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
1. 백이와 숙제 ( 洋务运动,yáng wù yùn dòng )
본래는 은 (殷) 나라의 왕자였는데 , 아버지가 죽은 뒤 서로 후계자가 되기를 사양하다가 끝내 두 사람 모두 나라를 떠났다 . 무왕 (武王) 이 은나라의 주왕 (紂王) 을 토멸하여 주왕조를 세우자 , 두 사람은 무왕의 행위가 인의 (仁義) 에 위배되는 것이라 하여 주나라의 곡식을 먹기를 거부하고 산 에 몸을 숨기고 고사리를 먹고 지내다가 굶어 죽었다 .
2. 중이 ( 重耳, chóng’ěr )
춘추시기 진 (晉)나라의 군주로서 젊었을 때 왕위 쟁탈투쟁에서 밀려나 국외에서 10여년간의 망명생활을 한적이 있다. 후에 진목공(秦穆公)의 도움으로 군주자리에 오른 그는 백성들의 생산을 관심을 갖고 부국강병에 힘썼으며 현명한 군주가 되었다.
3. 개자추 ( 介子推, jiè zǐ tuī )
중이 (重耳)가 국외로 추방되고 어려움에 처했을 때 그는 자신의 허벅지 살을 떼어내어 중이에게 먹임으로서 그의 목숨을 건져주었다 . 그 뒤 중이가 왕위에 오 른 후 많은 현신 (賢臣) 을 등용하였으나 개자추 를 잊어버렸다 하여 그는 어머니를 업고 산에 들어가 숨어 살았다 . 후에 중이가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그를 불렀으나 나오지 않았다 . 중이는 그를 나오게 하기 위해 산에다 불을 질렀 으나 그는 끝내 나오지 않고 어머니와 함께 그대로 타 죽었다 . 그후 중이는 그를 기념하기 위하여 명령을 내려 매년 그날은 불을 지피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것이 바로 “한식절(寒食節)”의 유래이다.
4. 굴원 ( 屈原, qū yuán )
전국시기 초 (楚)나라의 대신으로서 이소(離騷), 구가(九歌), 천문(天問)등 우수한 작품들을 썼으며 중국역사상 첫번째의 위대한 문학가이다. 그가 강물에 몸을 던진 날을 기념하기 위하여 5월5일을 단오절로 정하였으며 쭝즈(粽子)를 먹고 용배경기(劃龍舟)를 거행하며 굴원을 기념하고 있다.
5. 구천 ( 勾践, gōu jiàn )
춘추시기 월 ( 越 ) 나라의 왕으로서 오나라에게 격파당한 구천은 치욕을 씻기 위하여 “와신상담( 臥薪嚐膽 ) ”하면서 부국강병 ( 富國强兵 ) 에 힘썼으며 오나라를 물리쳤다 .
6. 서시 ( 西施, xī shī )
월 (越)나라의 미녀이며 “침어(沉魚)”로써 그의 아름다움을 형용하고 있다. 오 (吳) 나라에 패망한 월왕 구천 ( 勾踐 ) 은 서시를 데려다가 호색가인 오왕 (吳王) 부차 (夫差) 에게 바치고 , 서시의 미색에 빠져 정치를 태만하게 한 부차를 마침내 멸망시켰다 .
7. 공자 ( 孔子, kǒng zǐ )
이름은 공구 ( 孔丘 )이고 춘추시기의 노( 魯 )나라 사람(지금의 산동성 曲阜 )으로서 성인으로 존경받고 있었으며 그의 삼천 제자중에서 이름있는 사람들로는 72명이 있다. 유가(儒家)학파을 창립하였으며 “인재시교( 因材施教 )”, ”삼인행필유아사( 三人行必有我師 )”,”불치하문( 不恥下問 )”등의 명구들을 남겼다
8. 맹자 ( 孔子, kǒng zǐ )
이름은 맹가 ( 孟軻 )이며 전국시기의 노(魯)나라 사람이다. 유가(儒家)학파창시자의 한사람으로서 그가 주장하는 “인정( 仁政 )”,”민위귀,군위경( 民為貴、君為輕 )”의 사상은 역사의 가화( 佳話 )로 되여 널리 알려지고 있다. 그는 공자(孔子)와 더불어”공맹(孔孟)”으로 불리우고 있으며 또 “공맹지도( 孔孟之道 )”는 유가사상의 대표로 되고 있다.
9. 손자 ( 孙子, sūn zǐ )
이름은 손무 (孫武)이며 춘추(春秋)시기의 저명한 군사가이다. 그는 “손자병법( 孫子兵法 )”을 썼으며 “남을 알고 자신을 알면 백번 싸워도 패자히 않는다(知己知彼、百戰不殆)”라는 사상을 주장하였다. 그의 “36계 주위상책( 三十六計走為上策 )”라는 어구는 민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어구이기도 하다.
10. 노자 ( 老子, lǎo zǐ )
이름은 이이(李耳)이며 춘추말기 도가(道家)학파의 창시자이다. 공자( 孔子 )는 그에게 학문을 가르침 받은적이 있다. 그의 작품”노자( 老子) ”에서는 도학사상을 선양하였으며 또 “화에는 복이 따르고 복에는 화가 숨어있다( 禍兮,福所倚;福兮,禍所伏 )”등과 같은 명구들이 있다.
11. 장자 ( 庄子, zhuāng zǐ )
이름은 장주 ( 莊周 )이며 전국시기의 도학학파의 대표 인물이다. 그의 사상은 “장자( 莊子) ”라는 책에 수록되어 있으며 그는 “무위( 無為 )”를 주장하였다. 후세사람들은 노자( 老子 )와 장자를 더불러 “노장(老莊)”이라 호칭하고 있으며 “노장” 또한 도가사상을 대표하고 있다.
13. 노반 ( 鲁班, lǔ bān )
전설속의 목공 (木匠)들의 선조(祖師)인 그는 춘추시기 사람인 그는 톱을 발명하였다. 전설에 의하면 그가 만든 새는 하늘에서 3일동안 날아다니고도 떨어지지 않았다고 한다. 고사성어인 “반문농부 (班門 弄 斧 )”는 노반의 문앞에서 도끼를 자랑한다는 뜻으로 실력도 없으면서 잘난 척 함 을 이르는 말이다 .
14. 강태공 ( 강자아, 姜子牙, jiāng zǐ yá )
주나라의 대신으로 전하는 말에 의하면 그는 무왕 (武王)을 도와 은왕(紂王)을 토벌하려고 하늘에서 내려다보낸 신선이다고 한다. “薑太公釣魚,願者上鉤”는 널리 전해져 내려오는 어구이다.
15. 백아와 자기 ( 伯牙, 子期, bó yá, zǐ qī )
백아 ( 伯牙) 는 춘추시대 거문고의 달인이였다. 백아에게는 자신의 음악을 즐겨 듣고 또 정확하게 이해하는 절친한 친구 자기(子期)가 있었다. 그런데 자기가 병으로 갑자기 세상을 등지자 너무나도 슬픈 나머지 그토록 애지중지하던 거문고 줄을 스스로 끊어 버리고 죽을 때까지 다시는 거문고를 켜지 않았다고 한다. 백아와 자기는 아주 친한 친구의 상징으로 묘사되고 있다.
