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상한가 발생 후 단기 시세를 주며 상승한 종목이
하락하는 과정에서 기술적 반등을 하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수익낼 수 유용한 기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종목 선정 기준
- 테마나 재료로 단기간에 상한가가 출현하며 급등한 대장주 종목.
- 하락구간에서 큰 반등없이 고점에서 60일선까지 급락한 종목.
- 60일선과 20일선과의 이격이 커야한다.
- 최초 60일선 부근이 매수급소이다.
- 악재로 급락한 종목은 제외.
아래는 네오크레마 입니다.

네오크레마는...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확대 전망에 세계 최초 GOS 개발 부각 소식에 1번 지점에서 상한가가 출현했습니다.
이후 일정 저점을 유지하며 조정을 보이다 2번 지점에서도 재차 상한가가 출현하며 단기 급등을 하였습니다.
단기 급등한 상태로 3번 지점에서 고점을 찍은 후 줄곧 하락하며,
20일선 이탈 후에는 갭하락하며 60일선 부근까지 급락을 하였습니다.
3번~4번 지점까지 11연속 음봉하락을 하며 60일선 부근까지 빠르게 하락하여,
기술적 반등을 노릴 수 있는 매수포인트가 발생하였습니다.
4번~5번 지점에서는 주가와 5일선의 이격도 크며 20일선과의 이격은 더욱 크므로
매수 급소가 되며 기술적 반등을 확신할 수 있었습니다.
4번~5번 지점에서 매수 후 주가는 단기 큰 폭의 반등을 하며 단기 수익을 챙길 수 있었습니다.
보통은 5일선 부근까지 반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핵심포인트>
상한가를 발생하며 단기 급등한 종목은 하락하는 과정에서 60일선 부근에서는 기술적 반등이 나온다.
이평선의 배열은 20일선>주가>60일선이어야 하며, 60일선의 기울기가 우상향 상태이면 더욱 좋다.
20일선과 60일선의 이격이 크면 클수록 반등 확률은 높다.
상한가를 발생한 종목은 이러한 유형이 매우 많습니다.
스스로 검증하여 기법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성투하세요~
첫댓글 유용한 정보였습니다.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