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소래소 원문보기 글쓴이: 소래소
겨울을 기점으로 잡아보자
(1) 전지(가지치기) 후 전지목을 줍는다.
(2) 퇴비를 살포한다.
(3) 부란병(나무가 말라가는 병)을 치료해준다. 농약 명 : 네오아소진(잎짓무늬 마름병)
(4) 비료를 살포하고 응애(벌레)약을 살포한다.
(5) 꽃눈이 형성되면 꽃눈이 충실하도록 영양제를 살포하고 2차 부란병을 치료한다.
(6) 꽃이 질 무렵 병충해 방제를 한다.
(7) 꽃 접과를 하기도하고 좀 기다렸다가 사과 알이 굵은 뒤 솎아내기를 한다.
(8) 충실한 것 하나씩 남겨두고 다 따낸다.
(9) 2차 추비 비료를 살짝 살포하면 된다.
(10)두불 적과를 시작하는 동시에 도장지를 제거한다.
(11) 그다음은 병해충 방제를 계속한다.
부란병(腐爛病) Canker
증 상
주간이나 가지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수피가 갈색으로 변색되어 부풀어 오르고 쉽게 벗겨지며 알콜냄새가 난다. 병환부가 건조하면 수분을 상실, 함목되면 그 표면에 융기된 거칠은 작은 반점이 형성된다. 작은 가지에는 봄에 발 생, 여름철의 고온기에 말라죽는데, 겹무늬썩음병의 병징과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 융기된 부분을 칼로 잘라보면 흑색으로 나타난다. 4-5월경 병반상에 노란 실모양의 포자각이 누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병원체 : Valsa Ceratosperma
진균계의 자낭균문에 속하며, 자낭포자, 병포자, 자좌를 형성한다. 자좌는 흑색의 작은 점으로 표피 밑에 생기고 비온 후 병자각에서는 황색의 많은 병포자가 누출되는데 병포자의 모양은 신장형으로 무색 단세포이다.
병포자가 너무 작어 100배의 크기에서도 뚜렷한 모양을 관찰할 수 없다.
병포자는 물에서는 발아가 어렵고 사고나무 조직에 함유된 특정 물질이 있어야 한다. 병원균의 발육온도는 5-38도이며, 최적온도는 28-30도이다.
발병조건 및 전염경로
병자각 및 자낭각 형태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되며, 병자각에서 분출된 병원균은 전정상구, 밀선, 동상해 부위 등으로 침입하여 감염되며, 발병은 상당히 오랜 시간 소요된다.
일단 발병하면 빠른 속도로 진전되는데 특히 봄에서 초겨울까지가 가장 빠르게 진전되고, 무더운 여름에는 일단 정지한 다음 가을이 되면 다시 진전된다.
침입력은 매우 약하여 정상적인 기주표피를 뚫고 들어가지 못한다.
방 제
- 이병지는 일찍 제거 소각한다.
- 전지 전정시 가급적 상처를 적게 하여주고, 전정상구는 도포제를 바른다.
- 일소를 방지하고 동해를 입지 않도록 한다.
- 이병지를 자른 전정가위에 병원균이 묻어 다른 정상 주에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휴면기 약제 살포를 철저히 한다.
- 생육기 다른 약제 살포 때 주간과 가지에도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살포한다.
- 이병지는 잘라 내거나 깎아내고, 상처부위에 도포제를 바른다.
뿌리혹병 Crown gall
증 상
묘목에 발생이 많으나 때로는 성목에서도 걸린다. 나무 지제부에서 뿌리가 나는 부분에 적거나 큰 혹이 형성된다. 처음에는 적은 혹이 생기면 표면의 색도 연한 후에 농갈색으로 크게 되고 코르크화 된다. 혹이 형성되면 지상부의 생육은 나빠지고 심하면 죽게 된다.
병원체 : Agrobacterium tumefaciens
세균의 일종으로 단간상이며, 1-3개의 단극모의 편모를 갖는다. 그램음성균으로 비항산성, 호기성이며 14-40도에서 생육하며 적온은 22도이다.
10도이하 및 35도이상에서는 생육하지 않는다. 사멸온도는 51도, pH 5.7-9.2에서 생육하며 최저 생육 pH는 7.3이다.
