와 다르다. 이 아강은 원하류(原蝦類), 낭하류(囊蝦類), 진하류(眞蝦類)의 3상목으로 나뉜다.
眞蝦上目 Eucadria
대형 갑각류를 포함하며 두부와 흉부의 등쪽에 두흉갑을 형성한다. 고도로 발달된 감각기와 신경계, 강력한 근육 등을 가진다. 눈은 유병의 복안으로 되며, 육낭은 없다. 발생중에 변태를 하는데, zoea 유생의 시기를 거친다. 진하상목은 난바다곤재이류(Euphausiacea), 암피오니데스류(Amphionidacea), 십각류(十脚類)의 3目으로 나뉜다.
十脚目 Decapoda
분류상 眞軟甲下綱, 眞蝦上目에 속한다. 진연갑하강에는 이외에 原蝦上目과 囊蝦上目이 있다.
새우, 가재, 대하, 게와 집게 등을 포함하는 갑각류 중에서 가장 분화된 동물군으로 8,900여 종이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산자원으로서 중요한 것이 많다. 몸은 머리, 가슴, 배의 3부분으로 이루어지며, 머리와 가슴은 유합하여 두흉부를 이룬다. 체절은 두부가 5개, 흉부가 8개, 복부는 7개의 체절로 구성되며, 두흉부를 1장의 두흉갑이 덮고 이것의 앞끝이 액각을 이루며, 몸 양옆을 덮어 새실(魚思室)을 형성한다. 십각目은 난바다곤쟁이目과 달리 흉부 부속지의 처음 3쌍이 이분지형으로 악각으로 되며, 나머지 5쌍이 외지가 없는 보각을 이룬다. 첫째 보각은 다른 것보다 크고 집게를 가지는 협각(鋏脚)이 된다.
대부분의 십각류는 포식성이나 잡식성과 부식성인 경우도 있는데 먹이를 대악, 소악과 악각 등을 이용하여 붙잡고 찢는다. 전형적인 십각류의 소화관은 짧은 식도와 용량이 큰 전위(前胃), 작은 유문위(幽門胃) 그리고 긴 소장이 항문까지 이어진다. 전위와 유문위 속에는 위저작기가 있어 먹이를 부수는데 쓰인다. 호흡기는 잘 발달된 아가미를 가지는데 완전한 아가미式을 갖춘 경우에는 좌우 각각 1개의 각새(脚魚思), 2개의 關節魚思, 1개의 側魚思 등 4쌍의 아가미를 갖게 되나 대부분 완전한 쌍을 가지지 않는다. 아가미는 구조상 수상새(樹狀魚思), 사상새(絲狀魚思), 엽상새(葉狀魚思)의 3가지로 나뉜다. 눈은 복안으로 다른 갑각류보다 가동성이 높다.
발생 중 변태하며, 난에서 깨어날 때의 유생 시기는 종류에 따라 크게 다르다. 대부분 protozoea나 zoea유생으로 깨어 나오나 포란을 하지 않는 종류에서는 nauplius, metanauplius 또는 protozea나 zoea시기에 깨어난다. 한국산 십각류는 새우류 80종, 집게류 약 50종, 게류 175종이 알려져 있다.
새우亞目 Macrura (長尾亞目 Malacostraca)
보리새우科 Panaeidae
◎ 범새우 : Metapenaeopsis acclivis Rathbun
외국명 : (영) Tora velvet shrimp, (일) Toraebi
형 태 : 체장 10cm 정도. 융털빨강새우와 유사하며, 오히려 융털빨강새우보다도 붉은 것이 많다. 껍질은 역시 단단하고 짧고 억센 털이 산재하며, 촉감이 거칠다. 액각의 모양도 빨강융털새우와 거의 같다. 두흉갑의 발음기 융기 수는 13-18개이다. 수컷의 교접기 좌엽돌기는 12-16개(융털빨강새우는 7-12개)이다.
