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예산 어떻게 처리할까
도의회 임시회 대비 쟁점 점검
도정질문 후 11월7일 행감 돌입
도의회가 도 현안에 바짝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향후 쟁점이 될 사안을 집중 점검하고 도의회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모색 중이다.
김동일 도의장은 최근 도의회 내 6개 상임위원회 전문위원들을 불러 회의를 열고 각 위원회의 쟁점 사항을 보고받았다. 다음 달 제259회 임시회를 앞두고 도의회가 집중해야 할 사안이 무엇인지 미리 점검하는 차원이다.
이번 회기에 도의회는 총 25개의 안건을 처리한다. 어린이집 누리과정 일부 예산 편성 등이 포함된 도교육청의 2차 추가경정예산안을 비롯해 최문순 지사의 공약사업인 저소득 대학생 등록금 지원사업을 위한 기획조정분야 출연 동의안 등이 걸려 있다. 구 원주여고 부지와 도 종축장 부지 맞교환을 골자로 한 공유재산관리계획변경안도 재상정된다.
김동일 도의장은 이날 회의 때 상임위원회별로 현안에 대해 신중하게 대처를 하되 도의회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적극 찾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도의회는 다음 달 임시회에서 도정질문을 마친 후 본격적인 행정사무감사 준비에 돌입할 예정이다. 행정사무감사는 11월7일부터 38일간 이어지는 제260회 정례회 기간에 실시된다. 1년 동안 도민 혈세가 투입된 정책들을 철저히 점검해 도의회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겠다는 의도다.
도의회 관계자는 “다음 달 임시회에서 실시되는 도정질문의 강도에 따라 도 및 도교육청과의 관계가 어느 정도 결정될 것 같다”고 했다.
원선영기자 haru@kwnews.co.kr (강원일보)
나의의견: 지방정부에서는 여러가지 많은 행정업무를 하기위해서는 돈이 필요한데, 지방세로는 충당을 하기 힘들다. 그래서 국비를 지원을 받아 하게되는데 그로 인해서 중앙정부의 눈치를 보게되고 지방정부부처간의 합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아직 지방자치제도가 중앙정부의 힘에 인하여 많이 휘둘리고 있는 모습이 안타까움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