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 국문학사 각종 기출문제 [13] | 능소니(국문졸) | 15.12.14 |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국문학의 역사 기말기출문제
2012년 1학기 기말(2012년 교재개편)
36. 다음 중 원시문학의 주된 문학담당층으로 볼 수 있는 계층은?
① 신흥사대부 ② 무당(사제) ③ 건국영웅 ④ 권문세족
37. 다음 중 고대문학 시기에서 영웅서사시의 문학담당층으로 볼 수 있는 계층은?
① 문벌귀족 ② 군사귀족 ③ 권문세족 ④ 육두품
38. 다음 중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기문학의 특징적 문학갈래에 해당하는 것은?
① 건국서사시 ② 속악가사 ③ 전설, 민담 ④ 악장
39.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삼국ㆍ남북국시대)의 문학현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한문학의 등장 ② 향가의 성행 ③ 영웅담의 성격 변화 ④ 소악부의 융성
40.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삼국ㆍ남북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으로 평가되는 현전(現傳) 작품은?
① 광개토대왕릉비 ② 수이전 ③ 동명왕편 ④ 해동고승전
41.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삼국ㆍ남북국시대)의 주된 문학담당층에 해당하는 계층은?
① 육두품 ② 진골 ③ 권문세족 ④ 문벌귀족
42.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2기(고려전기)의 주된 문학담당층에 해당하는 계층은?
① 권문세족 ② 육두품 ③ 문벌귀족 ④ 지방호족
43.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2기(고려전기)의 문학현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과거제 실시와 한문학의 성숙 ② 죽림고회의 문학
③ 향가의 지속 ④ 『삼국사기』의 편찬
44.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의 시작과 관련되는 역사적 사건은?
① 묘청의 난 ② 권문세족의 몰락 ③ 성리학의 도입 ④ 무신란과 몽골란
45.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의 문학현상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문학에 관한 논란과 『파한집』, 『동인지문』, 『역옹패설』
② 향가의 지속과 <도이장가>, <정과정곡>
③ 민족사 재인식과 『제왕운기』, 『삼국유사』
④ 사람의 일생 서술 방법에 관한 관심
46.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에 등장한 문학갈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소악부(小樂府) ② 경기체가 ③ 사대부 가사 ④ 시조
47.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의 연극의 양상을 짐작하게 해 주는 것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산대도감과 산대놀이 ② 팔관회, 연등회. 나례
③ 이색의 <구나행> ④ 이규보의 <관롱환유작>
48.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의 문학현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불교가사의 시작 ② 몽유록의 창작
③ 삼당시인의 활동 ④ 국문 편지와 국문 제문(祭文)의 등장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49.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 연희의 양상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나례희와 산대희의 지속 ② 광대 공길, 귀석과 소학지희
③ 성현의 <관괴뢰잡희> ④ 산희(山戱)와 야희(野戱)
50.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의 한문학 노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사림문학 ② 방외인문학 ③ 실학파문학 ④ 관인문학
51. 다음 자료들의 공통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유득공의 『경도잡지』, 이제신의 『청강쇄어』, 『동국여지승람』 고성조(固城條) |
① 조선후기 위항문학의 실상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② 조선전기 사림문학의 전개과정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③ 조선후기 실학파 문학의 특징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④ 조선전기 탈춤의 양상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52.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의 한문학 노선과 관련하여 연관성이 있는 선후(先後) 문인들로 바르게 묶인 것은?
① 권근-김종직 ② 길재-서거정 ③ 원천석-김시습 ④ 정도전-박지원
53. 다음에 제시된 문인들의 공통점은?
조신(曺伸), 송익필(宋翼弼), 서기(徐起), 어무적(魚無迹) |
①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의 사림문학을 하면서 심성의 수양을 강조한 문인들이다.
②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의 한문학 노선 가운데 신분상의 차이가 주된 이유가 되어 방외인 문학을 하게 된 문인들이다.
③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의 관인문학 계승자들이다.
④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의 도가문학(道家文學)을 철저하게 추구했던 문인들이다.
54.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을 시작하게 된 역사적 사건은?
① 훈민정음의 반포 ②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③ 실학파 문인의 등장 ④ 신흥사대부의 몰락
55.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에 있어서 문학담당층의 확대현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중인들의 한시 창작 ② 중인들의 시조가단 형성
③ 중인들의 유배가사 창작 ④ 여성 기행가사의 등장
56.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 시기에서 정통 한문학의 비판과 반성, 변모의 노선과 거리가 먼 문인과 저술은?
① 이수광의 『지봉유설』 ② 허균의 『국조시산』
③ 이광정의 『망양록』 ④ 서거정의 『동문선』
57.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에 시조의 정착과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영남가단과 강호가도 ② 기녀시조
③ 사대부 연시조의 융성 ④ 호남기단과 풍류정신
58.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신라ㆍ남북국시대)의 놀이와 연극으로 잘못 묶인 것은?
① 발해의 <지서(芝栖)> ② 고구려의 <꼭두각시놀음>
③ 백제의 <기악> ④ 신라의 <처용극>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59. 다음 중 중세보편주의를 구현한 문학현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한시의 창작 ② 『삼국사기』의 편찬 ③ 불교문학의 전개 ④ 한시의 민요 수용
60. 다음 중 악장, 경기체가, 가사, 시조의 관계 양상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이 넷 가운데 음악적 비중이 가장 큰 것은 악장이었다.
② 가사는 시조와 더불어 공적인 문학과 사적인 문학의 성격을 공유했다.
③ 경기체가는 공적인 문학과 사적인 문학으로서의 성격을 나누어 가졌다.
④ 악장은 공적이기만 한 문학이었다.
61. 다음 중 <용비어천가>의 문학사적 의의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동명왕편>의 기본 노선을 따르면서 중세보편주의의 독자적 구현을 구체화한 작품이다.
② 유교 이념을 내세우기 위하여 민간의 구비전승을 수용하지 않았다.
③ 중국 제왕들의 행적을 앞세우고 조선 건국시조들이 이와 합치한다고 하는 점에서 보편주의를 구현했다.
④ 당대의 민심과 만나는 통로를 열기 위해 새로운 건국서사시의 형태로 나타났다.
62. 다음 중 호남가단의 풍류정신을 구현한 시조에 해당하는 것은?
① 송순의 <면앙정단가> ② 이황의 <도산십이곡>
③ 이이의 <고산구곡가> ④ 주세붕의 <훈민가>
63. 다음 중 국문문학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으면서 한문학을 민족 문학으로 재정립하는 방향을 찾는 데 특히 두드러진 성과를 보여준 두 사람이 바르게 묶인 것은?
① 정내교-정약용 ② 박지원-정약용 ③ 홍대용-박지원 ④ 김만중-허균
64.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 시기에서 아래의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주장한 문학론은?
허균, 장유, 김득신, 홍세태, 정내교 |
① 성정론(性情論) ② 성령론(性靈論) ③ 천기론(天機論) ④ 재도론(載道論)
65. 다음 ( )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문학론의 용어는?
ㆍ무릇 시는 ( )에서 얻어 조화의 공을 스스로 운행하는 것을 높은 경지로 삼는다. ㆍ시는 성정의 발현이며 ( )의 움직임이다. ㆍ교졸을 버리고 선악을 잊으며 자연에 의거하고 ( )에서 나오는 것이 잘된 노래이다. |
① 호기(浩氣) ② 이기(理氣) ③ 천기(天機) ④ 교리(敎理)
66.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 시기에서 최한기가 주장한 개념으로 ‘지각하고 경험하는 활동의 주체’에 해당하는 것은?
① 성령(性靈) ② 호기(浩氣) ③ 신기(神氣) ④ 성정(性情)
67.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 시기에서 규방가사의 양상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바르게 묶인 것은?