분 포 : 한국(동해), 일본(三河灣, 伊勢灣, 瀨戶內海, 有明海 등에 많다)
◎ 융털빨강새우 : Metapenaeopsis barbata de Haan – 깔깔새우
외국명 : (영) Whiskered velvet shrimp, Red rice prawn, (일) Akaebi
형 태 : 체장 12cm 정도. 껍질은 비교적 단단하며, 짧고 거친털로 덮여있다. 두흉갑의 후측부에 발음기가 있고, 그 융기 수는 18-25개(대개는 20-23개)이다. 액각 위쪽에 6-7개의 가시가 있으며, 아래쪽에는 없다.
설 명 : 수심 20-70m의 개흙질에 서식한다. 내만의 천해에 사는 종으로 건새우나 깐새우(peeled)로 이용된다.
분 포 : 한국(해운대), 일본(범새우와 동일), 동지나해, 말레이제도,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 범새우류 : Metapenaeopsis lamellata de Haan
외국명 : (일) HotsKokuebi
형 태 : 체장 7.5cm 정도. 흉각과 복지가 홍적색으로 아름답다. 내해, 내만의 砂泥底에서 빨강융털새우나 범새우 등과 혼획되지만 그다지 많지 않다. 껍질은 단단하며 거친 털로 덮여있다. 두흉갑 앞쪽과 액각이 불룩하게 솟아올라 있으며, 액각 위쪽에 7-10개(두흉갑상에 3-4개)의 가시가 있다. 제3-6복절 배면의 융기도 심하다.
분 포 : 일본 특산으로 북해도에서 九州까지
◎ 중하류 : Metapenaeus endevouri Schmitt – 호주중하, 엔데버
외국명 : (영) Endevour prawn, (일) Endeba shrimp
형 태 : 체장 15cm 정도. 일반적인 형태는 중하나 칼새우와 유사하다. 실제로는 암컷의 생식기관에 있는 페타즈마를 보지 않으면 구별이 매우 어렵다. 액각은 거의 직선이고 위쪽을 향하고 있으며, 위쪽에만 10-11개의 가시가 있다. 두흉갑과 복부에는 가는 털이 나 있어 매끄럽지는 않다.
설 명 : 수심 20m 까지의 내만에 서식한다. 해역에 따라서 수심 20-45m에서 중하와 같이 어획되는데 중하와는 달리 기수역(汽水域)으로 들어오는 경우는 없다.
분 포 : 호주(남부를 제외한 지역), 필리핀
◎ 칼새우 : Metapenaeus ensis de Haan – 보리새우붙이
외국명 : (영) Offshore greasyback prawn, Greasyback shrimp, (일) Yoshiebi, Suebi
형 태 : 체장 18cm 정도. 액각은 거의 직선이고 수평으로 돌출해 있으며, 위쪽에 6-9개의 가시가 있다. 껍질에 있는 털이 빛난다. 배면의 중앙선은 약간 솟아올라 있으며, 뒤쪽까지 이어져 있다. 중하와는 색채가 다르며, 암수 모두 교접기가 다르다.
설 명 : 남방계, 천해산이다.
분 포 : 일본(동경만 이남), 동지나해, 필리핀, 인도네시아, 호주
◎ 중하 : Metapenaeus joyneri Miers
외국명 : (영) Small white prawn, Medium shrimp, (일) Shibaebi, (프) crevette shiba
형 태 : 체장 15cm 정도. 일반적인 것은 체장 10-12cm 정도이고 내해, 내만성의 중요종이다. 껍질에는 불규칙한 요철이 있고, 안으로 들어간 곳에는 털이 나있어 촉감이 꺼칠꺼질하다. 額角은 바르고 상연에 7 – 9개의 침이 있다. 액각 후방에서 이어지는 등쪽 정중앙부는 약간 볼록하게 솟아있으며, 매끄럽고 털이 없다. 일본에서 交尾栓을 가진 개체를 “Ishimochi”라고 부른다.
