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목학[Dendrology]
1. 개념 및 정의
나무의 이름, 습성, 기본적인 식물학적 특성에 대한 지식은 임업(林業)을 포함해 나무와 연관된 타 연구 분야에서 기본적인 사항이다. 수목학(樹木學, dendrology)은 문자 그대로 ‘나무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나무, 관목 그리고 덩굴성 목본식물을 포함한 목본성 식물의 분류를 의미한다.1) 수목학을 뜻하는 영어단어 ‘dendrology’ 역시 고대 그리스어에서 나무를 뜻하는 ‘dendron’과 과학 또는 학문의 ‘-logia’로부터 나왔다.
일반적으로 수목학은 식물분류학(植物分類學, plant taxonomy)의 한 응용 분야로 다루어진다. 인류가 경제적 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목본식물만을 골라서 중점적으로 취급하는 학문이므로 수목학에서는 식물분류학과는 달리 식물계의 계통적인 문제만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기보다는 식별, 용도 및 지역적인 생육상태 등 나무와 관련된 생활에 필요한 문제는 물론 생태 생리적인 특성까지도 중요시한다.
하지만 식물분류학과 수목학의 명확한 경계를 나누기는 쉽지 않다. 목본식물이 어떠한 특정 과(科)로 구분되기 보다는 서로 다른 수많은 과에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과는 목본식물뿐만 아니라 초본식물들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일부 과는 매우 소수의 목본종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점이 수목학적 접근의 유용성을 심각하게 제한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목학은 경제적으로 유용한 목본식물과 그들의 식별 그리고 원예 또는 조림 특성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임업처럼 목본식물에 보다 중점을 둔 학문에 있어서는 필수적인 학문 분야가 되기도 한다. 식물분류학보다 수목학은 대상을 목본식물로 제한하였을 뿐 보다 포괄적인 학문 분야를 다루므로 종종 식물학(植物學, botany)과 혼동되기도 한다. 이 또한 식물학이 일반식물을 대상으로 한다면 수목학은 오직 목본식물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수목학은 목본식물로 특화된 식물학의 하위 범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목학은 수목의 명칭, 분류, 형태, 습성 및 용도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 수목학의 가치와 연구의 발전
1) 수목학의 가치
수목학이 전통적으로 관상수종, 조림수종(造林樹種), 용재수종(用材樹種) 등 경제적 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목본식물을 더 우선적으로 다루어 왔다면 최근에는 경제적인 측면뿐 아니라 환경, 생태, 사회, 문화 나아가 복지적인 측면에까지 그 역할과 중요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생물 다양성 분야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볼 때, 지금까지 수목학은 단순히 임학(林學, forestry)의 기초과목으로 취급되고 있지만 자연과학(自然科學, natural science)은 물론 사회적인 기능과 관련된 중요한 학문의 한 분야로서 취급할 필요가 있다.
나무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존재이다. 만약 나무가 내일 사라진다면 우리의 세계는 순식간에 변화할 것이다. 우리는 수목학을 통해 우리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나무에 대해 자세히 배우고 이해할 수 있으며, 이토록 소중한 나무를 보전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나무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수목학이 없다면 나무만이 가지고 있는 구조가 얼마나 놀라우며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인식하지 못할 것이고 이들과 인간 삶과의 연계성을 찾아내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나무에 대한 이해는 나무와 숲을 보전하고 유지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할 수 있는 근간이 될 것이다.
2) 연구의 발전
수목학의 분야의 인식과 관련해서는 지역이나 국가별로 특색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학생들에게 수목을 가르치는 것이 단순히 생물학과나 식물학과에서 식물분류학을 전공한 학자에 의해서가 아니라, 임학을 전공한 임업인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매우 중요게 생각한다. 반면 유럽의 경우 분류학(分類學, taxonomy)이나 새로운 수목의 도입에 강조를 두었으나 이후 수목 종의 식별과 생태, 보전 등 수목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종합적으로 다루는 학문 분야로 성장하였다. 일본의 경우 1870년대 근대 임학의 도입 초기에는 독일의 영향으로 분류학적 영역이 강조되었으나 이후 삼림식물학(森林植物學, forest botany)이라는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좁은 의미의 수목 식별과 분류에 대한 연구보다는 수병과 기타 다양한 생태학적 영역을 종합한 삼림식물학이 존재하게 되었다.