발병조건 및 전염경로
토양중에 생존하는 병원균이 전염원이 된다. 병원균은 토양중에서 10년이상 생존이 가능하고, 상처부위를 통하여 감염한다. 뿌리부분의 접목에 의한 상처, 심을 때의 상처, 곤충류의 침해부위 등이 침입처가 된다. 유묘기의 묘포에서 감염되는 일이 많다.
방 제
- 건전묘를 선정하고, 접목부위를 뿌리부분에서 되도록 위의 지상부쪽에 하도록 한다.
- 뿌리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주의를 요한다.
- 현재 농약에 의한 방제방법은 없다.
겹무늬썩음병(輪紋病) White rot
증 상
과실, 가지에 주로 발생한다. 과실에는 처음 황갈색의 작은 반점이 생기고 점차 확대되어 윤문상의 큰 병반이 형성되며, 심하면 물이 흐르고 과일전체가 부패, 낙과한다. 때로는 흑갈색 또는 황갈색의 소형 반점이 형성되고 병반주위에 적색의 테를 형성하는데, 이런 병반은 진전이 매우 느리다.
탄저병의 병징과 매우 유사한데, 겹무늬썩음병은 병징 중앙에 까만 소흑점(병자각)이 생기고, 함몰되지 않으며, 과일속 깊숙히 썩은 것이 탄저병과 다르다.
가지에서는 사마귀증상과 동부증상의 두가지 형태로 나타 나는데, 사마귀조피증상의 피해가 매우 크다. 주로 주간(원줄기)과 굵은 가지에서 많이 나타나며 잎에서는 발생이 거의 없다.
살균제를 살포하지 않을 경우 과일에서 100%에 가까운 발병율을 나타낸다.
병원체 : Botryospharia dothidea
진균계의 자낭균문에 속하며, 자낭각과 병자각을 형성한다. 자낭각은 자좌속에 2∼4개씩 들어 있으며, 병자각은 단독 또는 군생한다.
자낭포자, 분생포자 모두 무색 단세포로 되어 있으며, 타원형으로 분생포자가 자낭포자보다 길이는 길고 폭은 좁다. 병원균중 사마귀조피 증상을 일으키는 균과 줄기썩음 증상을 이르키는 균으로 분화되어 있다.
병원균의 발육온도는 10∼35。C이며, 발육최적온도는 27。C 정도이다.
발병조건 및 전염경로
병원균은 병자각 또는 자낭각 형태로 사마귀조피증상이나 동부증상에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되며, 6월초, 중순 강우가 계속되어 알맞은 환경이 주어지면 포자가 분출 비바람에 의해 전파된다.
과일로 전파된 병원균은 과점을 통하여 침입, 감염되어 있다가 8월초, 중순경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9월경 피해가 가장 크다.
가지에는 피목이나 상처를 통하여 5∼8월에 감염되며, 9∼10월에 많이 발병 된다. 우리나라 사과재배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병으로 알려져 있다.
방 제
- 월동기에 사마귀조피증상을 제거해 주고, 동해를 받지 않도록 비배관리에 주의한다.
- 발병이 심한 포장은 봉지씌우기를 하면 매우 효과적이다.
- 전정한 나무가지는 과수원주위에 방치하지 말고 소각한다.
- 6월 중순부터 적용약제를 집중적으로 살포하여 병원균의 감염을 막는다.
- 동계방제를 철저히 한다.
- 생육기중 약제 살포시 수간과 주간이 충분히 묻도록 살포한다.
탄저병(炭疽病) Bitter rot, Anthracnose
증 상
주로 과실에 발생한다. 과실의 표면에 갈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되고, 후에 확대되면서 병반 중앙부가 약간 움푹 들어 간다. 병반 중앙부에서부터 동심윤문의 흑색 포자층이 밀생하며, 고온다습할 경우에는 병반에서 담홍색의 분생포자 덩어리가 형성된다.
병원체 : Glomerella cingulata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진균계의 자낭균문에 속하며, 자낭포자와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자낭각은 흑색, 구형 내지 서양배 모양이고, 자낭은 곤봉형 내지 관상형이며, 이중막으로 되어 있다.