17. 관중 ( 管仲, guǎn zhòng )
춘추말기의 정치가로 제환공 (齊桓公)과 규(糾)의 왕위 쟁탈투쟁에서 그는 규를 지지하였으며 규를 대신하여 제환공을 죽이려다가 실패하였다. 제환공이 자리에 오른후 그는 제환공을 도와 나라를 다스렸으며 제나라(齊)로 하여금 가장 강대한 나라로 되게 하였다.
18. 여불위 ( 管仲, guǎn zhòng )
전국말기 진나라에서 가장 큰 권력을 쥔 대신으로서 진시황 (秦始皇)을 잘 도와주었다. 민간에서는 진시황이 여불위의 친자식이라는 말도 전해져 오고 있다. 그는 문인들을 모아 전국말기의 귀중한 자료인 “여씨춘추(呂氏春秋)”를 편찬하였다.
19. 형가 ( 荆轲, jīng kē )
전국시대 말기사람으로 연나라 (燕)를 도와 잔인한 진시황(秦始皇)을 암살하려다가 실패한후 진시황에게 살해당했다 그는 중국고대 자객의 전형이다.
20. 항우 ( 项羽,xiàng yǔ)
진나라 말기 봉기군의 수령으로서 진나라가 멸망된 후 그는 서초패왕 (西楚霸王)이 되었으며 그후 유방(與劉)과의 싸움에서 실패한후 자살하였다. “사면초가(四面楚歌)”, ”패왕별희(霸王別姬)”등 고사성어는 모두 항우의 이야기에서 나온것이다.
21. 우희 ( 虞姬, yú jī )
진나라 말기 여인으로 항우 (項羽)의 애첩이다. 항우가 유방(劉邦)과의 싸움에서 실패한후 항우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고 자결하였다.”패왕별희(霸王別姬)”는 우희와 항우의 이별을 말한다.
22. 사마천 ( 司马迁, sī mǎ qiān )
서한시기의 역사학자이며 문학가이다 . 한무제(漢武帝)에 의해 궁형(宮刑)을 받은후 투옥되었다. 그는 심혈을 기울여 위대한 걸작 “사기(史記)”를 완성하였다. “사기(史記)”는 중국 역사상 최초의 기전체 역사이다.
23. 포사 ( 褒姒, bǎo sì )
주나라 유왕 (幽王)이 가장 총애하던 첩이었다. 포사는 웃는걸 좋아하지 않았다. 유왕은 그녀가 웃는걸 보기위해 제후들을 소집하는 거짓 봉화( 烽火 ) 를 올렸다 . 제후들은 급히 모여 들었다. 그러나 그 봉화는 적이 침범하였을 때에만 올리는 봉화였다. 거짓임을 안 제후들은 낭패한 기색으로 돌아갔다(봉화로 제후들을 희롱하다: 烽火戲諸侯 ). 그는 중국 “홍안화수( 紅顏禍水 )”의 대표적 인물이다.
24. 동시 ( 东施, dōng shī )
동시는 고대 월나라미녀 서시 (西施)의 이웃이었다. 추녀인 그녀는 늘 서시의 행동을 모방하였다. 이 때문에 나온 고사성어가 동시효빈( 東施效顰 )으로서 모방만을 중시하면 예상과 틀린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25. 맹모 ( 孟母, mèng mǔ )
맹자의 어머니로서 “맹모삼천(孟母三遷)”은 맹자 의 어머니가 맹자를 교육시키기 위하여 묘지 (墓地) , 시장 (市場), 학교 부근으로 세 번 이사를 했다는 이야기에서 나온 말이다 .
26. 맹강녀 ( 孟姜女, mèng jiāng nǚ )
중국 진나라 여성으로 진시황의 장성 건축에 징발된 남편 범기량 (范杞梁) 을 찾아간 맹강녀는 남편이 이미 죽었다는 말을 듣고 그냥 성 밑에 쓰러져 울기 시작하자 3 일 만에 성이 와르르 무너지고 남편의 유골이 나타났다고 한다 . “맹강녀곡장성(孟姜女哭長城)”
27. 맹광 ( 孟光, mèng guāng )
중국 한나라의 여인으로서 맹광은 부귀영화를 탐하지 않고 양홍 (梁鴻)에게 시집을 갔다. 그후 양홍이 장원에 급제하여 부부간에 화목하게 살아갔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들의 “거안제미( 舉案齊眉 )”의 이야기는 미담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28. 반초 ( 张衡, zhāng héng )
동한시기 西域 (서역)과 각 나라간의 관계를 강화하고 공동으로 흉노의 침략에 대학하기 위해 한나라에서는 반초를 서역에 파견하여 중원과 서부의 연계를 강화하였으며, 한나라의 통치를 굳건히 하였다.
29. 장형 ( 张衡, zhāng héng )
장형은 동한 시기 중국의 저명한 과학자였다 . 그는 일생에 아주 많은 것들을 발명하였으며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지동의이다. 지동의는 지진이 일어나는 방향과 지점을 측량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밖에 또 浑天仪 (혼천의)를 발명하였다.
30. 장중경 ( 张仲景, zhāng zhòng jǐng )
동한 말년 유명한 의사로서 “ 医圣 ”(의성)이라 불리웠다. 그의 의학 저작서인 《 伤寒杂病论 : 상한잡병론 》은 중국의 첫 임상 치료학 분야의 걸작으로 후세 의학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
31. 여후 ( 吕后,lǚ hòu )
한고조 유방 (劉邦)의 부인으로서 유방과 항우(項羽)와의 싸움에서 항우에게 잡혀가서 인질로 있었으며 유방이 황제로 된후 황후의 자리에 올랐다.그는 계모(計謀)가 있었으며 매우 잔인하였다. 유방이 죽은후 그는 실권을 장악하였다.
32. 한무제 ( 汉武帝,hàn wǔ dì )
이름은 유측 (劉徹)으로 중국 한나라 제6대 황제로서 아주 포부가 크고 인재사용에 능한 황제였다. 그의 통치하에서 중국은 전례없이 매우 강대한 나라가 되었다.
33. 당태종 (唐太宗,táng tài zōng )
이름은 이세민 (李世民)으로 중국 당나라 제2대 황제이다. 자신의 형제를 죽이고 부친의 양위를 받아 황제가 되었다. 역사상에서는 그의 통치시기를 “정관의 치(貞觀之治)”라고 부르고 있다. 당태종 시기에 매우 강대한 나라가 되었다.
34. 무칙천무후 ( 武则天,wǔ zé tiān )
당고종 (唐高宗) 이치(李治)의 황후였으며 그후 황제가 되었다. 그의 통치기간에 많은 개혁을 하였으며 사회 각 방면에서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중국역사상 유일한 여성황제로서 죽은 후 “무자비( 无字碑 )”를 세웠다.