설 명 : 수심 20m의 모래질에 서식한다. 보리새우나 대하 등에 비하면 상품가치가 낮아서 중급의 튀김 재료나 갈아서 사용한다. 11월부터 이듬해 3월이 어기이다.
분 포 : 한국의 서,남해안, 일본, 중국, 홍콩, 남지나해
◎ 말새우 : Metapenaeus moyebi de Haan [Kishinouye] – 모새우
외국명 : (영) Moebi shrimp, Greentail prawn, Greasyback shrimp, (일) Moebi
형 태 : 체장 12cm 정도. 껍질은 대부분 매끄럽지만 부분적으로 불규칙한 모양의 얕은 홈이 있고, 그 부분에 짧고 억센 털이 돋아 있다. 액각은 바르고 위쪽에 6-8개의 가시가 있으며, 아래쪽에는 가시가 없다. 두흉갑상(촉각, 위 및 간 부위)에 가시가 있는 점은 같은 屬의 다른 종과 같으며, 미절의 옆면에는 가시가 없다.
설 명 : 수심 18-64m의 진흙바닥에 서식한다. 동남아시아 각국에서는 양식도 이루어지고 있다.
분 포 : 일본(동경만에서 九州 서해안), 대만, 호주, 스리랑카, 말레이지아, 뉴기니아
비 고 : 본 속에는 M. dalei (Rathbun)(산모양깔깔새우), M. coniger (Wood-Mason)(곰방깔깔새우) 등이 있다.
◎ 대하류 : Panaeus aztecus Ives - Brown Gulf Shrimp
외국명 : (영) Brown Gulf Shrimp, (프) Crevette du Maroc, (독) Chinesische Prawn, (스) Camarón, (러) Kryevyetka
형 태 : 체장 20cm 정도. 꼬리는 청색, 보라색을 띠기도하며, 몸통은 무색에서 절각색까지 다양한 색상을 나타낸다.
설 명 : 멕시코만의 새우중 가장 중요종으로 미국 새우 생산량의 절반을 점한다. 화이트 보다는 저가로 판매되며, “Brownies”로도 불린다.
분 포 : 텍사스 동부에서 프롤리다, 아틀란틱해안에서 캐롤라이나
◎ 대하류 : Penaeus brasiliensis Latreille – 붉은점보리새우
외국명 : (영) Pink spotted shrimp, Red spotted shrimp, (일) Pink spotted shrimp
형 태 : 체장 20cm 정도. 제3복절의 측면에 적갈색 반점이 있어 다른 종과 쉽게 구분된다. 액각 위쪽에 7-11개(두흉갑상에 4개), 아래쪽에 1-3개의 가시가 있다. 두흉갑의 중앙선의 稜은 잘 발달해 있고 그 옆의 홈은 뒤쪽까지 깊게 패여있다.
설 명 : 서대서양에 있어서 중요종으로 수심 35-65m에서 다량으로 어획된다. 육질의 발색도 좋다. 거의 동일 해역에 동대서양 남부산과 같은 나이지리아핑크도 서식하고 있는데, 이를 케냐핑크 또는 동일 해역에서 어획되는 브라운을 포함해서 전체적으로 케냐새우라고 하기도 한다.
분 포 : 북 캐롤라이나에서 브라질까지
◎ 대하 : Penaeus chinensis Osbeck (P. orientalis Kishinouye) - 대하(大蝦), 海蝦, 紅蝦
외국명 : (영) Chinese White, Fleshy shrimp, Oriental shrimp, Large shrimp, (일) Kouraiebi(高麗海老), Taishyou(大正)ebi, (프) Crevette du Maroc, crevette charnue, (독) Chinesische Prawn, (스) Camarón, (러) Kryevyetka
형 태 : 자연상태에서는 18cm(7 inch)까지 자라지만 양식산은 최대 체장 27cm의 것도 있다. 額角은 거의 수평이며, 상연에 7- 8개, 하연에 3 – 4개의 침이 있으며, 기부는 약하게 솟아 있다.