자낭포자는 자낭안에서 8개씩 형성되고, 무색, 단세포이며, 약간 굽은 타원형 혹은 방추형이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세포, 타원형 내지 장타원형이며, 양끝이 둥글거나 한쪽끝이 약간 좁고, 모난 형태이다.
이 균의 생육온도 범위는 5∼35도, 생육적은은 26∼28도이다.
발병조건 및 전염경로
자낭각과 균사의 형태로 병든 부위에서 월동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분생포자는 강우가 많은 7∼8월에 빗물에 튀어 전반되는 일이 많으며, 곤충이나 조류에 의해 분생포자가 전반되기도 한다.
과실의 성숙기 및 저장중에 많이 발생하며, 비가 자주 오는 8∼9월에 심하게 발생한다.
방 제
- 병발생이 심한 과수원에서는 과실을 봉지에 씌워 재배한다.
- 병발생 초기에 고시약제를 살포한다.
점무늬낙엽병(斑點落葉病) Alternaria leaf spot
증 상
잎, 과실, 가지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적갈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되어 점차 진전되면서 중앙부는 회백색으로 변하고, 주위는 적갈색의 테무늬를 형성하나 오래되면 전병반이 회갈색으로 변한다.
이병성 품종의 병든 잎은 일찍 떨어지는 반면에 저항성 품종의 병든 잎은 일찍 떨어지지는 않는다. 병이 진전되면 병반과 병반이 융합하여 불규칙한 병반을 형성하는 수도 있으나, 대체로 5mm이내의 원형병반을 형성한다.
과실에서는 과점을 중심으로 갈색반점으로 나타나고, 품종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 병반주위가 적색으로 변한다. 가지에서는 피목을 중심으로 원형병반이 형성되어 갈색으로 변하고, 약간 움푹 들어간 형태로 나타난다.
병원체 : Alternaria alternata f. sp. mali
진균계의 불완전균에 속하며, 분생자경과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분생포자는 분생자경 위에서 보통 5∼13개의 연쇄상으로 형성되며, 암갈색, 곤봉형이고, 1∼7개의 횡격막과 1∼5개의 종격막을 가지고 있다.
발병조건 및 전염경로
병원균은 줄기의 피목 월동눈, 병든 가지와 잎, 조피증상 등에서 균사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월동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보통 4월부터 분생포자가 비산하여 잎에 감염되기 시작하는데, 발병은 주로 5월부터 시작된다. 병발생은 강우가 많고, 습도가 높은 7∼8월에 가장 심하다.
방 제
- 병든 낙엽은 모아서 불에 태운다.
- 병든 가지는 일찍 제거한다.
- 발병 초기에 등록약제를 살포한다.
자주날개무늬병(紫紋羽病) Violet root rot
증 상
초기에는 뿌리표면에 적자색의 균사체가 자라 엉키고, 후에 균사속이 층을 형성하여 뿌리 전체를 둘러싸면서 자주색의 날개무늬로 나타난다.
병이 진전되면 땅가부분의 줄기까지 자색의 균사체가 자라고, 지상부는 수세가 약해져 시들다가 후에 말라죽는다.
병원체 : Helicobasidium mompa
진균계의 담자균문에 속하며, 담자기와 담자포자, 균핵을 형성한다. 담자포자는 담자기 위에서 형성되고, 무색, 단세포, 계란모양으로 정단은 둥글고, 기부는 뾰족하다.
균핵은 병반의 균사속 위에서 형성되는데 적자색이며, 구형이다.
발병조건 및 전염경로
병원균은 토양속의 뿌리 잔재 및 줄기에서 균사와 균핵의 형태로 월동후, 균사에 의해 사과나무를 침해하며, 담자포자에 의하여 병이 전염되는 일은 매우 희박하다.
미분해된 유기물이 많은 토양에서는 병원균이 오래 생존할 수 있으며, 균핵은 내구성이 매우 강하다. 이 균은 기주범위가 매우 넓어 화본과를 제외한 많은 작물을 침해한다.
방 제
- 감염 초기에는 병든 부위를 칼로 잘라내고, 캪타수화제 등의 사과나무에 고시되어 있는 살균제를 처리 한다.
- 심하게 병든 그루는 뽑아내어 불에 태워버리고, 뽑아낸 자리는 토양소독을 실시한다.