35. 당현종 ( 唐玄宗, táng xuán zōng )
이름은 이융기 (李隆基)로서 당나라의 황제였다. 현종초기에는 사회가 번영하여 “개원성세(開元盛世)”를 이룩하였다. 하지만 “안사의 난(安史之亂”이 일어나고 양귀비(楊貴妃)가 죽자 국가는 점점 쇠퇴하기 시작했다.
36. 징기스칸 ( 成吉思汗,chéng jī sī hàn )
철목진 ( 铁木真 )은 몽고의 개국군주이며 이름난 군사가이다 . 원 나라 황제는 그를 태조 ( 太祖 ) 라 호칭하였다 . 징기스칸은 몽골의 각 부족을 통일하여 역사상에서 진보적인 역할을 하였고 원 나라 건립에 기초를 닦았다 .
37. 강희 ( 康熙,kāng xī )
청성조 ( 清聖祖 )인 그는 중국 역대황제중에서 재위기간이 61년으로 가장 길다. 재위시 일련의 반란을 평정하였으며 대만을 통일하였다. 또한 그는 인재를 중히 여기고 인재의 사용에 능하였으며 백성들의 고생들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었던 황제였다.
38. 건륭 ( 乾隆,qián lóng, 1711~1799 )
청고조 ( 清高宗 )인 그는 강희제(康熙), 융정제(雍正)의 기초상에서 “강건성세(康乾盛世)”를 절정이었다. 재위 60년후 그는 왕위를 자신의 아들 가경(嘉慶)에게 넘겨주었지만 여전히 실권을 장악하고 있었다.그는 고대황제들중에서 나이가 제일 많은 황제로서 죽을때 나이가 89세였다.
39. 황태극 ( 皇太极,huáng tài jí, 1592~1643 )
청태조 누르하치 (奴兒哈赤)의 여덟째 아들로서 황제가 된후 국호를 “청( 清 )”으로 고치고 통일된 관동지역에 대청제국을 건립하였다. 재위시 명나라를 종종 침입하였으나 꿈을 이루지 못했다.
40. 자희 ( 慈禧,cí xǐ, 1835~1908 )
함풍황제 ( 咸豐帝 )의 황비로서 동치( 同治 ), 광서( 光緒 )때 최고 통치자였다.그를”황태후(皇太后)”또는 “서태후(西太后)”라고도 한다. 그는 “수렴청정( 垂簾聽政 )”을 통해 실권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외국침략자들과 적지 않은 불평등조약을 체결하였다.
41. 이자성 ( 李自成,lǐ zì chéng, 1606~1645 )
산서성 미지사람으로서 명나라 말기 때 농민봉기의 수령이었으며 , “틈왕(闖王)”이라 불리었다. 그는 봉기군을 이끌고 북경성을 점령하고 명나라를 몰아냈으며 대순왕조(大順王朝)를 건립하였다. 그러나 얼마후 청나라 군대의 추격을 받아 호북으로 달아났다가 피살되었다.
42. 손권 ( 孙权,sūn quǎn, 182~252 )
자는 중모 (仲謀)로서 3국시대 오나라의 초대황제로서 강동6군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유비(劉備)와 결탁하여 적벽 싸움(赤壁之戰)에서 조조(曹操)의 대군을 격파함으로써 3국정립(三國鼎立)의 국면을 이루도록 하였다.조조는 “아들을 낳으면 손권과 같은 아들을 낳아야 한다(生子當如孫仲謀)”고 감탄을 아끼지 않았었다.
43. 여포 ( 吕布,lǚ bù, ?~199 )
동한말년 동탁 (董卓)의 부하로서 자는 봉선(奉先)이며 지금의 내몽고 포두사람이다. 용맹하기로 이름난 그는 “비장군(飛將軍)”이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다. 또한 그는 3국시대 가장 우수한 무장(武將)의 한사람이다.그는 동탁을 죽이고 미녀인 초선(貂蟬)을 얻었으나 후에는 조조(曹操)에 의해 살해되었다.
44. 관우 ( 关羽,guān yǔ, ?~219 )
3국시대 촉나라의 대장군으로 자는 운장(雲長)이며 지금의 산동사람이다.후세사람들은 “문성(文聖)”인 공자와 같이 그를 존칭해서 “무성(武聖)”이라고 부르고 있다. 그의 “온주에 화웅을 자르다(溫酒斬華雄)”, “천리단기(千里走單騎)”, “5관을 건느고 6장을 물리치다(過五關斬六將)”, “단도부회(單刀赴會)”등 이야기는 널리 알려지고 있다.
45. 장비 ( 张飞,zhāng fēi, ?~221 )
자는 익덕 (益德:翼德)으로서 호북성 탁군 (褶郡:河北) 출생 이며 유비 ( 劉 備 )· 관우 (關羽) 와 함께 의형제를 맺었다 . 그는 싸움에서 용맹하고 성격이 솔직하였으나 지혜와 계략이 부족하였다. 그후 그는 부하에게 암살되었다. “장판교에서의 싸움( 大戰長阪坡 ) ”, “ 義釋嚴顏 ” 등은 유명한 전설들이 있다 .
46. 제갈량 ( 诸葛亮, zhū gě liàng )
촉나라의 재상으로서 , 유비는 세번이나 제갈량의 초가집에 방문하여 그의 보좌를 얻으려 하였다. 아주 출중한 군사, 정치적 재능이 있으며 삼국시기의 가장 걸출한 군사가이다. 중국 민간에서는 그를 지혜의 화신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47. 조식 ( 曹植, cáo zhí )
조조의 둘째 아들로 총명하고 재간이 있었으며 “ 七步成诗 (칠보성시)”의 지식이 있었다. 조조의 사랑을 받았으며 曹丕 (조비)의 질투를 받고 핍박에 유배가게 된 유명한 시인이다.
48. 석숭 ( 石崇,shí chōng )
동한 사람으로 젊었을 때 아주 총명하고 용감하였으나 , 어른이 된 후 큰 벼슬을 한 후 그는 아주 사치하고 집도 호화롭게 생활했다. 심지어 王恺 (왕개)와 누가 더 부유한가 내기까지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는 결국 자기의 재와 부를 자랑하기 좋아한 것으로 인해 사형당했다.
49. 육기 ( 陆机, lù jī 261~303 )
중국위진시대 저명한 시인으로서 지금의 상해송강사람이다 . 그는 고대의 것을 모방하는데 매우 뛰어났으나 자신의 것이 있기는 하지만 신선한 작품이 매우 적었다 . 그의 작품집으로는 陆士衡集이 있다.
50. 화타 ( 华佗,huá tuó, ?~208 )
동한 말년의 명의로서 내과 , 외과, 부인과, 아동과, 침구 등에 능하였으며 마비산( 麻沸散 ) 을 써서 사람을 마취시킨 후 큰 외과수술을 하였다 . 그는 체육단련을 적극 장려하였으며 “오금극( 五禽戲 )”의 방법을 창조하였다.그후 조조( 曹操 ) 에 의해 살해되었다 .