① 부여노정기 - 덴동어미화전가 ② 호남기행사 - 거창가
③ 조화전가 - 한양가 ④ 표해가 - 신가전
68. 다음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 시기의 소설 유통에 관한 설명이다. 올바른 것은?
① 소설의 주된 작가층은 글재주가 있는 평민과 상인, 천민들이었다.
② 서울, 전주, 안성에서 낸 방각본이 전국에 퍼져나갔으며 19세기 후반에 출판 종수가 가장 많이 늘어났다.
③ 세책가는 남성을 고객으로 해서 영업하고 분량이 짧은 소설을 많이 확보해야 이익을 많이 얻을 수 있었다.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④ 사대부소설과 시민소설은 취향이 서로 달라 양립할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독자층이 엄격하게 구분되었다.
69. 다음 중 홍대용의 문학론과 관련이 없는 설명은?
① 한시와 우리말 노래 사이에 가치의 서열이 있을 수 없다고 했다.
② 중세보편주의에서 근대민족주의로 나아가는 길을 열고 민족문학론을 마련했다.
③ 물(物)에서 사람을 보면 사람 또한 물의 하나이니, 인과 물의 구분이 상대적이라고 했다.
④ 조선 사람은 조선의 현실을 직접적으로 다루어 조선시를 창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70.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 시기에서 세 가지 구비서사시의 갈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서사무가 ② 십이가사 ③ 서사민요 ④ 판소리
답안 : 22341 13242 311K3 43223 43142 21233 31242(복수답안 K : 전부)
2013년 1학기 기말
36. 다음 중 고대문학 시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건국신화 및 건국서사시의 등장 ② 향가의 등장
③ 고승의 신이한 행적 서술 ④ 죽림고회의 문학
37. 다음 중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기문학 시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패관문학의 융성 ② 발해문학의 융성
③ 전설ㆍ민담 시대로의 전환 ④ 소악부의 출현
38.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수이전』의 설화문학 집성 ② 고려 건국신화의 변화
③ 시조 가단의 형성 ④ 한문학의 등장
39.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2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사뇌가의 등장 ② 향악잡영 오수와 연극의 자취 확인
③ 과거제 실시와 신라 한문학의 계승과 발전 ④ 경기체가의 융성
40.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동명왕편』과 민족사 재인식의 확인 ② 몽유록의 등장
③ 죽림고회의 문학 ④ 경기체가의 등장
41.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훈민정음의 창제와 언해 ② 속악가사의 등장
③ 시조의 정착과 성장 ④ 여성 한문학의 등장
42.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시조 전문가객의 등장 ② 관인문학의 출현 ③ 몽유록의 출현 ④ 기녀시조의 출현
43.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의 양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위항문학의 성장 ② 판소리 광대의 활약 ③ 삼당시인의 출현 ④ 한시의 민요 수용
44. 다음 중 그 설명이 올바른 것은?
① 사림문학은 심성에서 우러나는 소리를 구현하고자 했다.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② 관인문학은 길재와 원천석이 개척했다.
③ 훈민정음이 창제되면서 즉시 한문학의 쇠퇴가 나타났다.
④ 방외인 문학은 정도전이 새롭게 개척했다.
45. 다음 중 방외인문학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김시습이 대표적 문인이다. ② 도피와 반발의 자취를 드러내었다.
③ 미천한 처지에서 겪는 고난을 드러내었다. ④ 김종직과 그 제자들이 계승ㆍ발전시켰다.
46.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의 주된 문학 담당층에 해당하는 것은?
① 군사귀족 ② 육두품 ③ 권문세족 ④ 성골과 진골
47.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2기의 주된 문학 담당층에 해당하는 것은?
① 문벌귀족 ② 권문세족 ③ 육두품 ④ 사대부
48.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의 시작을 알리는 역사적 사건은?
① 발해의 건국 ②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③ 중국 연호의 사용 ④ 무신란과 몽골란
49.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의 문학 담당층으로 볼 수 있는 계층은?
① 문벌귀족 ② 신흥사대부 ③ 육두품 ④ 방외인
50.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의 시가문학의 양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규원가>와 같은 여성이 창작한 가사가 등장했다. ② 소설과 관련된 다양한 직업이 등장했다.
③ 정철의 가사가 수준 높은 경지를 보여주었다. ④ 호남가단의 풍류정신이 나타났다.
51. 다음은 <삼국유사>의 문학사적 의의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① 고려후기의 시대적 상황을 바탕으로 새로운 역사의식을 깊이 있게 드러내었다.
② 민족문화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자 하는 일연의 생각이 찬술의 동기가 되었다.
③ <삼국사기>가 표방한 유교적 합리주의를 적극적으로 계승하여 설화보다는 역사적 사실을 더욱 중요시했다.
④ 세속의 역사인 <삼국사기>와 불교의 역사인 <해동고승전>을 아울렀다고 하는 평가를 할 수 있다.
52.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의 문학현상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문학에 관한 논란과 『파한집』, 『동인지문』, 『역옹패설』
② 민족사 재인식과 『제왕운기』, 『삼국유사』
③ 사람의 일생 서술 방법에 관한 관심
④ 향가의 지속과 <도이장가>, <정과정곡>의 창작
53.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에 등장한 문학 갈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소악부 ② 사대부가사 ③ 경기체가 ④ 시조
54.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의 연극의 양상을 짐작하게 해 주는 것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팔관회, 연등회, 나례 ② 이색의 <구나행>
③ 산대도감과 산대놀이 ④ 이규보의 <관롱환유작>
55. 다음 중 소악부(小樂府)의 문학사적 의의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권문세족의 향유물로 상층 귀족문학의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
② 칠언절구의 형식으로 우리말 노래의 전체 내용을 빠뜨리지 않고 모두 한역하여 창작한 것이다.
③ 한시이면서도 우리말 노래의 진솔한 사연을 담으려 했기 때문에 주목할 만하다.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④ 한시와 우리말 노래를 접근시키려는 의도와 달리 둘 사이에 차별성이 더욱 부각되어 일찍 소멸되었다.
56. 고려 말과 조선 초에는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되는데, 이 시기의 사회와 문학적 변동 사항을 잘못 서술한 것은?
① 불교를 최고이념으로 삼는 귀족을 대신하여 유학을 내세우는 사대부가 집권층으로 등장한다.
② 신유학 즉 성리학을 체계화해서 논리적 기틀을 마련한다.
③ 지배세력이 훈민(訓民)이라는 이름으로 백성을 교화해야 중세 사회의 질서가 재건되고 유지된다고 판단한다.
④ 고려 전기와 후기 사이에는 동질성이 보이고,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 사이에는 이질성이 두드러진다.
57.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의 한문학 노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위항문학 ② 방외인문학 ③ 사림문학 ④ 관인문학
58. 다음은 누구의 어떤 글에서 주장한 것인가?
말이 입에서 나와 글을 이루는 중국 사람의 공부는 그 고유한 것을 바탕 삼아 나아가므로 정신을 많이 허비하지는 않는다. 세상에서 우뚝한 재주를 앉아서도 발휘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 동방 사람은 말이 중국과 다르므로, 타고난 재주가 밝고 예리하지 않으면 천백 배나 노력해도 공부하는 바가 어찌 성공을 거둘 수 있겠는가? 다만 일심지묘(一心之妙)는 천지사방에서 털끝만큼도 차이가 없으니, 득의한 작품에 있어서야 어찌 스스로를 낮추어서 그네들에게 많이 양보하겠는가? |
① 최자의 <보한집> ② 이인로의 <파한집>
③ 최해의 <동인문서(東人文序)> ④ 서거정의 <동문선>
59. 다음 중 경기체가를 창작하고 향유한 주된 계층은?
① 친원세력과 결탁한 권문세족
② 고향에 은거하며 심성을 수양하던 향반(鄕班)
③ 경제적 토대를 기반으로 성장한 신흥 상인
④ 조정에서 벼슬을 하고 문학의 재능을 발휘하는 선비
60. 다음 내용은 어떤 작품의 의의에 관한 설명인가?