흰날개무늬병(白紋羽病) White root rot
증 상
피해 나무의 뿌리에 백색의 흰균사가 얽히고, 수피속의 형성층에도 얇은 균사층이 형성된다. 병든나무는 쇠약해져 잎이 황변하고 낙엽되며, 나뭇가지는 끝에서부터 점차 아래쪽으로 말라 들어간다.
병원체 : Rosellinia necatrix
진균계의 자낭균문에 속하며, 자낭포자와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자연상태에서 자낭포자는 잘 형성되지 않아 발견이 어려우며, 분생포자는 타원형내지 난형으로 무색, 단세포이다.
생육 온도범위는 10-35도이며, 최적온도는 20-25도이다.
이 병원균은 사과, 배, 복숭아, 당근, 감자, 옥수수, 고구마 등 43과 63속 170여종의 작물에 기생한다.
발병조건 및 전염경로
배수가 잘되고 수분이 충분한 토양에서 잘 발생하며, 유기물을 많이 시용하면 유기물에서 병원균이 증식되어 밀도가 높아진다.
토양병해로서 항상 토양속에 존재하며, 나무가 쇠약해지면 침입한다.
강전정, 과다한 결실, 과도한 건조를 패해야 하며, 전정가지를 잘게 부숴 유기물로 시용하는 것은 병발생을 증가시킨다.
방 제
- 피해가 심한 그로는 제거, 소각한다.
- 강전정을 피하고 균형시비를 하여 수세관리를 철저히 한다.
- 대목 또는 묘목을 기접하여 빠른 수세회복을 꾀한다.
- 관배수 관리를 철저히 하여 급격한 수분의 변화를 막는다.
- 뿌리를 노출시킨 다음, 병든 뿌리를 제거하고 약제를 살포한다 복토 흙에는 약액을 충분히 살포해야 한다.
- 재발생 유무를 확인, 재발시 다시 치료를 해야 한다.
붉은별무늬병(赤星病) Rust
증 상
주로 잎에 발생하나 과실, 신소에서도 발생한다. 5월하순부터 등황색의 선명한 작은 반점이 생기고, 점차 진전되면서 두터워지고 부풀며, 여름이 되면 잎뒷면에 수술모양의 모상체(녹포자기)가 생긴다.
발병이 심할때에는 한잎에 수십개의 병무늬가 생기고 병든잎은 조기 낙엽된다.
과일의 병반은 잎의 병반보다 크며, 녹갈색을 나타내고 주변은 짙은 녹색을 나타낸다. 첫가지의 병반은 두텁고 타원형이며, 가을에는 병든부위의 끝이 말라죽는다.
병원체 : Gymnosporangium yamadae
진균계의 담자균문에 속하며, 향나무와 이종기생(기주교대)을 하는 균이다. 사과나무에서는 정자와 수포자를 형성하고, 향나무에서는 동포자와(겨울포자) 소생자를 형성한다.
향나무에 생긴 동포자퇴의 혹은 2∼3년간 전염력을 가지며, 발아적온은 16∼27。C, 24。C에서는 소생자가 잘 형성되지 않는다.
발병조건 및 전염경로
4월말부터 5월사이 향나무에 형성된 동포자 덩어리가 부풀고 발아하여 전균사와 소생자를 형성한다. 소생자는 바람에 날려 다시 향나무에 옮겨진 다음 비늘잎 속에서 겨울을 지낸다.
이른봄 향나무를 침해하며, 그대로 다시 월동을 한 다음(2년째) 동포자와 소생자를 형성하고, 4∼5월 소생자가 바람에 비산 사과나무에 전파된다.
이 병원균은 향나무에서 21개월, 사과나무에서 3개월로 2년 주기의 생활환을 가지고 있다. 소생자의 비산 거리는 1km이상이다.
방 제
- 사과나무 주변 1km이내 향나무 식재를 금지한다.
- 중간기주(향나무)가 없으면 이병은 발생하지 않는다.
- 4∼5월 비오기 직전 직후 약제를 살포하면 매우 효과적이다. 비가오지 않으면 소생자의 비산이 불가능하며 병이 발생하지 않는다.
- 향나무에도 약제를 살포하여 소생자가 사과나무로 날아가지 못하도록 한다.