설 명 : 수심 90 – 180m에 서식한다. 대하는 열대성 보리새우科에 속하며, 아열대 또는 열대 지역에서 양식되나 냉수에서도 잘 자란다. 투명한 껍질과 백색의 tail meat를 갖는다. 육질은 고급으로 변질이 잘 안되며, 가격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다른 대하류(white shrimp)보다 저렴한 편이다. Trawl로 다량 어획한다. 통상 M size의 것을 수확하며, 31/40, 41/50, 51/60 size가 주를 이룬다. Whole에서 탈각, 자숙 새우의 수율은 60 – 65%이다. 산란장은 발해만의 천해이고 월동장은 제주도 서쪽이다.
분 포 : 한국(서해와 남해), 중국 북부 연안, 홍콩
비 고 : 에쿠아도르 대하와는 크기 및 산지가 달라서 확실히 구분된다. 중국, 에쿠아도르, 대만, 태국 등지에 양식된다.
◎ 대하류 : Panaeus duorarum Burkenroad - Pink Gulf Shrimp
외국명 : (영) Pink Gulf Shrimp, Southern pink shrimp (프) Crevette du Maroc, (독) Chinesische Prawn, (스) Camarón, (러) Kryevyetka
형 태 : 체장 18cm 정도. 액각은 거의 똑바르고 그 측구(側溝)는 껍질 뒤쪽에 이르며, 전장에 걸쳐서 폭이 넓은데 후반부가 약간 좁다. 체색이 모두 분홍색은 아니며, 갈색이 강한 것이 많다. 두흉갑의 등정중선 능은 높고 측구는 현저하게 크다. 옆 아래 사진은 나이지리아에서 주로 어획되는 것으로 나이지리아핑크로 불린다.
설 명 : 선도 저하가 느린 것이 특징이며, 발색이 좋기 때문에 생선초밥용이나 튀김에 많이 이용된다. Mexico’s Campeche Banks의 자원이 가장 풍부하다. 요리시 감미가 있고 육질은 분홍색이며 꼬리는 적색을 띤다.
분 포 : White와 분포 해역이 비슷하다. 북캐롤라이나에서 멕시코만, 모리타니아에서 앙골라에 걸친 수심 20-100m에 주로 서식하는데 카리브해 연안 각지에서 브라질 남부까지의 서대서양에도 분포한다.
○ 대하류 : Penaeus esculentus – 호주보리새우
외국명 : (영) Brown tiger shrimp, (일) 오스트레일리아 tiger
형 태 : 체장 25Cm에 이르나 대개는 20Cm 정도이다. 보리새우와 닮은 흰무늬모양의 다리 역시 멋있는 적갈색의 브라운 계통이다.
설 명 : 눈이 멋 있어서 거의 머리를 붙인 채 수입된다. 모양이 보리새우와 유사하고 단맛이 있으며 맛과 색이 좋은 고급 품종이기 때문에 구이나 튀김용으로 이용된다.
분 포 : 호주 연안의 고유종이며, 남부를 제외한 해역의 수심 15~20m의 흙모래 바닥에 서식한다. 주요 산지는 북부 카펜타리아 만이다.
◎ 대하류 : Penaeus indicus H.Milne Edwards – 인도보리새우, 인디아새우
외국명 : (영) Indian prawn, White prawn, Banana prawn, (일) Indoebi
형 태 : 체장 14cm 정도. P. merguiensis와 유사하나 본종은 액각의 기부가 솟아올라 있지는 않고 극히 약하게 휘어져 있다. 액각의 위쪽에 7-9개, 아래쪽에 4-5개의 가시가 있다. 특별한 반점이나 얼룩이 없는 소위 화이트계로 최대 체장은 17cm에 이르지만 대개는 15cm이하이다.
설 명 : 내만에서 근해에 걸친 얕은 바다에 서식한다. 때로는 대량 어획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나 동남아시아에서의 상품가치는 홍다리얼룩새우의 절반 정도이다.
분 포 : 인도 주변 해역, 동남아시아, 홍콩, 필리핀, 호주, 아프리카 동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