조선왕조는 불교나 민간신앙을 배격하고 등장한 유교국가이다. 사실에 근거를 둔 합리적인 역사 서술을 하는 것을 자랑으로 삼았다. 건국의 내력을 <태조실록>에서 <태종실록>까지에서 자세하게 기록했다. 건국의 내력에 관한 민간의 설화를 많이 모아 실록에 기록해두었지만 그것은 실록을 열람할 후대인에게나 소용되었다. 당대의 민심과 만나는 통로를 열기 위해서는 건국서사시를 다시 만들어 노래해야 했다. 민심과 깊이 만나려면 구비전승을 받아들여야 했다. 건국의 내력에 관해 말하는 갖가지 설화를 힘써 받아들이는데 그치지 않고, 건국서사시에 대한 기억이 잠재되어 있는 층위까지 다가갈 필요가 있었다. 거기서 민족문화의 오랜 전통과 만났다. 유교 이념 구현에서 조선왕조 건국 시조들이 중국 고대 제왕들과 합치된다고 한 것이 작품에서 말하고자 한 바이다. 그 작업을 우리말 건국서사시를 창작해서 했다. 그렇게 해서 중세보편주의를 독자적으로 구현하는 창조활동의 좋은 본보기를 보여주었다. |
① <훈민정음> ② <용비어천가> ③ <석보상절> ④ <두시언해>
61.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에 산문의 영역 확대 현상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국문 편지와 제문의 등장 ② 가전체와 몽유록
③ 국문 야담집의 확대와 정리 ④ 골계전의 등장
62. 다음은 어떤 탈놀이에 관한 설명인가?
유씨네에게 매인 하층민이 해마다 한 번씩 별신굿과 함께 탈춤을 되풀이해 굿을 하고 놀이를 벌이는 기간 동안에는 무슨 말이든지 할 수 있는 언론자유를 누렸다. 그렇게 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사회 통제의 효율적인 방법이었다. 고려 때에 시작되었을 지배층 풍자가 조선전기에 이르러 더욱 구체적인 내용을 갖추었다고 생각된다. 양반과 선비라는 인물들이 나와서 지체다툼을 하고, 바보 이매와 경망스러운 하인 초랭이가 말을 거들어 그 광경을 더욱 우스꽝스럽게 만드는 것이 그 구체적인 내용이다. 부네라는 각시가 등장해서 둘이 한바탕 싸우게 하고, 영감과 할미, 각시와 중의 관계를 다룬 대목도 있는 내용도 있다. |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① 하회별신굿탈놀이 ② 강릉관노희 ③ 송파산대놀이 ④ 통영오광대
63.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을 시작하게 된 역사적인 사건은?
①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② 실학파 문인의 등장
③ 훈민정음의 반포 ④ 신흥사대부의 몰락
64. 다음 중 위백규의 <농가구장(農歌九章)>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전란이 끝나고 귀향하여 스스로 농사를 지어야만 하는 가난한 선비의 처지를 노래했다.
② 작품 전편에 한자(漢字)표기를 하지 않은 특징을 지닌다.
③ 전원시조의 결정적인 변모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④ 농민이 실제로 주고받는 말을 방언 그대로 살려서 민요다운 표현을 시도했다.
65.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올바른 것은?
① 전란을 겪으면서 묘사가 아닌 설명에 힘쓰는 새로운 글쓰기의 시도가 처음으로 등장했다.
② 사실을 기록한 국문기록이 한문표현의 방식으로 바뀌는 양상이 두드러졌다.
③ 몽유록은 사대부 남성 위주의 관점에서 벗어나 하급군사나 일반백성 그리고 여자들의 원망을 반영하고자 했으나, 그런 독자층이 즐겨 읽을 수 있는 작품은 아니었다.
④ 가사의 혁신적 성향이 사라지고 복고주의적 성향이 더욱 강화되어 급변하는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고자 했다.
66.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에 있어서 세 가지 구비서사시의 범주에 들지 않는 것은?
① 서사무가 ② 속악가사 ③ 서사민요 ④ 판소리
67. 다음은 중세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 제1기(조선후기)의 문학담당층의 확대에 따른 변모 양상을 설명한 것이다. 올바른 것은?
① 공식적인 가치 서열에 따라 정해진 등급을 기준으로 보면, 판소리 광대는 위항시인이나 전문가객에 비해서 낮은 위치에 있었다.
② 사대부 부녀층은 한문학을 통하여 남성들과 대등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③ 중인은 한시 창작을 통하여 사대부의 정신세계를 적극적으로 계승하려 한 까닭에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작품세계를 개척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했다.
④ 박효관과 안민영은 ‘만횡청류’라고 하는 사설시조도 중요하게 취급하여 하층문학의 대변자 역할을 담당했다.
68.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에서 세태의 묘사와 사회적 갈등을 다룬 가사 작품으로 묶인 것은?
① <난리가>, <농가월령가> ② <한양가>, <거창가>
③ <역대가>, <팔역가> ④ <북천가>, <남초가>
69. 다음 ( ) 안에 들어갈 작품 둘은?
( )과 ( )(은)는 둘 다 구성이 치밀하고 성격묘사나 심리묘사의 방법을 적절하게 갖춘 것이 큰 장점이다. 우아한 문체로 흥미로운 사건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 소설의 격조를 높이면서 독자층 확대에 커다란 기여를 했다. 후대의 소설이 두 작품에서 마련한 전례를 이용하고자 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 ) 계열, ( ) 계열, 그리고 그 둘을 합친 후속 작품이 계속 나와 녹책의 주류를 이루었다. |
① <창선감의록>, <옥루몽> ② <명주보월빙>, <사씨남정기>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③ <구운몽>, <재생연전> ④ <구운몽>, <사씨남정기>
70. 다음은 누구의 어느 글에서 주장한 것인가?
방언을 문자로 옮기고 민요를 운율에 맞추기만 하면 자연히 문장이 이루어지고 진기(眞機)가 발현된다. 답습을 일삼지 않고, 남의 말을 빌려오지 않으면서, 지금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온갖 것들을 표현해낼 수 있다. |
① 정내교의 <청구영언서> ② 이옥의 <이언집서>
③ 박지원의 <영처고서> ④ 이양오의 <제구운몽후>
답안 : 13432 21314 21422 34233 41342 31113 21243
2014년 1학기 기말
36. 다음 중 원시문학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사례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양주 소놀이굿 ② 서귀포본향당본풀이 ③ 황조가 ④ 설문대할망 신화
37. 다음 중 고대문학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는 문학 갈래는?
① 건국신화 ② 향가 ③ 한시 ④ 고승전(高僧傳)
38. 다음 중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기문학의 특징을 간직한 작품은?
① 황조가 ② 제망매가 ③ 향약잡영오수 ④ 처용극
39.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삼국ㆍ남북국시대)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문학작품은?
① 공무도하가 ② 구지가 ③ 설문대할망 신화 ④ 광개토대왕릉비
40.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의 특징을 드러내는 문학현상으로 적절한 것은?
① 소악부에 대한 관심 ② 속악가사의 등장
③ 신화에서 전설의 시대로의 전환 ④ 한문학의 등장
41.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의 문학담당층에 해당하는 것은?
① 군사귀족 ② 신흥사대부 ③ 권문세가 ④ 문벌귀족
42.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의 문학현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경기체가의 등장 ② 기행가사의 등장
③ <동명왕편>과 같은 민족사 재인식의 작품 등장 ④ 가전(假傳)의 창작
43.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의 문학담당층에 해당하는 것은?