검은별무늬병(赤星病) Scab
증 상
잎, 가지, 과실에 발생한다. 잎에는 처음 갈색내지 부풀어 오른 것 같은 녹갈색의 반점이 생기고, 진전되면 잎 앞면이 부풀어 오르며, 그 뒷면에는 흑갈색의 포자가 형성된다.
과실에는 처음 작은 흑색 반점이 나타나 과실의 비대와 함께 병반이 확대되어 균열이 생기고 흑색의 포자가 밀생한다. 심하면 잎자루, 가지, 꽃받침 등에도 발생하나 큰 피해는 없다.
병원체 : Venturia inaegualis
진균게의 자낭균문에 속하며, 배양이 잘 되지 많는 반활물기생균이다. 자낭포자와 분생포자를 형성하며, 자낭포자는 월동하여 1차 전염원 역할을 하며, 분생포자는 중요한 2차 전염원이다.
분생포자의 형성은 봄과 가을에 많이 형성되고, 무더운 여름에는 정지한다. 병원균의 생육적온은 20。C전후이다.
발병조건 및 전염경로
병든 잎이나 가지에서 자낭각 형태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되는데, 성숙한 자낭포자는 알맞은 환경이 주어지면 밖으로 분출, 바람을 타고 비산한다.
자낭포자의 비산시기는 개화기를 전후하여 계속된다. 비산한 자낭포자는 발아하여 기주체에 침입하며, 잠복기간은 온도에 따라 다르나 보통 10일정도 소요된다.
이때의 1차 발병정도가 병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며, 그해의 피해를 좌우한다.
2차 전염은 병반상에 형성된 분생포자가 비산되어 발병하는데, 비가 많이 오고, 서늘한 기후가 계속될 때 많이 발생한다.
발병에 알맞은 온도는 15∼16도이다.
방 제
- 수확후 낙엽을 모아 소각하고 포장환경을 청결하게 한다.
- 과원포장이 너무 과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서늘한 중산간 과수재배지(청송, 안동 등)에서 많이 발생하므로 이 지역에서는 특히 이병엽이나 이병과일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 꽃피기 직전, 직후에 포자비산이 많으므로 이 시기에 집중방제하여 1차 전염원의 밀도를 줄여준다.
- 개화직전에는 보호제를, 개화기에는 곤충에 영향이 없는 약제를 선택하여 살포해야 한다.
갈색무늬병(褐斑病) Blotch
증 상
주로 잎에 발생하나 과일에도 발생한다. 잎에는 처음 자색 또는 흑갈생의 발은 반점이 형성되고, 점차 확대되어 갈색 또는 흑갈색의 대형 병반이 형성된다.
병반 둘레가 녹색으로 남고 다른 부위는 황색으로 변하여 조기 낙엽된다. 병반상에 보이는 검고 작은 반점은 포자층으로 그 위에 분생포자가 형성된다.
병원체 : Diplocarpon mali
진균계의 자낭균문에 속하며, 분생포자와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분생포자는 무색 2세포로 되어 있으며, 표주박 모양을 하고 있다. 자낭반은 월동한 병든 잎의 각피아래 형성되고 성숙하면 각피를 뚫고 나와 찻잔모양의 자낭반이 형성되며, 자낭반에는 여러개의 자낭을 형성한다.
자낭포자는 무색 장타원형으로 크기가 서로 다른 2개의 세포로 되어 있다.
발병조건 및 전염경로
6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9월중순이후 가장 피해가 크다. 심하면 잎전체가 낙엽되고 과일만 남아있다. 균사 또는 자낭포자의 형태로 이병엽에서 월동하여 다음해 1차 전염원이 되며, 병반상에 형성된 분생포자는 바람에 날려 2차 전염원이 된다.
전파된 병원균은 각피를 뚫고 체내에 침입하여 발병된다.
밤낮의 기온차가 크고, 비가 많은 해에 피해가 심하다.
방 제
- 수확후 낙엽을 모아 태운다.
- 비배관리를 철저히 하여 수세를 왕성하게 한다.
- 너무 밀식하여 과번무하지 않도록 한다.
- 포자가 비산하는 6월에서 7월사이 약제를 살포하여 병원균의 밀도를 줄여준다.