51. 이시진 ( 李时珍,lǐ shí zhēn, 1518~1593 )
명대의 의학가로서 그는 민간의 경험들을 수집하여 27년이라는 시간을 들여 “본초강목( 本草綱目 )”이라는 책을 썼다. 이 책은 중국의학사에서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52. 현장 ( 玄奘,xuán zàng, 600~664 )
당나라때의 스님으로 하남성 낙양 출생인 그는 고생을 마다하고 인도에 가서 불교경전 (佛經)을 가져왔으며 일생을 불교의 전파에 힘썼다. 그는 또 “서유기(西遊記)”에서 나오는 당승(唐僧)의 원형이다.
53. 혜능 ( 慧能,huì néng, 638~713 )
중국 선종 (禪宗) 의 제 6 조로서 육조대사 ( 六 祖大師 ) 라고도 한다 . 그의 유명한 어구로는 “ 菩提本無樹,明鏡亦非台 ; 本來無一物,何處惹塵埃 ” 가 있다 .그는 홍인(弘忍)을 모시고 불법을 학습하였으며 또 홍인에게서 불법을 이어받은 후 남선종( 南派禅宗 )을 창립하였다. 그는 “돈오( 頓悟 )”의 불경( 佛境 )을 주장하였다.
54. 도연명 ( 陶渊明,táo yuān míng, 365~427 )
도잠 (陶潛)이라고도 부르며 진대의 걸출한 문학가이다. 그는 담백하고 소박한 시구로써 전원생활을 묘사한 작품들을 많이 썼다. 그는 또 국화꽃를 특별히 즐겼으며 “동쪽 울 밑에서 국화를 따며 멀리 남산을 바라보니( 采菊東籬下 ,悠然見南山 )”라는 명구도 남겼다. 유명한 작품으로는 “도화원기(桃花源記)”가 있다.
55. 조충지 ( 祖冲之,zǔ chōng zhī )
남북조 시기 저명한 수학자이며 천문학자였다 . 그는 원주율의 수치를 소수점 이하 일곱째 자리까지 계산하였다. 그는 중국의 수학에 대해 많은 공헌을 하였다.
56. 이백 ( 李白,lǐ bái, 701~762 )
당대의 위대한 천재시인으로 자는 태백 (太白)이며 호는 청련거사( 青蓮居士 )이다. 지금의 사천성 강유사람인 그는 평생 많은 시를 썼으며 그의 시는 상상력이 풍부하고 기백이 넘치며 어구가 참신하고 자연스러워 중국시가 역사에 아주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후세사람들에 의해”시선(詩仙)”이라 불리우고 있다.
57. 한유 ( 韩愈,hán yù )
당 나라 저명한 산문가이며 시인이다 . 또한 “당송 8대가”중의 하나이다. 그와 유종원은 고문운동의 창시자이다. 그의 많은 산문은 언어가 선명하고 간결하며 생동감 있고 신선하여 고문운동을 위한 모범이 되고 있다.
58. 곽자의 ( 郭子仪,guō zǐ yí )
당나라의 유명한 장군으로서 그는 당나라를 도와 안사의 난을 평정하였으며 당 나라의 안정을 회복하였다 . 동시에 그는 군대를 거느리고 소수민족의 침입에 대항하는 등 당나라를 위해 큰 공헌을 하였다.
59. 두보 ( 杜甫,dù fǔ, 712~770 )
당대의 위대한 시인으로 자는 자미 (子美)이다. 후세사람들은 그를 두소릉(杜少陵) 또는 두공부(杜工部)라고도 부른다. 그의 일생은 곡절이 많았으며 백성들의 고통스러운 생활을 묘사한 우수한 많은 시구들을 남겼다. 그는 후세사람들에 의해 “시성(詩聖)”이라고 불리우고 있다.
60. 백거이 ( 白居易,bái jū yì, 772~846 )
당나라의 저명한 시인으로 자는 낙천 (樂天) 호는 향산거사(香山居士)이다. 그는 통속적인 어구로써 당시 사람들의 생활을 묘사한 많은 시구를 남겼다. “장한가(長恨歌)”와 “비파행(琵琶行)”은 그의 작품중에서 가장 유명한 장시( 长诗 )이다.
61. 사마광 ( 司马光,sī mǎ guāng, 1019~1086 )
당시 사람들은 그를 속수선생 (涑水先生)이라 불렀다. 그는 북송시기 저명한 사학자으로서 대형중국통사인 “자치통감(資治通鑒)”을 편찬하였다.그의 어렸을 때 이야기인 “사마광이 물독을 깨다( 司馬光砸缸 )”는 널리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62. 후주세종채영 ( 后周世宗柴荣,hòu zhōu shì zōng chái róng )
后周 의 5번째 군주인 채영은 재위기간에 당시 부패한 정치제도를 개혁하고 절과 불상을 폐쇄하고 군사를 정돈하고 농업생산을 장려하였다. 그의 개혁은 后周 를 강대하게 하고 북송이 통일하는데 기초를 닦아 놓았다 .
63. 위장 ( 韦庄,wéi zhuāng )
당나라 때의 저명한 词人 (사인)이었던 그는 장안에서 태여나 진사에 합격하여 후에 前蜀(전촉) 나라의 재상을 하였다. 그의 词人 는 아주 유명하였으며 장시 《 秦妇吟 :진부금》은 아주 유명하다. 그는 또한 花间派 (화간파)의 주요 사인( 词人 )이다.
64. 요태종예진덕광 ( 辽太宗耶律德光,liáo tài zōng yé lǜ dé guāng )
요나라 제 2대 황제로 阿保机 (아보기)의 둘째 아들이다. 그가 즉위한 후 많은 전쟁을 발동하였으며 인민에게 많은 재난을 가져왔다. 하지만 그는 아주 재능이 있는 황제였으며 요 나라의 번영을 위해 큰 공헌을 하였다.
65. 소태후소탁 ( 萧太后萧绰,xiāo tài hòu xiāo chuò )
요경종의 태후이며 아주 청렴하고 현모양처로 공평하고 정의로웠다 . 경종이 죽은 후 혼란한 국면에 직면하여 나라를 다스릴 방법을 생각하였으며 사람을 현명하게 사용하였으며 요나라를 위해 큰 공헌을 하였다.
66. 소식 ( 萧太后萧绰,xiāo tài hòu xiāo chuò )
송대의 문학가 , 서법가, 화가,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중의 한사람이며 그의 아버지와 동생과 같이 “삼소(三蘇)”라 불려지고 있다. 자는 자첨(子瞻) 호는 동파거사(東坡居士)로서 지금의 사천성사람인 그는 시, 사, 산문, 서법, 회화 등에서 조예가 깊으며 재능이 뛰어난 사람이었다. 그의 유명한 시구로는 “大江東去浪淘盡, 千古風流人物”가 있다.
67. 신기질 ( 辛弃疾,xīn qì jí, 1140~1207 )
남송의 시인 (詞人)으로서 자는 유안(幼安)이며 호는 가헌거사(稼軒居士)이다. 소식(蘇軾)과 제명(齊名)하며 또 소신(蘇辛)이라고도 부른다. 역성(지금의 산동제남)사람인 그는 젊었을 때 군대를 이끌고 싸움에 참가한 적이 있다. 그의 사는 풍격이 호탕스러워 송사(宋詞) 호방파(豪放派)의 대표로 여겨지고 있다.