① 김부식과 같은 문벌귀족 ② 이규보와 같은 신흥사대부
③ 정도전과 같은 관인문학파 ④ 원천석과 같은 방외인적 성격의 문학 집단
44.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의 문학현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훈민정음의 창제 ② 관인문학의 등장
③ 악장, 경기체가, 가사의 공존 ④ 위항문학의 등장
45.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의 한문학의 주류적 양상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관인문학 ② 사림문학 ③ 실학파문학 ④ 방외인문학
46.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의 문학현상에 해당하는 것은?
① 실학파 문학의 등장 ② 여성한문학의 등장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③ 민족문학론의 활성화 ④ 소설에 관한 본격적인 논쟁
47.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조선후기) 문학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악장의 등장 ② 사람의 일생 서술방법과 가전(假傳)의 등장
③ 세태묘사와 사회적 갈등을 다룬 가사의 등장 ④ 사대부 전문가객의 확대
48.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에 있어서 세 가지 구비서사시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서사무가 ② 기속악부 ③ 판소리 ④ 서사민요
49.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에 있어서 민속극의 양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처용극 ② 무당굿놀이 ③ 도시탈춤 ④ 꼭두각시놀음과 발탈
50. 다음 중 그 설명이 올바른 것은?
① 훈민정음이 창제되면서 국문문학이 한문학을 넘어서 최고의 권위를 차지했다.
② 관인문학은 길재와 원천석이 개척했다.
③ 사림문학은 심성에서 우러나는 소리를 구현하고자 했다.
④ 방외인문학은 정도전이 새롭게 개척했다.
51. 다음 중 방외인문학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원천석에게서 방외인문학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② 도피와 반발의 자취를 드러내었다.
③ 미천한 처지에서 겪는 고난을 드러내었다.
④ 길재와 권근이 방외인문학의 노선을 미리 보여주었다.
52.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의 문학현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몽유록의 창작 ② 삼당시인의 활동
③ 사설시조의 활성화 ④ 국문 편지와 국문 제문(祭文)의 등장
53. 다음 중 사설시조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평시조의 형식을 파괴했다고 하여 파형시조(波型時調)라고도 한다.
② 민요의 자유로운 형식과 내용을 부정적으로 계승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③ 평시조의 짜임새와 격조를 부정적으로 계승했다고 할 수 있다.
④ 사설을 장황하게 늘어놓아 집약된 표현을 흩어버리는 방식을 택했다.
54. 다음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에서 확인되는 시조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① 박효관과 안민영은 시조창이 위축되고 상대적으로 격이 높은 가곡창의 판도가 확대되는 것을 바로잡고자 <가곡원류>를 편찬했다.
② 전원시조의 결정적 변모는 위백규의 <농가구장>에 이르러서 구체화되었다.
③ 이세보의 시조 작품을 통하여 사대부 시조가 창의력이 고갈된 상태에서 종말을 고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④ 윤선도의 시조는 흥취를 드러내는 시조의 경지를 보여주었다.
55.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에서는 문학의 근본문제에 관한 재검토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김득신은 관념의 허위가 만들어낸 가상을 타파하고 감추어져 있는 실상을 밝혀낼 수 있어야만 잘못된 견해를 근저에서부터 바로잡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② 홍대용은 문장은 성정에서 나온다고 이전의 문학관을 거듭 강조함으로써 시대의 변화에 따르는 문학관의 급격한 변화를 막아보려고 시도했다.
③ 이 당시에 아주 파격적인 주장을 거리낌 없이 내놓기 위해서는 만필(漫筆)을 택하는 방식을 취했다.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④ 김정희는 누구나 자유롭게 가지는 개성적인 마음을 성령이라 지칭하고, 그 이상 따지려 들지 않은 점이 위항시인들에게 호감을 주었다.
56. 다음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항기 문학사에서 확인되는 소설의 특징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다. 바르게 지적한 것은?
① 귀족적 영웅소설의 대표적 사례로서 <구운몽>을 들 수 있다.
② <임경업전>, <박씨전>과 같은 창작군담소설이 대거 등장하여 압도적으로 독자의 관심을 끌었다.
③ 귀족적 영웅소설과 민중적 영웅소설의 중간적인 성격을 지닌 모색기의 작품으로 <사씨남정기>를 들 수 있다.
④ 귀족적 영웅소설은 민중의식과 거리가 있었기에 소설의 상업적인 유통에 전혀 기여하지 못했다.
57.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2기(고려전기)의 문학사적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삼국유사>의 편찬으로 격식을 갖춘 공식적인 역사서가 최초로 정착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② 향가의 전통을 계승하지 못하고 단절된 것은 문학 담당층이 진골에서 신흥사대부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③ 왕건은 자신의 출생과 영웅적 행적을 고대신화의 방식을 통해 스스로 신격화함으로써 국가를 건설할 수 있었다.
④ 과거제 실시로 인하여 한문학이 융성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58.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의 문학사적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경기체가, 시조, 가사가 점차 소멸하는 시기였다.
② 악장과 경기체가, 가사가 상층 문학의 주도권을 놓고 경쟁을 벌였다.
③ 경기체가는 반복구가 있는 세 토막 형식인 점이 속악가사와 닮았다.
④ 궁중 연희에 사용되었던 속악가사가 악장에 밀려 사라졌다.
59.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조선후기)의 문학사적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민족의 시련이 이행기 문학사의 중요한 출발점이 되었다.
② 허균, 김만중, 김득신, 최한기, 김정희, 이옥 등에게서 문학의 근본문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③ 한시를 민요에 근접시키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이 시기에 확인된다.
④ 민요와 민요시, 악부시가 이전 시기보다 약화되어 속악가사가 그 역할을 대신했다.
60. 다음 중 중세보편주의를 구현하는 두 가지 핵심적 요소에 해당하는 것끼리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① 불교적 색채의 건국신화와 가전(假傳)의 등장
② 한문학과 불교
③ <향악잡영오수>와 향가(鄕歌)
④ 설화를 바탕으로 한 역사 인식과 역사서의 간행
61. 다음에 제시된 문인들의 공통점은?
(김종직, 김일손, 정여창, 조광조)
①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 사람문학을 하면서 심성의 수양을 강조한 문인들이다.
②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의 한문학 노선 가운데 신분상의 차이가 주된 이유가 되어 방외인문학을 하게 된 문인들이다.
③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의 관인문학 계승자들이다.
④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의 도가문학(道家文學)을 철저하게 추구했던 문인들이다.
62. 다음 중 속악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① 하층문화가 상층문화의 일부로 편입되어 속악정재의 공연방식에 맞게 편재됨으로써 이중적인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② 중국에서 들어온 비공식적 행사에 사용되던 음악이다.
③ 중인층의 핵심적인 문화에서 시작하여 궁중 음악으로 편입된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④ 엄격한 격식과 까다로운 절차에 따라 공연되는 공식적인 행사에 사용되던 궁중 음악이다.
63.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의 문학현상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판소리의 이야기를 수용한 한시(漢詩)가 등장했다.
② 한시(漢詩)를 민요(民謠)화 하는 작업이 활기를 띠었다.
③ 시조(時調)를 한시(漢詩)화 하는 현상이 일어났다.
④ 가사(歌辭)를 한시(漢詩)화 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64.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의 시가문학의 양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규원가>와 같은 여성이 창작한 가사가 등장했다.
② 사대부의 연시조 창작이 전성기를 구가했다.
③ 정철의 가사가 수준 높은 경지를 보여주었다.
④ 호남가단의 풍류정신이 나타났다.
65. 다음은 <삼국유사>의 문학사적 의의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① 고려후기의 시대적 상황을 바탕으로 새로운 역사의식을 깊이 있게 드러내었다.
② 민족문화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자 하는 일연의 생각이 찬술의 동기가 되었다.
③ <삼국사기>가 표방한 유교적 합리주의를 적극적으로 계승하여 설화보다는 역사적 사실을 더욱 중요시했다.