흰가루병(白粉病) Powdery mildew
증 상
잎, 과일, 신소 등을 침해 하는데, 잎과 신소에 피해가 크다. 잎에서는 처음 회백색의 균총이 나타나고, 점차 진전되면 잎 전체가 흰가루로 뒤덮힌다.
과일에는 낙화후 극히 어릴 때 발생하며, 기형과 녹과(錄果)의 원인이 된다. 신소는 생장이 억제되고, 마디가 짧아지며, 새로운 잎은 오그라 들거나 기형으로 되어, 심하면 신소전체가 흰가루로 뒤덮이고 말라죽게 된다.
병원체 : Podosphaera leucotricha
진균계의 자낭균문에 속하며, 살아있는 식물체에서만 기생하는 순활물기생균이다.
자낭포자와 분생포자를 형성하며, 자낭포자는 1차 전염원, 분생포자는 2차 전염원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분생포자의 발아적온은 23∼25。C이다.
발병조건 및 전염경로
5월 하순에서 7월 상순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한여름에는 발생이 정지 되다가 9월 중순이후 다시 발생한다.
여름철 저온이 계속되고, 잦은 강우로 습도가 높으면 연중 발생 할 수 있다. 이병은 산간지, 해변가, 안개다발지역, 통풍이 불량하고 그늘이 많은 곳에서 심하게 발생한다.
1차전염원은 신소에 감염된 균사나 이병엽에 형성된 자낭포자가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되며, 병반상에 형성된 분생포자에 의하여 2차 전염이 된다
방 제
- 병든 잎은 모아 소각하고 전정시 병든 가지와 신소는 제거한다.
- 비배 관리를 철저히 하여 수세를 강하게 한다.
- 꽃잎에 많이 발생했을때는 꽃잎을 깨끗이 제거해야 한다.
- 개화기전 석회유황 합제를 살포한다
- 개화기전의 약제 살포는 초기발병을 억제하여 전염원의 밀도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역병(疫病) Phytophthora fruit rot
증 상
주로 땅가부위 줄기와 지면에 가까운 과실에 발생한다. 과실에는 불분명한 갈색의 병반이 희미하게 퍼지는데 단단한 것이 특징이다. 저장 중에도 발생하며 5∼6월에 비가 자주 오면 어린 과실에 대 발생하기도 하는데 과실은 뜨거운 물에 데친 것처럼 보인다.
지면과 맞닿은 줄기는 갈색으로 썩는데 진전되면 내부 조직까지 병원균이 침투하여 나무는 쇠약해지고 결국 죽는다.
병든 부위에 2차적으로 다른 균에 오염되면 검게 보이기도 하는데 점질을 칼로 벗겨 보면 호랑이 가죽 무늬로 보인다.
병원체 : Phytophthora Cactorum
크로미스타계의 난균문에 속하는 운동성이 있는 유주자를 형성하는 반 수생균으로 물속에서 증식하고 물을 따라 전파된다.
사과 역병균은 사과 뿐 아니라 거의 모든 과수를 침해하며 딸기, 인삼, 두릅, 백합 등에도 발병하는 등 기주 범위가 매우 넓고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이 병원균은 다량의 난포자를 형성하여 병든 기주 식물 조직이나 토양에서 다년간 생존한다. 주로 토양에 존재하지만 병원균의 포자낭은 이탈이 잘 되므로 비바람에 의해 공기 중으로 쉽게 전파되어 사과의 지상부를 침해하기도 하며 먼 거리로 이동되기도 한다.
발병조건 및 전염경로
병원균은 물로 먼 거리로 이동되며 주 전염원은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유입된다. 포장이 과습하고 물빠짐이 나쁘거나 침수되면 병 발생이 조장되며 비가 자주오면 지상부에 대 발생되기도 한다.
지상부 과일에는 6월 초순부터 발생되어 장마기에 주로 증식 전파되며 8∼9월에 발생이 많다. 스프링클러로 자주 관수하는 과원에서는 병 발생의 위험이 높다.
방 제
- 건전묘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줄기가 땅속 깊이 묻히지 않도록 심는다.
- 물빠짐이 나쁜 땅에 식재를 금하고 배수를 철저히 하며 과수원이 침수되지 않도록 한다.
- 지표면에 생초나 기타 피복제를 깔아주어 빗방울에 의한 흙입자의 비산을 방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