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의 제사 ~
사람은 누구나 자신을 존재케 해주신 부모와 조상의 은혜에 보답해야 하는 본연의 의무가 있는데 報本之禮(보본지례) 이것을 孝道(효도)라 한다. 이는 부모와 조상을 지극한 정성과 공경으로 받드는 일이므로,살아계실때 공경을 다해 섬기고 居則之其敬(거칙지기경), 돌아가셨을때 슬픔을 다하며 喪則之其哀(상칙지기애), 제사 지낼 때 지극히 엄숙한 자세로 지내야 한다.祭則之其嚴(제칙지기엄). 그러니 자기 존재에 대한 보답 즉 효도는 부모가 살아 계시는 동안에만 하는것이 아니고, 자신이 살아 있는 한 멈출 수 없는 것이다.
옛날 의례에 보면 "제왕은 하늘에 지내고,제후는 산천에 ,사대부는 조상에 제사에 지낸다"고 했는데, 여기서는 조상에 제사 지내는 의식절차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려 말엽에 포은 정몽주선생이 제정한 [祭禮規定(제례규정)]에 보면,
3품관이상은 증조부모까지 3대을 제사 지내고, 6품관 이상은 조부모까지 2대를 지내며, 7품관 이하 서민들은 부모에게만 지낸다,고 했다.
조선조 [經國大典(경국대전)] 에 보면, 3 품관 이상은 고조부모까지 4 대를 제사지고, 6품관 이상은 증조부모까지 3 대를 지내고, 7품관 이하 선비들은 조부모까지 2 대를 지내고, 서민들은 부모에게만 지낸다,고 기록되어 있다.
1894년 甲午更張(갑오경장)으로 신분제도가 철폐되면서 ,효도하는데 신분의 차이가 있을 수 없다, 고하여 누구든지 高祖父母(고조부모)까지, 4대봉사 할수있게 되었다.
1969년 정부에서는 [가정의준칙]을 제정하고 ,조부모 까지만 제사를 지내라고 권장한 일도 있다.기도교 에서는 우상숭배 라하여 ,제사 자체를 거부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자신을 존재하게 하신 조상에 대한 존경과 추모로서 행하여 지고있다.
~ 紙榜書式 ~
* 자방 은 길이 22 Cm,넓이 6 Cm 정도로 흰 한지에 한문 으로 세로로 쓴다.
부모 조부모
顯妣孺人廬山宋氏神位 顯祖妣孺人慶州崔氏神位
顯考 學 生 府 君神位 顯祖考 學 生 府 君神位
형 남편 아내
顯兄嫂孺人城平尹氏神位 顯壁學生府君神位 亡室孺人光山金氏神位
顯 兄 學 生 府 君 神位
~ 벼슬이 있으면,해당 관직을 그대로 쓰고,없으면 학생부군을 쓴다.
~ 여자의 경우 남자의 직품에 따라 쓴다.
一品-> 貞敬夫人 , 二品->貞夫人 , 三品->淑夫人 , 四品 ->淑人 , 五 ,六品-> 恭人,
없으면 孺人 이라고쓴다.
~ 祝文書式 ~
- 축문은 길이 36 Cm 넓이 24 Cm 정도의 흰 한지에 정자로 쓴다.
- 축문의 문구중 維(유), 顯(현), 饗(향), 자는 한 글자 위로 쓴다.
- 歲次 -> 제사든 당년의 太歲(태세)간지 즉 乙未(을미)이면, 乙未年 라고 쓴다.
- 0 월->제사든 달이 4월 이며 -> 四月 이라 쓴다.
- 干支朔(간지삭) -> 제산든달의 초하루 日辰(일진)을 쓴다. 즉 4월중에 제삿날인데,
4월 1 일 甲午(갑오) 면, 甲午朔(갑오삭) 라 쓴다.
- 干支日(간지일) -> 제사날이 3 일이고,간지가 丙申이면, 三日 丙申 이라 쓴다.
- 양위분 모두 돌아 가셨을 경우, 축문 중 諱日復臨(휘일부림) 문구앞에 아버님 제사
면, 顯考(현고), 어머님 제사면 顯妣(현비) 라 쓴다.
부 모
維 歲次 干支 0月 干支朔 0日 干支 유 세차 간지 0월 간지삭 0일 간지
孝子 0 0 敢昭告宇 효자 0 0 감소고우
顯 考 學 生 府 君 현 고 학 생 부 군
顯 妣孺人廬山宋氏 歲序遷易 현 비유인여산송씨 세서천역
顯考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현 고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
饗 향
축문해설(아버님)
유 세차 00년 0월 0일 효자 00(이름) 감히 고하나이다
아버님, 어머님, 해가 바뀌어서 아버님 돌아가신 날이 다시돌아오니
하늘같이 넓은신 은혜을 보답할길 없음을 헤아릴수 없어서,
삼가 밝은 술과 여러가지 읍식을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흠향 하옵소서
조 부 모
維 歲次 干支 0月 干支朔 0日 干支 유 세차 간지 0월 간지삭 0일 간지
孝孫 00 敢昭告宇 효손 0 0 감소고우
顯 祖 考 學 生 府 君 현 조 고 학 생 부 군
顯 祖妣孺人慶州崔氏 歲序遷易 현 조비유인경주최씨 세서천역
顯祖考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현 조고 휘일부림 추원감시 부승영모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근이 철작서수 공신전헌 상
饗 향
축문해설(할아버님)
유 세차 00년 0월 0일 효손 00(이름) 감히 고하나이다
할아버님, 할머님, 해가 바뀌어서 할아버님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흠향 하옵소서
~ 축문 용어 해설 ~
유 세차 간지 : 올해가 을미년 입니다
0월 간지삭 : 제사 지내는 그달 초하루날.
0일 간 지 : 제사 지내는 그날.
효자 0 0 : 0 0는 제주(맏아들)의 이름.
감소고우 : 삼가 밝게 아뢰다. 아내에게는 고소우, 아들에게는 고우라고 쓴다.
세서천역 : 세월이 바뀌어 그날이 오다.
휘일부림 :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다
추원감시 : 돌아갈신 날이 오니 더욱 생각이 난다
호천망극 : 하늘이 넓고 끝이 없다, 뜻으로 부모의 은혜가 크고 끝이 없다.
조부모 : 不勝永慕(불승영모) : 영원도록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남편,백,숙,보모 : 不勝感愴(불승감창) : 가슴이 아파 이길수가 없다.
아 내 : 不勝悲苦(불승비고) : 비통한 고통을 견딜수 없다.
근 이 : ' 삼가 '라 는 뜻이다
청작서수 :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
공신전헌 : 공손히 받들어 올린다.
상 향 : 흠향 하시옵소서.
~ 축문이란 ~
살아계신 어른에게 색다른 음식을 올릴 때 의당 권하는 말씀을 올리는 것처럼,
조상에게도 제수를 올리면서 그연유를 고하는것이 축문이다.
축문내용은 그 제사를 지내게 된 연유을 -언제, -누가,-누구에게, -무슨일로,- 무엇을,
의 형식으로 고하고 제사를 받으시라는 줄거리로 이루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