④ 세속의 역사인 <삼국사기>와 불교의 역사인 <해동고승전>을 아울렀다고 하는 평가를 할 수 있다.
66. 다음 내용은 어떤 작품의 의의에 관한 설명인가?
조선왕조는 불교나 민간신앙을 배격하고 등장한 유교국가이다. 사실에 근거를 둔 합리적인 역사 서술을 하는 것을 자랑으로 삼았다. 건국의 내력을 <태조실록>에서 <태종실록>까지에서 자세하게 기록했다. 건국의 내력에 관한 민간의 설화를 많이 모아 실록에 기록해 두었지만 그것은 실록을 열람할 후대인에게나 소용되었다. 당대의 민심과 만나는 통로를 열기 위해서는 건국서사시를 다시 만들어 노래해야 했다. 민심과 깊이 만나려면 구비전승을 받아들여야 했다. 건국의 내력에 관해 말하는 갖가지 설화를 힘써 받아들이는데 그치지 않고, 건국서사시에 대한 기억이 잠재되어 있는 층위까지 다가갈 필요가 있었다. 거기서 민족문화의 오랜 전통과 만났다. 유교 이념 구현에서 조선왕조 건국 시조들이 중국 고대 제왕들과 합치된다고 한 것이 작품에서 말하고자 한 바이다. 그 작업을 우리말 건국서사시를 창작해서 했다. 그렇게 해서 중세보편주의를 독자적으로 구현하는 창조활동의 좋은 본보기를 보여주었다. |
① <동명왕편> ② <석보상절> ③ <용비어천가> ④ <제왕운기>
67. 다음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에서 가사를 설명한 것이다. 올바른 것은?
① 하층 여성들에 의해 창작된 기행가사가 대거 등장하여 여성가사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② 가사를 고정적인 공연종목으로 개발한 가창가사(歌唱歌辭)가 등장하였다.
③ 사대부 집안의 여인의 삶을 고답적인 언어로 표현한 <신가전>과 같은 작품이 대거 등장했다.
④ 농업이나 상업에 관련된 <농가월령가>나 <팔역가> 등의 가사 작품이 소멸되었다.
68.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에 등장한 국문소설과 한문소설의 성격을 잘못 지적한 것은?
① 국문소설이든 한문소설이든 모든 설화 혹은 야담과 깊은 관련을 가졌다.
② 위항인들이 창작한 한문소설은 한정된 소재를 두고 고도의 표현능력을 발휘하는 데에 관심을 가졌다.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③ 한문단편소설은 현실적 경험에 입각한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④ 국문소설은 중국을 무대로 설정하여 상층가문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길게 늘어놓는 관습을 마련했다.
69.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에 있어서 문학담당층의 확대 현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중인들의 한시 창작 ② 여성 기행가사의 등장
③ 중인들의 시조가단 형성 ④ 중인들의 기행가사 창작
70.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에서 확인되는 가사 작품 가운데 기존의 관습을 깨뜨리거나 파탄을 일으킨 것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김진형의 <북천가(北遷歌)> ② 차천로의 <강촌별곡>
③ 작자 미상의 <덴동어미화전가> ④ 작자 미상의 <송여승가(送女僧歌)>
답안 : 31144 K2243 23213 43212 14342 11423 32242
2015년 1학기 기말
36. 다음 중 고대문학 시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금석문의 등장 ② 건국신화, 건국서사시의 시대
③ 전설, 민담의 시대 ④ 향가의 융성
37. 다음 중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기문학 시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금석문의 등장 ② 건국신화, 건국서사시의 시대
③ 전설, 민담 시대로의 전환 ④ 향가의 융성
38. 다음 중 고대문학 시기 영웅서사시의 문학담당층으로 볼 수 있는 계층은?
① 육두품 ② 문벌귀족 ③ 권문세족 ④ 군사귀족
39.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삼국ㆍ남북국시대)의 문학현상에 해당하는 것은?
① 과거제 실시와 한문학의 성숙 ② 죽림고회의 문학
③ 속악가사의 쇠퇴 ④ 향가와 사뇌가의 등장
40.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삼국ㆍ남북국시대)의 대표로 평가받는 현전(現傳) 작품은?
① 동명왕편 ② 삼국유사 ③ 해동고승전 ④ 광개토대왕릉비
41.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삼국ㆍ남북국시대)의 주된 문학담당층에 해당하는 계층은?
① 육두품 ② 성골귀족 ③ 권문세족 ④ 진골귀족
42.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2기(고려전기)의 주된 문학담당층에 해당하는 계층은?
① 지방호족 ② 권문세족 ③ 향리 ④ 문벌귀족
43.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2기(고려전기)의 문학현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소악부의 융성 ② 향가의 지속
③ 과거제 실시와 한문학의 성숙 ④ 『삼국사기』의 편찬
44.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수이전』의 설화문학 집성 ② 한문학의 등장
③ 시조 가단의 형성 ④ 소악부의 창작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45.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의 시작과 관련되는 역사적 사건은?
① 묘청의 난 ② 무신란과 몽골란 ③ 성리학의 도입 ④ 문벌귀족의 등장
46.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 문학사 시기의 특징 가운데 민족사 재인식의 양상을 드러내는 작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동명왕편 ② 삼국유사 ③ 제왕운기 ④ 삼국사기
47. 다음 내용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이것은 우리말 노래 특히 민요에 다가간 한시이다. 중세에 들어서면서 나타난 한시와 우리말 노래의 공존을 고려후기 신흥사대부가 다시 마련해 중세후기문학의 새로운 창조에 크게 기여했다. 민요를 한시에서 근접시키는 방안의 하나로 한편으로는 이것을 창안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말 노래가 한시와 같은 격조를 갖출 수 있게 하는 시조를 만들어냈다. |
① 향가 ② 경기체가 ③ 속악가사 ④ 속악부
48. 다음은 어떤 작품에 대한 설명인가?
이 작품은 몇 사람의 합작이거나 오잠의 작품이라고도 한다. 여자, 상대방 남자, 다른 남자, 여자가 주고받는 말을 다섯줄로 엮어 사건을 전개하고, 그 뒤에 일어난 일까지 말한 수법은 뛰어나다.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하는 짓이 서로 다르지 않다고 하는 세태 묘사가 또한 볼 만하고, 풍자로 이해할 수 있다. |
① 만전춘별사 ② 쌍화점 ③ 정석가 ④ 정읍사
49.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영남가단과 강호가도 ② 호남가단과 풍류정신
③ 훈민정음의 창제 ④ 중국소설의 번역과 번안의 쇠퇴
50. 다음은 경기체가 갈래의 어떤 작품에 대한 설명인가?
이 작품은 문인의 능력을 자랑하는 데서 시작해서 질탕한 놀이를 벌인다고 하는 데까지 나아가는 단계적인 구성을 갖추었다. 이황은 이것이 비록 문인의 입에서 나왔다 하더라도 너무 들떠 있으며 음란하기조차 한 기풍을 지닌 점이 불만이라고 했는데, 그러한 지적은 뒷부분으로 갈수록 더욱 타당하다. 그렇다고 해서 전편이 퇴폐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 오히려 최씨 무신정권에 참여하면서 새롭게 진출한 문인들이 신흥사대부 선구자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득의에 찬 기상을 자랑스럽게 나타냈다고 보는 편이 타당하다. |
① 한림별곡 ② 죽계별곡 ③ 관동별곡 ④ 청산별곡
51.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해동고승전의 창작 ② 불교가사인 <승원가>의 창작
③ 시조 가객집단의 형성 ④ 가전(假傳)의 시작
52.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위항 한시집의 간행 ② 문학담당층의 확대 양상
③ 관념적 설명 방식의 극대화 ④ 구체적 경험 묘사 방식의 확대
53. 다음은 어떤 문학 현상에 관한 설명인가?