68. 왕안석 ( 辛弃疾,xīn qì jí, 1140~1207 )
송대개혁가 , 사상가, 문학가, 당송8대가중의 한사람인 그는 강소 임천사람으로 당시 사람들에게 임천선생( 臨川先生 ) 으로 불리웠다 . 그는 재상으로 있을때 유명한 “왕안석변법(王安石變法)”을 일으켰다.
69. 이청조 ( 李清照,lǐ qǐng zhào, 1084~약1151 )
남송여류사인 (詞人)으로 호는 이안거사(易安居士)로서 지금의 산동사람이다. 그는 사(詞)는 송사의 “ 완약파 (婉約派)” 계열에 속하며 인생의 고독과 불안을 투시하고 청렬 (淸冽) 한 맛이 가미된 그의 사는 송사 (宋詞) 의 최고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
70. 관한경 ( 关汉卿, guān hàn qīng )
원나라 잡극작가로서 대도사람 (지금의 북경시)인 그는 원나라 잡극계의 영수였으며 그가 쓴 유명한 작품으로는 “두아원(竇娥冤)”“구풍천(救風塵)”“망강정(望江亭)”“배월정(拜月亭)”등이 있다. 내용상에서는 사회현실을 표현하였으며, 아주 정의감이 넘치는 작품들이다.
71. 나관중 (罗贯中,luó guàn zhōng, 1330?~1440?)
원말명초 때의 소설가 , 희곡가인 그는 항주사람이다. 그의 작품중 가장 뛰어난 것은 “삼국지연의(三國志通俗演義)”를 꼽을수 있다.
72. 조설근 ( 曹雪芹,cáo xuě qín 1715?~1763?)
청나라때의 소설가이며 본은 료녕성이다 . “홍루몽(紅樓夢)” 을 썼으며,이 홍루몽은 중국고개의 가장 위대한 소설이 되고 있다.
73. 왕희지 ( 王羲之,wáng xī zhī, 303~361 )
진나라의 서예가이자 문학가인 그는 지금의 산동사람이다 . 후대 사람들은 그를 “왕우군(王右軍)”이라고 부른다. 12살때 서법을 깨달았으며, 그후에는 유명한 여류서예가 위부인(衛夫人)에게서 서법을 배웠다. 후세사람들은 그를 “서성(書聖)”이라고 존칭해서 부르고 있다. 그의 서풍(書風)은 전아 (典雅) 하고 힘차며 귀족적인 기품이 높기에 천하제일로 꼽히고 있다 .
74. 오도자 ( 吴道子,wú dào zǐ, 686~760 )
당나라때의 유명한 화가로서 사람들은 그를 오생 (吳生)이라 존칭해서 부르고 있다. 그는 불도(佛道), 인물, 산수, 짐승을 그리는데 있어서 섬세하고 날카로운 필치를 사용하였으므로 “오대당풍(吳帶當風)”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사람들을 그를 “화성( 畫聖 )”으로 존경하고 있으며 또 민간화공들에 의해 선조( 祖师 )로 불려지고 있다.
75. 당인 ( 唐寅,táng yín, 1470~1523 )
자는 백호 (伯虎)이며 명나라 때의 걸출한 화가이다. 그는 “명 4대가( 明四大家 )”중의 한사람이며 명조중엽 시기 강남제일재자(江南第一才子), 강남제일풍류재자(江南第一風流才子) 등으고 불려지고 있다. 그는 성격이 호탕하며 그의 그림은 세련되고 청아한 맛이 있다.
76. 이홍장 ( 李鸿章,lǐ hóng zhāng, 1823~1901 )
청조말기 군사와 정치상에서 가장 중요한 대신의 한사람이며 양무운동 (洋務運動)의 창도자인 그는 안휘 합비사람이었다. 그는 중국에서 많은 기계제조회사를 꾸렸으며 서방의 선진적인 기술을 적극적으로 배울 것을 주장하였다. 외교상에서 중국을 대표하여 몇 개의 불평등조약을 체결하였다.
77. 포청천 ( 包青天, bāo qīng tiān,999~1062 )
송나라때의 유명한 청렴한 관리로서 지금의 안휘 합비사람으로서 엄격하고 정직한 사람이었다. 진사미(陳世美)가 관직에 오른후 본처 진향련(秦香蓮)을 포기하려다가 포청천에게 엄벌을 받았다. 포청천은 이미 백성만을 위하는 청렴한 나리의 대명사로 쓰이고 있다.
78. 송강 ( 宋江,sòng jiāng )
북송말기 농민봉기의 수령으로서 산동성 곽성사람인 그는 의리를 지키며 곤궁에 빠진 사람들을 즐겨 도왔다 . 봉기후 그는 군대를 거느리고 통치자들을 호되게 혼내 주었다. 하지만 봉기는 실패로 끝을 맺었다. 그는 “수호전(水滸傳)”에서 나오는 송강의 원형으로서 사람들로부터 “급시우( 及时雨 )”라 불리우고 있다.
79. 악비 ( 岳飞,yuè fēi, 1103~1142 )
남송시기 금나라에 대항한 명장으로 지금의 하남성 사람이다 . 그의 어머니는 그가 어렸을 때 그의 등에다 “정충보국(精忠報國)”이라는 4글자를 세겨놓았다. 용감하고 뛰여난 재능을 갖춘 그는 금나라(金)의 침입을 여러번 물리쳤다. 그후 그는 무고한 누명을 쓰고 투옥된 뒤 살해되었다.
80. 주희 ( 朱熹,zhū xī )
남송의 저명한 철학자 , 교육가인 그는 재능이 있고 이학( 理学 ) 이론을 세우는데 힘썼다. 일생에 많은 저작이 있었으며 《 四库全书 : 사고전서》에 수록된 것만해도 40부가 된다. 그의 철학적 이상은 중국의 역사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81. 왕소군 ( 王昭君, wáng zhāo jūn )
중국 한나라 때의 미녀 왕소군은 중국의 4 미인 중 한사람이다. 민간인으로서 그녀는 흉노 ( 匈奴 ) 와의 화친을 위해 자진하여 흉노인에게 시집을 갔으며 그의 거행은 민족단결의 상징이 되었다 . 그의 절세의 용모는 “락연지용(落雁之容)”으로 불리고 있다.
82. 장량 ( 王昭君, wáng zhāo jūn )
진나라말 한나라 초기 군사가로서 유방을 도와 일련의 군사전략과 정치적인 전략을 제정하였다. 바로 장량의 도움이 있었기에 결국 항우를 물리칠 수 있었다. 그리고 한신을 잘 붙잡았기에 한나라의 국면이 안정될 수 있었다.
83. 한신 ( 韩信, hán xìn )
한나라초기의 군사가로서 유방을도와 각지의 세력들을 소멸하여 중국통일을 완성하였다. 그는 군사들에게 매우 관대하게 대했기 때문에 유방은 그가 반역을 하지 않을까 의심하게 되었고 그에게 병권을 내놓게 하였다. 후에 여후와 소하가 한신을 살해했다.