이에 비해 중국의 경우는 아직도 수목학 영역에서 분류학적 연구가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분류학적 측면에서 수목을 보는 학자들은 꽃이나 열매 등의 형질을 근간으로 한 식별을 강조하지만, 이런 분류학적 형질은 1년 중 관찰할 수 있는 기간이 매우 짧아 꽃이나 열매가 없는 시기에 수종을 식별해야 하는 임업인과 생태학자들에게는 그 실용성이 매우 떨어진다. 따라서 이런 분류학적 형질보다는 소지(小枝), 수피(樹皮)가, 서술 형식의 형질 인식보다는 오히려 경험에 의해서 자신만이 알 수 있는 변이에 대한 선택이 중요하다. 또한 식물의 분포에 대한 정보와 개화기 등도 수목을 식별하는 주요 특징이 되므로 보다 많은 정보를 이해하고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분야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는 학술단체로는 한국임학회, 한국식물분류학회가 있다. 한국임학회는 1960년 1월 우리나라 산림과학 및 임업 관련 학회 중 최초로 창립되었으며, 산림행정기관, 연구기관, 임업단체, 기업 및 대학 등 160여 개의 기관 회원을 포함해 900여 명의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임학회는 전 국토의 약 65%를 차지하는 산림의 녹화사업을 성공리에 마치도록 협력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모범적인 산림관리국으로 격상시키는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최근 국내외에서 문제가 되는 산림환경과 산림자원의 생산, 이용 및 보전 등에 관하여 자타가 인정하는 중심 학회로서의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자국의 산림을 보호하려는 세계의 움직임을 볼 때 가까운 장래에 산림자원의 무기화도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전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성과를 거둔 산지 녹화사업을 진일보시켜 산림을 우수한 자원으로 가꾸는데 힘써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생태, 생리, 수목, 육종, 조림, 경영, 측정, 기계화뿐만 아니라, 사방, 목재공학(木材工學, wood engineering), 산림보호, 휴양, 수렵에 이르기까지 각 분야별로 연구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한국식물분류학회는 1968년 12월 3일 설립되었고,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겪으며 그동안 주로 외국인에 의해 연구되었던 우리나라 식물분류 연구의 기틀을 확립하고, 식물 종의 다양성 보전과 식물종주권 확립의 기초를 다져왔다. 한국식물분류학회지 발간을 통해 우리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를 국내외에 알렸으며, 식물표본 수집, 식물상 조사 등 다양한 학술활동과 연구의 결과물은 산림청을 비롯한 정부 연구기관 정책 기틀의 발판이 되었다. 학회 전문가들은 국가 수목유전자원의 분류, 명명을 비롯한 여러 활동들을 하고 있다. 2014년 1월 15일 산림청 소관의 사단법인으로 설립되어 새롭게 활동하고 있다.
3. 주요 특성 및 연구 영역
1) 주요 특성
수목학 연구의 영역은 좁은 의미에서 ‘수목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라 할 수 있지만 넓은 의미로는 ‘수목의 식물학적 연구와 삼림식물학 및 인간생활에 활용되는 수목의 용도 등 농학적 연구’까지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목’이란 겨울에도 땅위의 있는 줄기가 말라죽지 않는 목본식물이 해당되며, 죽거나 살아있는 모든 나무를 통틀어서 말한다. 그 밖에 수목의 형태학(形態學, morphology)과 해부학(解剖學, anatomy), 수목연대학(樹木年代學, dendrohronology), 지리적 분포, 산림생태계, 종 다양성, 진화와 계통 연구도 다루는 학문 분야이다. 그리고 수목학은 조림학(造林學, silviculture)과 산림생태학(山林生態學, forestecology) 임목유전 및 육종학(林木遺傳-育種學, forestgenetics-breeding), 산림경영학(山林經營學, forestmanagement), 산림공학(山林工學, forestengineering), 임산공학(林産工學, forestproductsengineering), 목재공학뿐만 아니라 조경학(造景學, landscapearchitecture)과 과수학(果樹學, pomology) 등 여러 학문의 기초 연구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수목학의 분류