심성(心性)을 의인화한 작품군이 나타난 것이 더 큰 변화이다. 사대부의 사고방식이 사물의 의의를 중요시하던 단계를 넘어서서 심성의 원리를 탐구하는 방향으로 바뀌자 고려 때에는 없던 새로운 갈래가 나타났다. 심성의 본체를 의인화해서 왕국의 흥망을 이야기한 것이 그 전형적인 형태이다. |
① 몽유록 계열 ② 천군전(天君傳) 계열 ③ 우화소설 계열 ④ 세태소설 계열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54. 다음 설명과 관련이 있는 향가 작품은?
한시는 설명이지만, 향가는 참여이다. 두 공신이 되살아나 움직이고 말하는 현장의 감격은 한시가 감당하지 못해, 직접 참여하는 향가가 필요했다. 극중 인물인 두 공신, 극중 인물의 모습을 하고 놀면서 극중 인물의 대사를 하는 공연자, 그 광경을 보고 감격하는 관중의 관계를 잘 나타냈다. 극중 인물이 공연자에게 말을 하는 특이한 공연방식까지 생생하게 전했다. |
① 벌곡조 ② 도이장가 ③ 정과정 ④ 만전춘별사
55. 다음 중 방외인 문학과 가장 거리가 먼 사항은?
① 원천석과 김시습의 행적과 작품세계 ② 영남가단과 강호가도
③ 기녀(妓女) 한시 ④ 미천한 처지에서의 고난과 송익필의 작품
56.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 문학사 시기의 한문학의 주된 흐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관인문학 ② 사림문학 ③ 위항문학 ④ 방외인문학
57. 다음 중 위항문학과 거리가 가장 먼 문학론은?
① 재도론(載道論) ② 성령론(性靈論) ③ 천기론(天機論) ④ 신기론(神氣論)
58.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의 양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소설과 관련된 직업의 출현 ② 판소리 광대의 활약
③ 자국어문학의 시작 ④ 한시의 민요 수용
59. 다음은 위백규의 어떤 작품에 대한 설명인가?
그는 스스로 농사를 지은 것은 아니지만, 농촌에서 일생을 보내면서 농민과 거의 같은 처지에서 살아가야 했던 사대부의 절실한 경험을 시조로 나타냈다. 농민의 노래를 시조에다 담고자 한 것도 그런 노력의 하나이다. 작품 전편에서 유식한 한자어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 농민이 실제로 주고받는 말을 방언 그대로 살려서 민요다운 표현을 했다. 설명이나 묘사는 제거하고, 일하는 사람의 노래를 그대로 옮겨 놓았다. |
① 앙가오장 ② 산유화육곡 ③ 농가구장 ④ 탐진농가
60. 다음은 시조 작가 가운데 누구에 관한 설명인가?
호화로운 정원을 꾸며 예사 사대부로서는 바랄 수 없는 풍류를 마음껏 즐기면서 경치ㆍ흥취ㆍ이치 가지 가운데 오직 흥취를 존중해 극도로 세련되게 표현하는 작품세계를 보여주었다. 경치를 통해 이치를 찾는 데는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서 흥취를 최대한 확대시킨 특징이 있다. 마음을 바르게 하는 도리를 찾는다든가 살아가는 괴로움을 토로한다든가 하는 주제의식에서 벗어나, 극도로 세련된 풍류의 세계를 미묘하게 표현하기만 해서 후대에 순수시라고 하는 것과 일치하는 경지에 이르렀다. |
① 이세보 ② 위백규 ③ 윤선도 ④ 이학규
61. 다음 중 소악부(小樂府)의 문학사적 의의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권문세족의 향유물로 상층 귀족문학의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
② 한시이면서도 우리말 노래의 진솔한 사연을 담으려 했기 때문에 주목할 만하다.
③ 장편고시의 형식으로 우리말 노래의 전체 내용을 빠뜨리지 않고 모두 한역하여 창작한 것이다.
④ 한시와 우리말 노래를 접근시키려는 의도와 달리 둘 사이에 차별성이 더욱 부각되어 일찍 소멸되었다.
62. 고려 말과 조선 초에는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되는데, 이 시기의 사회와 문학적 변동 사항을 잘못 서술한 것은?
① 불교를 최고이념으로 삼는 귀족을 대신하여 유학을 내세우는 사대부가 집권층으로 등장한다.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② 신유학 즉 성리학을 체계화해서 논리적 기틀을 마련한다.
③ 지배세력이 훈민(訓民)이라는 이름으로 백성을 교화해야 중세 사회의 질서가 재건되고 유지된다고 판단한다.
④ 문학사적 관점에서 보면, 고려 전기와 후기 사이에는 동질성이 보이고,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 사이에는 이질성이 두드러진다.
63.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에 있어서 문학담당층의 확대 현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중인들의 한시 창작 ② 중인들의 시조가단 형성
③ 사대부 여성의 유배가사 창작 ④ 사대부 여성의 기행가사의 등장
64. 다음은 누구의 어떤 글에서 주장한 것인가?
말이 입에서 나와 글을 이루는 중국 사람의 공부는 그 고유한 것을 바탕 삼아 나아가므로 정신을 많이 허비하지는 않는다. 세상에서 우뚝한 재주를 앉아서도 발휘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 동방 사람은 말이 중국과 다르므로, 타고난 재주가 밝고 예리하지 않다면 천백 배나 노력해도 공부하는 바가 어찌 성공을 거둘 수 있겠는가? 다만 일심지묘(一心之妙)는 천지사방에서 털끝만큼도 차이가 없으니, 득의한 작품에 있어서야 어찌 스스로를 낮추어서 그네들에게 많이 양보하겠는가? |
① 최해의 <동인문서(東人文序)> ② 이인로의 <파한집>
③ 서거정의 <동문선> ④ 최자의 <보한집>
65. 다음 내용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이것은 가창가사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잡가 또한 직업적인 소리패가 부르며 흥행을 하던 공연종목인데, 소리패의 지체가 한 등급 낮고 음악이 민속악이라고 해서 따로 구분했다. 이것의 명칭에는 천하게 여기는 뜻이 나타나 있다. 이것은 가창가사와 함께 가사의 변형에 속하면서 가사를 해체하면서 등장한 독자적인 갈래이기도 한 양면성을 지녔다. 서사적 성향이 애정가사나 가창가사에서보다 더욱 두드러진 것이 문학적인 특징이다. 이것의 대부분은 판소리에서 가져왔다. <소춘향가>(小春香歌)와 <십장가>(十杖歌)는 <춘향가>의 한 대목이고, <적벽가>(赤壁歌)는 같은 이름의 판소리에서, <제비가>는 <흥부가>에서 따왔다. |
① 사설시조 ② 소악부 ③ 기속악부 ④ 잡가
66.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에서 중인들의 문학 행위 가운데 상업적 이윤창출과 거리가 먼 것은?
① 탈놀이 ② 잡가 ③ 판소리 ④ 위항한시
67.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에서 확인되는 구비서사시의 세 가지 양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영사악부 ② 서사민요 ③ 서사무가 ④ 판소리
68. 다음 중 경기체가를 창작하고 향유한 주된 계층은?
① 친원세력과 결탁한 권문세족
② 조정에서 벼슬을 하고 문학의 재능을 발휘하는 선비
③ 고향에 은거하며 심성을 수양하던 향반(鄕班)
④ 경제적 토대를 기반으로 성장한 향리
69. 다음은 어떤 작품에 대한 설명인가?
이것의 속편이라고 할 수 있는 작품 또한 국문으로 기록되어 있어, 광해군에서 인조로 정권이 교체된 사건에 국문본 독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인목대비 친정 쪽의 후손이 짓고 부녀자들 사이에서 읽히지 않았던가 싶은 이 기록은 사실 자체의 기록에서는 더 멀어진 대신에 짜임새를 더 잘 갖추었다. |
① 산성일기 ② 인현왕후전 ③ 계축일기 ④ 한중만록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7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작품은?