84. 초선 ( 貂婵, diāo chán )
중국 4대미인 중 한사람으로서 한나라말기 3국 분쟁의 중요한 인물이다. 그는 연환계(連環計)를 써서 여포(呂布)로 하여금 동탁(董卓)을 죽이도록 하였으며 그후 여포에게 시집을 갔다. 여포가 죽은후 그도 따라서 자살을 했다. 그의 미모는 “페월지모( 蔽月之貌 )”로 불리우고 있다.
85. 양귀비 ( 杨贵妃, yáng guì fēi )
이름은 양옥환으로 중국 4대미인 중 한사람이며 당현종(唐玄宗) 이융기(李隆基)의 첩이다. 지금의 산서성 사람으로서의 그는 음률의 조예가 깊고 가무에 능하였다. 하지만 끝내 피살당하는 운명을 벗어나지 못했다. 백거이는 그의 “장한가(長恨歌)”에서 양귀비를 “한번 눈웃음 지으면 애교가 그지없어 단장한 육궁 미녀들의 얼굴빛을 가렸네( 回眸一笑百媚生 ,六宮粉黛無顏色 )”라고 묘사했다.
86. 조조 ( 杨贵妃, yáng guì fēi )
위 나라 수령이다 . 인재를 잘 뽑았으며 이름난 시인이다. 잔인한 사람이었고 삼국시기 북방의 패주였다. 그의 아들 조배는 황제로 자칭한 뒤 태조 무한제로 불리웠다.
87. 육유 ( 陆游, lù yóu )
南宋 ( 남송 )의 저명한 시인으로, 그는 시종 金 ( 금나라 )와 맞서는 것을 견지하였지만 화해할 것을 바라는 조정에 의해 타격을 받았다. 그의 작품은 내용이 풍부하며 조국에 대한 열애의 감정을 토로하였으며 무능한 조정에 대해 호된 질책을 하였다.
88. 필승 ( 陆游, lù yóu )
北宋 ( 북송 )의 발명가로서 판목인쇄술을 개혁하고 활자인쇄술을 발명하여 인력과 자원을 많이 절약하였으며 인쇄 속도를 빠르게 하였고 인쇄 품질을 제고하고 인쇄기술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켰다.
89. 임칙서 ( 林则徐,lín zé xú, 1785~1850 )
아편전쟁 (鴉片戰爭)시기 아편을 금지하고 침략에 대항해 나설것을 주장한 애국정치가이다. 역사학자들은 그를 “눈을 뜨고 세상을 바라본 첫번째 사람(開眼看世界的第一人)”이라 부르고 있다. 복건사람이며, “호문소연(虎門銷煙)”의 지도자였다.
▒ 기타 -사건 ▒
1. 중국 동맹회 성립 ( 中国同盟会成立,zhōng guó tóng méng huì chéng lì ) :
손중산 ( 孫中山 )은 1905년 8월 20일 도쿄에서 중국 동맹회를 세웠으며 종지 ( 宗旨 )는 ‘외적를 몰아내고 중화를 회복하며 땅을 평균분배한다'이다. 민족주의, 민권주의, 민생주의 등 삼민주의(三民主義)를 표방하였다.
2. 신해혁명 ( 辛亥革命, xīn hài gé mìng )
1911년10월10일, 손중산( 孫中山 )이 거느린 자산계급혁명파가 지도하고 수많은 노동자와 농민이 참가한 대(大)혁명이였다. “신해(辛亥)”년에 일어났기 때문에 “신해혁명 (辛亥革命) ”이라 한다.
3. 중화민국의 성립 ( 中华民国成立, zhōng huá mín guó chéng lì )
우창봉기 (武昌蜂起)후, 14개성이 독립하였고 건국준비를 시작하엿다. 1912년1월1일 오전, 손중산은 상해에서 남경으로의 차에 올랐다. 손중산은 총통부(總統府)에 도착하여 선서취임하였고 중화민국의 성립을 선포(宣布)하였다.
4. 원세개가 21개조 요구를 받아들이다 ( 袁世凯接受二十一条, yuán shì kǎi jiē shòu’èr shí yī tiáo )
1915년1일 , 일본정부는 중국에 중국 주권을 엄중히 침해하는 21개조 요구를 제출하였다. 원세개는 요구를 받아들이겠다고 표시하였다. 5월9일, 정식으로 일본에 회답하였다. 이는 전(全) 중국인민의 반대를 받았다.
5. 원세개가 스스로 황제라 칭하다 ( 袁世凯称帝, yuán shì kǎi chēng dì )
1916년 1월1일, 원세개 (袁世凱) 는 스스로 홍헌황제 (洪憲皇帝)라 칭하였고 민국(民國) 5년을 홍헌원년(洪憲元年)이라고 고쳤다. 이는 전국의 반대를 받았기 때문에 3월22일에 황제제도를 철소한다고 선포하였으며 6월6일로 병사하였다. 원세개 (袁世凱) 는 83일의 황제를 하였다.
6. 호법운동 ( 护法运动,hù fǎ yùn dòng )
1917년 손중산이 주도한 호법운동(護法運動)은 단기서(段祺瑞)의 독재통치를 반대하는 운동이었다. 손중산(孫中山)의 호소하에 국회의원들은 모두 남하(南下)하여 호법운동에 참가하였다. 호법전쟁은 먼저 호남(湖南)에서 개시하였으나 실패하고 말았다.
7. 중국 공산당 성립 ( 中国共产党成立, zhōng guó gòng chán dǎng chéng lì )
5.4운동(五四運動)후 진독수(陳獨秀), 이대소(李大 釗 )등은 중국 공산당의 조직을 만들었다. 1921년7월 각지의 중국 공산주의 대표는 상해에서 중국 공산당 제1차전국 대표대회를 개최하였으며, 중국 공산당이 성립되었다.
8. 북벌전쟁 ( 北伐战争, běi fá zhàn zhēng )
1926년 국공 (國共) 양당은 북벌전쟁을 거쳐 북양군벌(北洋軍閥) 오패부(吳佩孚), 손전방(孫傳芳)의 주력군을 신속히 격멸하였으며 장강이남(南)의 중국을 점령하여 중대한 승리를 획득하였다.
9. 남창봉기 ( 南昌起义, nán chāng qǐ yì )
1927년8월1일 주은래(朱恩來), 하용(賀龍) 등은 봉기군(蜂起軍)을 지도하여 남창(南昌)에 있는 국민당(國民黨)군을 향해 진공하였으며 도시를 점령하였다. 남창봉기(南昌 蜂起) 는 최초로 국민당(國民黨)을 무력으로 반대한 사건이다. 이는 중국 공산당(共産黨)이 독립적으로 지도한 무장투쟁이며 혁명군(革命軍)의 건립을 시작한 개기였다.
10. 9.18사변 or 만주사변 ( 九•一八事变, jiǔ yī bā shì biàn )
1931년 9월 18일밤 일본 관동군은 심양 북쪽 교외에 있는 한 구간의 철도를 스스로 폭파하고 이를 중국측 소행이라고 트집 잡아 만철 연선 (沿線)에서 북만주로 일거에 군사행동을 개시하였다. 이 사변은 일본이 중국을 침략하는 전쟁의 시작이였다.