1668년 이탈리아의 울리세 알드로반디(Ulisse Aldrovandi)가 DendrologiaNaturalis를 발표하였다. 따라서 이 시대에 이미 ‘dendrologia(수목학)’라는 말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후 수목학은 순수한 식물학적 요소만을 포함한 것과 농학적인 요소를 도입한 것 등 두 갈래의 발달을 계속하여 왔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825년 피터 윌리엄 왓슨(PeterWilliamWatson)의 영국수목학(dendrologiabritannica)에는 수목의 형태학적 기재를 주로 하였고, 1893년 에밀 쾨네(EmilKoehne)의 도이칠란트수목학(deutchedendrologie)도 수목의 분류만을 취급하였다. 1836년 게오르그 루트비히 하팅(GeorgLudwigHartig)은 『산림회화사전(ForstlicheConversationLexicon)』 제2판에서 “수목학은 목본식물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며 일반식물학의 특별 부문이다.”라고 하였다. 1908년 미국의 수목학자 조지 비숍 서드워스(GeorgeBishopSudworth)는 Foresttreesofthepacificslope에서 수목의 습성 및 생활사에 대한 것도 수목학의 일부라고 보았다.1941년 윌리엄 모어하우스 할로(WilliamMorehouseHarlow)와 엘우드 스콧 하라(EllwoodScottHarrar)는 그의 수목학 교과서에서 수목학은 목본식물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와 나무의 습성 및 분포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하였다. 산림식물학에 대하여는 1892년 프랭크 슈워츠(FrankSchwarz)의 산림식물학을 들 수 있다. 그는 산림 속에 사는 식물은 초·목본을 가리지 않고 포함시켰다. 또 이미 말한 게오르그 루트비히 하팅은 산림식물학이란 순식물학의 일부가 아니고 더욱 깊고 더욱 밀접하게 수목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요한 마테우스 벡스타인(JohannMatthausBechstein)은 1821년 산림식물학이란 목질을 가지고 있는 모든 식물을 일정한 순서로 공부할 수 있는 식물학의 일부이며 목본식물의 식물학이 수목학이고, 식별, 습성, 생장, 번식, 이용, 보존 및 병충해에 대해 공부하는 것이 산림식물학이라고 하였다.
울리세 알드로반디(UlisseAldrovandi, 1522~1605)
게오르그 루트비히 하팅(GeorgLudwigHartig, 1764~1837)
1874년 존 너딩거(JohnNerdlinger)도 그의 산림식물학에서 수목학은 수목의 일반식물학적 연구이며 산림식물학은 일반식물학적 연구에 수목분류학을 합친 것이라고 하였다. 1945년까지 호미키 우에키(HomikiUyeki)는 산림식물학에서는 수목의 기관학적 연구에 중점을 두고 수목의 분류는 조림학에서 취급하였다.수목학을 실용화한 것이 응용수목학이다. 1927년 Kuphaldt의 『공원과 정원에 적용하는 응용수목학 연습(DiePraxisdenAngewandtenDendrologieinParkundGarten)』이 한 예이며, 수목의 용도에 중점을 두었다. 1942년 코지 우에하라(KojiUehara)의 응용수목학도 정원수에 중점을 두고 있다.수목학을 식물지리학(植物地理學, plantgeography)과 관련시켜 어떠한 지방에 한하여 존재하는 것이라고 생각한 학자도 있다. 카를 코흐(KarlKoch)는 지구상에 자라는 모든 수목에 대하여 공부할 수 있는 ‘allgemeinedendrologie(일반식물학)’란 존재할 수 없고, 존재한다 하더라도 대단히 곤란이 생길 것이라고 기록하였다. 여기에서 지리적인 한정이란 것은 수목학의 본질 자체에는 하등의 관계가 없다고 본다. 따라서 수목학은 수목의 명칭, 분류, 형태, 습성, 분포 및 용도에 관하여 연구하는 것이라고 한정짓는다.
2) 연구 영역
(1) 관련 세부 학문
수목학의 하위 분야에는 조경수목학(造景樹木學, landscape woody plants)과 수예학(樹藝學, arboriculture) 등의 세부 학문이 있으며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조경수목학 또는 경관수목학(景觀樹木學)은 인간 생활환경 주변의 정화와 미화에 중점을 둔다. 쾌적하고 합리적인 환경으로 계획하는 과정에 있어서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의 미적, 기능적, 심미적 목적과 생태적 균형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러한 수목을 조경수목이라 하며 조경수목의 종류, 특징, 식재, 번식방법 등에 대한 연구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수예학(樹藝學, arboriculture)은 수목학에 농학적 연구가 적용된 분야로, 수목농업이라고 하며, 잎, 수피, 수액, 뿌리 등의 채취를 목적으로 재배하거나 원예적 측면에서 풍경과 편의시설 목적으로 각각의 나무를 가꾸는 데에 집중한다.