‘악부’와 ‘야담’(野談)은 명칭이 전혀 다르지만 상통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민간전승을 한문 창작에서 받아들여 노래 작품을 만든 것이 ‘악부’이고, 이야기를 한 것이 ‘야담’이다. 그 둘 다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에 대거 나타나 실체가 뚜렷해졌으므로 명칭이 필요했다. ‘악부’는 중국에서 가져온 것을 썼지만, ‘야담’이라는 말은 당대의 한국에서 만들어냈다. 용어의 소종래로 그렇게까지 달라고 지칭하는 대상은 짝을 이룬다. 민간전승을 대폭 수용해 한문학이 민족문학으로 적극적인 구실을 하도록 하는 과업을 함께 수행하면서 노래와 이야기인 점이 서로 다를 따름이다. |
① 금오신화 ② 열하일기 ③ 기재기이 ④ 동야휘집
답안 : 23444 141A2 44241 33222 31333 24314 41234(복수답안 A: 1,2)
2016년 1학기 기말
36. 다음 중 원시문학의 특징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수렵민의 신앙서사시 ② 암각화의 동물 그림
③ 거대한 여신의 소멸 ④ 노동요의 등장
37. 다음 중 고대문학의 특징과 관련 있는 것은?
① 불교의 전래 ② 한문 사용의 보편화
③ 금석문의 활발한 제작 ④ 건국신화
38. 다음 중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기문학 시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전설‧민담 시대로의 전환 ② 발해문학의 융성
③ 소악부의 출현 ④ 패관문학의 융성
39. 다음 작품들은 어느 시기 문학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가?
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 광개토대왕릉비문, 향악잡영오수 |
① 원시문학 ②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기 문학
③ 고대문학 ④ 중세전기문학 제1기
40.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기속악부의 창작 ② 한시의 창작
③ 몽유록의 창작 ④ <삼국사기>의 저술
41.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2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과거제 실시와 한문학의 성숙 ② 속악가사의 등장
③ <해동고승전>의 창작 ④ 연시조의 등장
42. 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2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사뇌가의 등장과 융성 ② 민요시의 활발한 창작
③ 문학담당층으로서의 문벌귀족 형성 ④ 경기체가의 융성
43.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의 문학현상과 관련이 있는 것은?
① 문학담당층으로서의 문벌귀족의 융성 ② 위항문학의 성장
③ 문학론으로서의 천기론의 확대 ④ 경기체가의 등장
44. 다음은 어떤 작품에 대한 설명인가?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열전에는 지배질서와 어긋나는 내용이 적지 않게 들어가 있으며, 설화를 소재로 한 작품이 큰 구실을 한다. 인물의 행적을 실제로 다룬 데서는 겉으로 표방한 주장과는 다른 이면적인 주제가 발견된다. 문장도 격식과 품위를 유지하기만 하지 않고, 미천한 인물이 나날이 겪는 세상살이까지 박진감 있게 묘사해서 실감을 자아낸다. |
① <용비어천가> ② <동명왕편> ③ <삼국사기> ④ <제왕운기>
45.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문학담당층으로서의 사대부의 몰락 ② 삼당시인의 등장
③ 사설시조의 융성 ④ 민족사의 재인식과 <동명왕편>의 창작
46.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민족문학론의 융성 ② 위항시인들의 조직화
③ 국문시가 한역 작업 ④ 불교의 이치를 전하기 위한 가사의 창작
47.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의 작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삼국유사> ② <안락국전> ③ <백운거사전> ④ <국순전>
48.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이것은 궁중에서 잔치를 하고 노는 자리에서 구경하던 공연물이다. 그런데 이것은 우아한 기풍과는 대조가 되게 상스럽거나 음란하고, 하층의 생활감정을 그대로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상당수는 조선시대에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로 지칭되어 배격의 대상이 되었다. 그렇지 않은 것들이라도 궁중에서 부르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것은 장 또는 연이 나누어져 있고 여음이 개재된 형식이 대부분이다. 한 줄을 이르는 토막 수는 세 토막이 흔하다. |
① <속악가사> ② <당악정재> ③ <악부시> ④ <사뇌가>
49. 다음은 어떤 작품에 관한 설명인가?
이것을 지어 부른 사람은 금의에게 뽑혀서 과거에 급제하고, 당대 명사들과 함께 노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문인이었을 것이다. 그 뒤 장마다 다른 사람이 지어 불러 돌림노래를 만들었다고 생각된다. 여덟 사람이 한 장씩 지어 모두 8장이 되었다고 본다. 이것은 문인의 능력을 자랑하는 데서 시작해서 질탕한 놀이를 벌인다고 하는 데까지 나아가는 단계적인 구성을 갖추었다. 이황은 이것이 비록 문인의 입에서 나왔다 하더라도 너무 들떠 있으며 음란하기조차 한 기풍을 지닌 점이 불만이라고 했다. |
① <죽계별곡> ② <한림별곡> ③ <동동지희> ④ <쌍화점>
50.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위항 한시집의 간행과 사대부 한시의 쇠퇴 ② 소악부의 최초 출현
③ <훈민정음>의 창제와 국문문학의 시작 ④ 방각본소설의 유통
51. 다음은 어떤 문학현상을 설명하는 것인가?
ㆍ강복중(姜復中, 1563~1639)은 시골에 묻혀 일생을 보낸 선비이면서도 시국의 움직임에 대한 직접적인 관심을 시조를 써서 나타냈다.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계해반정가>(癸亥反正歌) 6수를 지어 거사를 찬양했다. ㆍ위백규는 <농가구장>에서 유식한 한자어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 농민이 실제로 주고받는 말을 방언 그대로 살려서 민요다운 표현을 했다. 설명이나 묘사는 제거하고, 일하는 사람의 노래를 그대로 옮겨 놓았다. |
① 사대부 시조의 전통 계승 ② 사대부 시조의 변이 양상
③ 사대부 가사의 변이 양상 ④ 사대부 가사의 전통 계승
52. 다음은 어떤 작품에 관한 설명인가?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건국이 민심에 받들어 이루어진 내력을 노래로 만들어 불러야 당대의 조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확신과 사명감을 가질 수 있었다. 그 노래를 불러 민심을 감화시키는 훈민에 힘쓰는 것이 또한 긴요한 과제였다. 이것을 노래로 부를 때 곡명은 <여민락>(與民樂)이라고 했다. 감화가 백성에게까지 미쳐 함께 즐기게 될 것을 기약해서 붙인 이름이다. |
① <월인천강지곡> ② <용비어천가> ③ <동명왕편> ④ <제왕운기>
53. 다음은 어떤 문학현상에 관한 설명인가?
이황은 말안장 모양을 하고 있는 바위 이름을 따서 한시의 제목을 <반타석>(盤陀石)이라고 했다. 흐르는 물과 멈추어선 바위의 관계를 묘사하면서 험난한 세태에 휩쓸리지 않는 의연한 자세를 다짐하고, 세태에 따라 숨기도 하고 나타나기도 하지만 마음의 바른 도리는 변할 수 없다고 했다. 변하는 ‘기’가 부동한 ‘이’를 가릴 수는 있어도 넘어뜨릴 수는 없다고 했다. |
① 방외인 문학의 한시 ② 심성에서 우러나는 소리를 담아내는 사림문학
③ 왕조사업의 표리를 이루는 관인문학 ④ 풍류정신을 드러낸 호남가단의 경향
54.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방외인문학의 소멸 ② 시조 전문가객과 가단의 활약
③ 잡가의 등장 ④ 가전체와 몽유록의 창작
55. 다음은 어떤 문학현상에 관한 설명인가?