11. 준의회의 ( 遵义会议, zūn yì huì yì )
1935년1월초 장정(長征)중인 중국공농홍군(中國工農紅軍)은 귀주성(貴州)의 준의(遵義)를 점령하고 회의를 소집하였다.그 회의에서는 모택동(毛澤東)을 중심으로 하는 당중앙의 령도를 확립하였다.
12. 노구교사변 ( 卢沟桥事变, lú gōu qiáo shì biàn )
1937년 7월7일 밤 북경 근처의 노구교 ( 盧溝橋 ) 에서 훈련중이던 일본군은 사병이 실종되었다는 이유로 한밤중에 완평 ( 宛平 ) 성을 수색할 것을 요구하였으나 중국군대에 의해 거절당하였다 . 그러자 이튿날 그들은 완평성을 포격하였다. 노구교사변은 일본의 전면적인 중국침략전쟁의 시작이었다. 또 7월7일에 일어났으므로 “7.7사변”이라고도 한다.
13. 연안정풍운동 ( 延安整风运动,yán’ān zhěng fēng yùn dòng )
항일전쟁후기 중국공산당은 전당적으로 한차례의 당의 기풍을 정돈하고 마르크스 (馬克思)주의를 학습하는 운동을 일으켰다. 운동은 1942년 연안(延安)에서 시작되여 1945년에 마쳤다.
14. 해방전쟁 ( 解放战争, jiě fàng zhàn zhēng )
1946년 6월 국민당은 정전협정(停戰協定)을 파기하고 전면적인 내전을 발동하였다. 중국공산당은 3년의 전쟁과 3대전역(三大戰役)을 거쳐 기본적으로 국민당의 주력을 소멸하였다.1949년 4월 중국인민해방군이 남경(南京)을 점령하자 국민당은 대륙에서의 통치가 와해되었다.
15.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 (中华人民共和国的成立,zhōng huá rén mín gòng hé guó de chéng lì )
1949년10월1일 오후2시 중국인민정부 위원회는 제1차회의를 소집하여 모택동(毛澤東)을 중앙인민정부주석, 주은래(周恩來)를 정무원총리 및 외교부장으로 임명하였다. 오후3시 30만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천안문광장에 모여서 개국의식을 거행하였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을 선포하였다.
16. 남경대학살 ( 中华人民共和国的成立,zhōng huá rén mín gòng hé guó de chéng lì )
일본군이 남경을 점령한 후 잔인한 도살을 감행하여 무고한 중국 군민 (軍民) 30여만명이 살해하였다.
17. 홍군장정 ( 红军长征,hóng jūn cháng zhēng, 1934.10~1936.10 )
국민당 (國民黨)과 공산당(共産黨)이 대치되여 있는 시기에 공산당이 실행한 전략적 작전이었다. 2년이라는 시간에 거쳐 홍군의 3대 주력군은 12500km를 행군하여 감숙 회녕(甘肅 會寧)에서 회합함으로서 공산당(共産黨)의 주력군을 보완할 수 있었다.
18. 5.4 운동 ( 五四运动, wǔ sì yùn dòng )
1919년5월4일,북경대학 등 13개 대학의 3천여명 학생들은 천안문(天安門)앞에 집합하여 “밖으로는 주권을 쟁취하고 안으로는 매국노를 제거하자(外爭主權, 內除國賊)”, “21개조를 취소하라”는 구호를 외치며 요구하였다.
19. 서안사변 ( 西安事变, xī’ ān shì biàn )
1936년12월12일 장학량(張學良)과 양호성(楊虎城)은 서안(西安)에서 병간(兵諫)을 발동하여 장개석(蔣介石)을 감금하고 내전을 중지하고 항일할 것을 위주로 하는 8개의 요구를 제안하였다. 중국공산당은 주은래(周恩來)를 파견하여 평화적으로 서안사변을 해결하였으며 공산당과 국민당의 제2차 국공합작을 달성하였다.
▒ 기타 - 인물 ▒
1. 황제 ( 黄帝, huáng dì )
전설중의 중화민족의 선조이다 . 그는 염제(炎帝)와 연합하여 치우(蚩尤)부락을 격파하고 중원일대를 통일하였으며 화하민족(華夏族)을 건립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사람들은 자신을 “염황자손(炎黃子孫)”이라고 부르고 있다.
2. 대우 ( 大禹, dà yǔ )
중국고대전설중 물을 다스렸다는 신선으로 그는 10여년간의 시간을 거쳐 황하물을 다스리는데 성공하였으며 그 기간 자신의 집 문앞을 3번 지나가면서도 집에 들리지 않았다. 이에 따라 순(舜)은 자신의 제위를 물을 다스리는데서 큰 공을 세운 우에게 넘겨주었다.
3. 서왕모 ( 西王母, xī wáng mǔ )
고대신화속의 인물이며 왕모낭낭 (王母娘娘)이라고도 부른다. 전설에 의하면 서왕모가 살고 있는 곤륜산(昆侖山)의 요지(瑤池)에는 먹으면 장생불로할 수 있는 복숭아가 자란다고 한다. “견우와 직녀(牛郎織女)”의 이야기에서 서왕모는 잔인한 신선으로 묘사되어 있다.
4. 여와 ( 女娲, nǚ wā )
중국 고대전설속에 흙으로 사람을 빚고 바늘로 하늘을 기웠다는 사람으로 머리에 뱀의 꼬리를 가진 여신 (女神)이다
5. 임충 ( 林冲, lín chōng )
“수호전(水滸傳)”에 나오는 중요한 인물로 원래 관직에 있던 그는 자신의 부인에게 관심을 두고 있던 자들에 의해 모함을 당한후 죄인으로 되었다. 그후 그는 자신을 해친자를 죽이고 양산박(梁山)에 이르러 봉기군중의 한명의 수령으로 되었다. 그는 “표자두( 豹子头 )”라고 불리고 있다.
6. 무송 ( 武松, wǔ sōng )
“수호전(水滸傳)”에 나오는 경양강에서 호랑이를 맨주먹으로 때려죽인 영웅으로 그는 형을위해 복수를 하려고 반금련(潘金蓮)과 서문경(西門慶)을 죽였으며 다른사람을 도우려고 장문신(蔣門神)을 죽이고 쾌활림(快活林)을 빼앗았다. 그후 그는 스님모양으로 화장하여 양산박(梁山泊)에 이르러 그곳의 수령이 되었다.
7. 축영대 ( 祝英台, zhù yīng tái )
중국고대의 가장 유명한 애정소설인 “양산백과 축영대” 중의 여주인공인 그는 남자로 가장해서 서당에서 공부하면서 양산백을 알게 되고 그를 사랑하게 된다. 하지만 부모들의 반대로 인해 혼인을 이룩하지 못한 그 둘은 자살을 택하게 된다. 죽은 후 둘은 한쌍의 나비로 변한다.