(2) 주요 연구 분야
산림과 우리 생활 주변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수목에 대해 올바른 이해를 돕고 체계적인 분류 및 관리를 유용하게 하며, 멸절(滅絶) 및 멸종으로부터 수목을 보존하기 위해서 다루게 되는 수목학의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다양하고 많은 종류의 수목 종들에 대해 올바로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분류 및 정리하기 위해서는 명명과 분류, 동정 등 분류학적 연구와 형태학, 해부학, 생리와 생식, 생활사 등 식물학적 연구가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는 이들 수목 종들을 유용하고 폭넓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리적 분포와 생태적 특성, 종 다양성, 수목연대학(樹木年代學, dendrochronology)에 대한 기초적이고 본질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 산림경영학(山林經營學, forest management) 및 임산공학적 응용 분야의 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 셋째로는 이들 종들을 멸절 및 멸종으로부터의 보존을 위해서는 진화계통학(進化系統學) 및 보존생물학(保存生物學, conservation biology), 생태복원학(生態復原學, ecological restoration) 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수목학 분야에서 중요하게 연구되는 분야의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식물분류학
식물군의 분류·동정 및 명명, 자연적 및 계통적 유연관계를 반영하는 분류체계 정립 및 특정지역의 식물상산과 종 다양성 연구, 진화 과정과 유연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연구한다.
② 식물학
식물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기원과 발생, 발달, 생장, 형태, 해부, 생리, 유전, 생태, 생식, 질병, 생활사 등 식물 전반에 대한 과학적 연구 분야이다.
③ 산림생태학
산림 내에 분포하는 생물군집인 산림을 대상으로 식물군집과 환경 및 생물 간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생물과학 분야이다.
④ 보존생물학
생물 다양성을 구성하는 유전자와 종, 군집, 생태계를 지속 가능한 보존을 위해 자연적 및 인위적 요인에 의해 멸종 위기 종을 보존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찾는 응용연구 분야이다.
⑤ 진화계통학
식물의 계통적인 분화 발달과 자연적 유연관계 및 유연관계가 깊은 분류군들의 진화 역사와 진화적 경로에 대해서 연구하는 과학 분야이다.
4. 주요 용어 및 관련 직업군
1) 주요 용어
• 생물 다양성(biodiversity): 생명체의 다양성과 생명체가 살아가는 서식처의 다양성을 총칭한다. 생명체를 보는 단계에 따라 유전자 수준의 다양성, 종 수준의 다양성 그리고 생태계 수준의 다양성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 식물지리학: 식물의 지리적 분포를 밝히고 그것에 의하여 지역을 구분하며 분포의 원인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식물학의 한 분야이며, 식물구계지리학(植物區系地理學, floristicplant geography)과 식물생태지리학(植物生態地理學, plant ecological geography)의 두 분야가 있다.
• 수예학(樹藝學, Arboriculture): 수목학에 농학적 연구가 적용된 분야로, 수목농업이라고 하며 잎, 수피, 수액, 뿌리 등의 채취를 목적으로 재배하거나 원예적 측면에서 풍경과 편의시설 목적으로 나무를 가꾸는 데 집중한다.
2) 관련 직업군
• 식물분류 기사
• 환경 관련 연구원
• 산림 관련 연구원
• 임업직 공무원
• 환경평가 회사원
• 수목원 및 식물원 수목관리원
참고문헌
Harlow, W. M. and E. S. Harrar.(1968년), Textbook of Dendrology-Covering the Important Forest Trees of the Unitd States and Canada(5th edition). McGraw-Hill Inc.
이창복(2007년), 『(신고)수목학』, 향문사.
임경빈(1986년), 『임학개론』, 향문사.
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64982&cid=44417&categoryId=44417
[네이버 지식백과] 수목학 [Dendrology] (학문명백과 : 농수해양, 형설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