정희량은 자취를 감추기 전에 지었던 시문에서 방황하고 반발하는 심정을 짙게 나타냈다. 평생 동안 시에 힘썼다고 하지만 자기 마음을 가다듬지 않고 함부로 쏟아놓은 사연이라 스스로 광가(狂歌)라고 일컬었다. 문집이 전하고, <속동문선>에 실린 작품만 해도 열 편이나 되어 상당한 평가를 받았다 하겠으나, 임금을 무시하고 윤리를 어지럽히며 세상을 희롱하면서 공손하지 않게 굴었다는 윤리적인 지탄을 면하지 못했다. |
① 관인문학의 비판적 경향 ② 사림문학의 도피적 경향
③ 방외인문학의 도피와 반발의 자취 ④ 위항 한시의 현실인식
56. 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의 시작과 깊은 관련이 있는 역사적 사건은?
①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② 과거제의 실시
③ 서경천도 운동 ④ 무신란과 몽고란
57. 다음은 어떤 문학갈래에 관한 설명인가?
이것은 우리말 노래 특히 민요에 다가간 한시이다. 유행하던 우리말 노래를 한시로 옮긴 것을 중국의 용어를 가져와 사용하고 칠언절구의 짧은 형식을 택했다. 중세에 들어서면서 나타난 한시와 우리말 노래의 공존을 고려후기 신흥사대부가 다시 마련해 중세후기문학의 새로운 창조에 크게 기여했다. 그 둘을 한시에서 근접시키는 방안의 하나로 한편으로는 이것을 창안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말 노래가 한시와 같은 격조를 갖출 수 있게 하는 시조를 만들어냈다. |
① 소악부 ② 속악가사 ③ 악장 ④ 당악정재
58. 다음은 어떤 작품에 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작품으로 올바른 것은?
( )와/과 ( )은/는 둘 다 구성이 치밀하고 성격묘사나 심리묘사의 방법을 적절하게 갖춘 것이 큰 장점이다. 우아한 문체로 흥미로운 사건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 소설의 격조를 높이면서 독자층 확대에 커다란 기여를 했다. 후대의 소설이 두 작품에서 마련한 전례를 이용하고자 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 ) 계열, ( ) 계열, 그리고 그 둘을 합친 후속 작품이 계속 나와 녹책의 주류를 이루었다. |
① 구운몽-사씨남정기 ② 홍길동전-유충렬전
③ 창선감의록-금오신화 ④ 완월회맹연-기재기이
59. 다음 중 위항시인들의 한시 창작과 가장 깊은 관련이 있는 것은?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① 천기론(天機論) ② 성정론(性情論) ③ 재도지기론(載道之器論) ④ 용사론(用事論)
60. 다음 내용은 어떤 문학작품과 관련이 있는가?
시조는 말로만 전하다가 없어지고 말 것이 아니라고 하고, 명공석사(名公碩士), 여정규수(閭井閨秀), 무명씨 등의 작품을 모두 모아놓아야 한다고 했다. 위항시정의 음란한 말과 외설스러운 사설을 나타내는 만횡청류(蔓橫淸流)라고 한 사설시조도 버리지 말고 함께 돌보아야 한다고 했다. |
① <가곡원류> ② <청구영언> ③ <소대풍요> ④ <풍요속선>
61.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소설과 관련된 직업의 출현 ② 소학지희의 시작
③ 가전(家傳)의 시작 ④ 소악부의 소멸
62. 다음 중 악장, 경기체가, 가사, 시조의 관계 양상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이 넷 가운데 음악적 비중이 가장 큰 것은 악장이었다.
② 악장은 공적이기만 한 문학이었다.
③ 경기체가는 공적인 문학과 사적인 문학으로서의 성격을 나누어 가졌다.
④ 가사는 시조와 더불어 공적인 문학과 사적인 문학의 성격을 공유했다.
63. 다음은 어떤 문학현상과 관련되는 작품들인가?
박사형의 <남초가>, 홍계영의 <희설>, 구강의 <북새곡>, 민우룡의 <금루사> |
① 소악부의 변모 양상 ② 사대부가사의 전통 계승 양상
③ 사대부가사의 변모 양상 ④ 사대부 연시조의 변모 양상
64. 다음은 어떤 가사 작품에 관한 설명인가?
조선왕조의 왕도가 장사꾼의 도시로 바뀌어 전에 없던 활기를 띠게 된 변화를 선명하게 나타낸 내용이어서, 조선 초기 건국공신들이 왕조의 번영을 기원하면서 한양을 칭송한 일련의 노래와 좋은 대조를 이룬다. 15세기의 <화산별곡>(華山別曲)과 19세기의 이 작품을 비교해보면, 조선왕조사의 서두와 결말에 자리 잡은 사대부문학과 시민문학의 차이가 선명하게 드러난다. |
① <금릉별곡> ② <한양가> ③ <유산가> ④ <북천가>
65. 다음과 같은 문학론을 전개한 사람은?
가치의 등급에 따라 상하의 서열이 정해져 있다는 것들이 입각점을 바꾸면 안팎이 반대가 된다고 했다. 천지(天地)라고 한 하늘과 땅, 인물(人物)이라고 한 사람과 사람 이외의 것들, 성정(性情)이라고 하는 마음의 바탕과 작용, 화이(華夷)라고 하는 문명권의 중심과 주변, 시가(詩歌)라고 한 한시와 우리말 노래, 귀천(貴賤)이라고 하는 신분이 모두 내외의 관계를 가진다고 했다. 뒤에 쓴 말도 안일 수 있어 앞에 쓴 말을 밖으로 삼는다고 했다. |
① 정내교 ② 박지원 ③ 홍대용 ④ 김천택
66. 다음은 정약용의 한시이다. ( )에 공통으로 들어갈 용어로 적절한 것은?
興到卽運意 흥이 나면 뜻을 움직이고, 運到卽寫之 뜻이 나타나자 바로 쓴다. 我是朝鮮人 나는 조선 사람이어서 甘作( ) ( )를 즐겨 짓는다. |
① 악부체(樂府体) ② 연시조 ③ 가사체(歌辭体) ④ 조선시(朝鮮詩)
67. 다음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 시기의 소설 유통에 관한 설명이다. 올바른 것은?
① 서울, 전주, 안성에서 펴낸 방각본이 전국에 퍼져나갔으며 19세기 후반에 출판 종수가 가장 많이 늘어났다.
② 소설의 주된 작가층은 글재주가 있는 상인, 천민들이었다.
국문학의 역사 기출문제-기말시험(2012~2016) / 편집-능소니
③ 세책가는 남성을 고객으로 해서 영업하고 단편소설을 많이 확보해야 이익을 많이 얻을 수 있었다.
④ 사대부소설과 시민소설은 취향이 서로 달라 대립할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독자층이 엄격하게 구분되었다.
68.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 시기에서 세 가지 구비서사시의 갈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십이가사 ② 서사무가 ③ 판소리 ④ 서사민요
69. 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 시기의 민속극의 양상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떠돌이탈춤의 존재 ② 도시탈춤의 형성
③ 꼭두각시놀음의 존재 ④ 무당굿놀이의 양반좌상객 후원
70. 다음은 중세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 제1기(조선후기)의 문학담당층의 확대에 따른 변모 양상을 설명한 것이다. 올바른 것은?
① 공식적인 가치 서열에 따라 정해진 등급을 기준으로 보면, 판소리 광대는 위항시인이나 전문가객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었다.
② 사대부 부녀층은 한문학을 통하여 남성들과 대등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③ 중인은 한시 창작을 통하여 사대부의 정신세계를 적극적으로 계승하려 한 까닭에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작품세계를 개척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했다.
④ 판소리광대는 천민에서 국왕에까지 이르는 넓은 범위의 수용층과 관련을 가지고 다양한 관심사와 주장을 한 자리에 놓고 논란을 벌였다.
답안 : 34142 13434 42123 22243 41112 14323 41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