8. 임대옥 ( 林黛玉, lín dài yù )
중국 고대소설 “홍루몽”중의 여주인공으로 천진하고 솔직하며 감성적인 임대옥과 가보옥(賈寶玉)의 사랑은 가모(賈母)등 사람들의 방해로 성취하지 못하고 임대옥은 우울하게 죽어가게 된다. 그중 “대옥장화(黛玉葬花)”, ”분고단지정( 焚稿断痴情 )”등은 아주 유명한 이야기이다.
9. 앵앵과 홍량 ( 莺莺和红娘, yīng yīng hé hóng niáng )
원대 (元代)잡극 “서상기(西廂記)”중의 두 인물로서 시녀인 홍랑은 주인아가씨 앵앵을 도와 서생 장생(張珙)과 연분을 맺도록 한다. 그후 홍랑은 중매인의 대명사가 되었다.
10. 목계영 ( 穆桂英, mù guì yīng )
사극 및 소설 “양씨장군(楊家將)”중의 여주인공으로서 무예가 뛰어나며 총명하고 용감하다. 그는 양종보(楊宗保)와의 한차례 싸움에서 이긴후 그와 결혼을 하였으며 양씨가문의 장군중의 일원으로 된다. “목계영이 군대를 거느리다(穆桂英掛帥)”는 중국에서 전해져 오고 있는 사극의 하나이다.
11. 백량자 ( 白娘子, bái niáng zǐ )
“백사전(白蛇傳)”은 명나라로부터 유전되여 온 민간 이야기이다. 그중 “호수를 거닐다가 우산을 빌리다(游湖借傘)”, “큰물이 금산사를 삼키다(水漫金山)”, “단교에서의 만남(斷橋相會)”등은 사람들이 잘 알려진 이야기이다.
12. 서비홍 ( 徐悲鸿,xú bēi hóng, 1470~1523 )
현대화가로서 국화대사 ( 國畫大師 )이자 미술교육학자였던 그는 강소사람이다. 그는 회화상에서 현실주의를 적극 주장하였으며 사생( 写生 )을 강조하였다. 그는 말을 그리는데 뛰어났으며 화법 또한 대범했다.
13. 제백석 ( 齐白石,qí bái shí, 1864-1957 )
현대화가이자 국화대사 (國畫大師)였던 그는 호남사람이었다. 그의 시, 서법, 회화, 조각 및 인품은 5절( 五絕 )로 불려지고 있다. 그의 그림은 참신하고 자연스러우며 특히 새우를 잘 그렸다. 중국사람들은 특별히 그의 그림을 즐긴다.
14. 장대천 ( 张大千,zhāng dà qiān, 1901~1984 )
대천거사 (大千居士)로 불리고 있는 그는 사천 내강사람이다. 그는 명산대천들을 유람하면서 자연을 학습하여 끝내 탁월한 예술성과를 이룩하였다. 그의 그림은 문인들의 그림과 민간예술의 장점을 겸비하고 있어 그림세계에 있어 아주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15. 노신 ( 鲁迅,lǔ xùn, 1881~1936 )
현대 문학가 , 사상가, 혁명가인 그의 이름은 주수인으로 절강 소흥사람이다. 그는 중국신문화 운동의 리더라 할 수 있다. 그의 유명한 소설집으로는 “납함( 呐喊 )”“방황( 彷徨 )”등이 있다.
16. 모택동 ( 毛泽东,máo zé dōng, 1893~1976 )
중국인민의 영수로서 시인이자 서예가였다 . 호남성의 농민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중국공산당 창립에 참여하였으며 그후 중국인민공화국정부를 세웠다. 하지만 그는 만년에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대약진(大躍進)”등 운동을 일으켜 지울수 없는 착오를 범하였다.
17. 주은래 ( 周恩来,zhōu’ēn lái, 1898~1976 )
본적은 절강소흥으로 중국공산당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요지도였으며 , 20여년간 총리직을 맏았다. 그는 국내외 여러 민족 인민들의 존경을 받았다.
18. 주덕 ( 朱德,zhū dé, 1886~1976 )
중국공산당 중국인민해방군과 중화인민공화국 주요지도자로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元帥)였다. 사천성 의용사람으로 인민군대의 창립자이자 지도자로였다. “주모(朱毛)”라는 것은 주덕과 모택동(毛澤東)을 이르는 말이다.
19. 유소기 ( 刘少奇,liú shào qí, 1898~1969 )
중국공산당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요지도자로서 호남녕향사람이었다 . 그는 일찌기 혁명사업에 참가하였다. 문화대혁명시기 그릇된 비판을 받았으나 문화대혁명이 끝난후 명예를 회복하였다.
20. 등소평 ( 邓小平,dèng xiǎo píng, 1904~1997 )
신 (新)중국의 지도자로서 사천성 광안사람이었다. 중국특색에 맞는 사회주의를 건설하고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를 수립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하나의 국가, 두개의 제도(一國兩制)”라는 구상을 내놓았다.
21. 손중산 ( 孙中山,sūn zhōng shān, 1866~1925 )
근대 중국혁명의 선구자로서 이름은 문 이고 호는 이선이다 . 광동 향산사람인 그는 동맹회(同盟會)를 창립하고 지도하였으며 민족, 민권, 민생(民族、民權、民生)을 위해 분투하였다. 중화민국이 창립된후 그는 제1대통령직을 맏았으며 “국부(國父”로 불리웠다.
22. 장개석 ( 蒋介石,jiǎng jiè shí, 1887~1975 )
중국국민당이 중국통치시 당 , 정, 군의 지도자로서 절강 봉화사람인 그는 손중산(孫中山)을 도와 북벌(北伐)을 진행하였으며 1927년에 “청당( 清黨 )”운동을 일으켰다. 항일정쟁 승리후 그는 공산당과의 전쟁에서 실패하여 대만으로 도망하였으며 그곳에서 죽었다.
23. 송씨 3자매 ( 宋氏三姐妹, sòng shì sān jiě mèi )
송애령 ( 宋藹齡, 孔祥熙의 부인 ), 송경령 (宋慶齡, 孫中山의 부인),송미령 (宋美齡, 蔣介石의 부인)3자매를 가리킨다. 그들의 인생길은 각각 달랐지만 모두 중국근대사에서 아주 중요한 인물들이었다. 그들의 부친은 송요루(宋耀如)이다.
24. 장학량 ( 张学良,zhāng xué liáng, 1901~2001 )
국민당의 장령으로서 서안사변 (西安事變)의 주도자이다. 자는 한친(漢卿)이며 요녕성 해성사람이다. 봉계군벌 장작림(張作霖)의 큰아들인 그는 1936년 양호성(楊虎城)과 서안에서 서안사변을 일으킴으로서 중국근대사에 아주 큰 영향을 미쳤다.
25. 레이펑 ( 张学良,zhāng xué liáng, 1901~2001 )
중국인민해방군이 인민을 위하는 모범의 인물인 호남성 사람이다 . 그가 죽은 후 모택동(毛澤東)은 친히 “레이펑을 따라 배우자(向雷鋒同志學習)”라는 제사를 썼다. “레이펑정신”은 중국에서 이미 나라를 사랑하고 인민을 사랑하며 노동을 사랑하고 단결, 협조의 상징으로 되였으며 “좋은일을 한다”라는 대명사로 쓰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