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지맥
여수지맥(麗水枝脈)이란 호남정맥의 미사치에서 동쪽 백운산 방향으로 약 2.2km
떨어진 삼면경계봉(820m)에서 남쪽으로 분기해서 서쪽으로 순천 동천과 동쪽으로
광양 서천의 수계를 경계지으면서 계족산(725m), 용계산(625.6m), 봉화산
(310.1m),웅방산(311.5m), 옥녀봉(120.9m), 앵무산(343.4m), 수암산(371m),
황새봉(393.6m),안심산(347.8m), 비봉산(311m), 안양산(327m), 고봉산
(363.7m), 봉화산(372m)을 지나여수반도의 끝자락인 여수시 화양면 안포리
힛도마을까지 이어지는도상거리 약 81 km인 산줄기를 말하며, 수계를 기준으로
하는 대한산경표에서도여수반도 남단에서 남해로 입수한다고 해서 여수지맥이라고
부른다
땅끝기맥, 호미지맥, 고흥지맥, 변산지맥 등과 같이 산이름이 아닌 지형의
특수성을고려하여 여수지맥이란 명칭을 붙인 셈이다.
지맥의 길이만 따지면 인근에 위치한 고흥지맥이 더 긴편이나,
함경도 끝의 연두봉에서 여수반도 남쪽끝의 힛도까지는 총도상거리 2,394km로서
한반도에서 가장 긴 산줄기란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총도상거리
미사봉분기점-3.4km-계족산-3.8km-용계산-6.1km-봉화산-2.9km-웅방산-9.2km
옥녀봉-2.1km-검단산성-1.6km-천황산-2.9km-앵무산-3.3km-봉두고개-3.1km
국사봉(-3.1)-1.3km-수암산-3.4km-황새봉-10.1km-비봉산(-0.6)-4.1km-
무선산(-0.5)-2.7km안심산-4.6km-비봉산04.9km-안양산-5.4km-고봉산-1.2km-
봉화산-4.9km-힛도 <총계> 81.0 km
종주코스
황전터널→미사치→여수지맥분기점→안치→계족산(725m)→비봉산분기점→용계산
(625.6m)→구상치→봉화산(310.1m)→웅방산(311.5m)→2번 국도→경전선 철도→
전라선 철도→옥녀봉(120.9m)→검단산성(136m)→전라선 철도→검단고개(17번
국도)→천황산 갈림길→앵무산(343.4m)→봉두고개→국사봉 갈림길→수암산(371m)→
여수시립공원묘지→황새봉(393.6m)→마산 도로→비봉산 갈림길→덕곡 도로→화산
도로→859번 지방도→안심산(347.8m)→22번 국지도→비봉산(311m)→상촌도로→
안양산(327m)→화동리 도로→고봉산(363.7m)→봉화산(372m)→힛도
여수지맥 개념도
여수지맥 지도1
여수지맥 지도2
여수지맥 지도3
여수지맥 지도4
여수지맥 지도5
여수지맥 지도6
여수지맥1구간
2025년2월8일 토요일
2월3일이 입춘때부터 추위가 물러갈 기세가업고 강추위 기세는 더욱 심해져 철원군은 영하20도를 육밖하는 저온현상이 계속이어져 중부권산은 추워서 못가겠고 그레도따띁한 남쪽에산을 택해 토요일 일요일 양일간에 산줄기 이어걷기 계획을 세워 기차로 순천으로 감니다,전날 내려와 여관에서 자고 새벽 첯차로 청소리(심원)마을에 도착해 여수지맥 산줄기이어걷기 게을 출발지점 호남정맥/여수지맥 분기점으로 올라감니다,
산줄기 게임 경로는?
청소리(심원)마을-황전터널(840번 지방도)-미사치(호남정맥)-분기점820(호남정맥/여수지맥)-810봉-안치-655.6봉-708.2봉-722.3봉-계족산729-708.9봉-판교리 임도-용계산625.6-542.6봉-구상치(남해고속도로 지방도 제840호선)-용림버스정거장-봉화산310-순천 전주고속도로-웅방산311.5-순천 성카롤로병원(17번 국도/2번국도)-신대로-147봉-남가리 전라선 철도
출발:청소리(심원)마을 전라북도 순천시 서면 청소리
청소리(심원)53번 버스종점 검단산성 출발 순천역 종합터미널 경유 청소리(심원) 도착 1시간 배차람니다,
종합터미널에서 53번 첯차06시15분경 배차간격은1시간이람니다,
도착:남가리 전라선 철도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남가리
도상거리:25.8km 9:40분
호남정맥/여수지맥 분기점820m
황전터널840번 지방도로가 터널로 지나는곳으로 우축으로 오르면 됨니다,
곰이 있는곳인가 곰 위험표지판이있내요,
계족산 등산로 안내판입니다,
호남정맥 산줄기 미사치 정상입니다,
전날부터 내린눈이 바람에날려 멋진 작품으로 변신해있는 자연에 신비함,
여수지맥 분기점(삼면 경계봉)820m 여기서 여수지맥 산줄기이어걷기 게임 출발합니다,
눈이많이싸여 산줄기이어걷기에 힘이 엄청들걷으로 예상되는대 중간에 포기라는 비극사건이 발생되지않도록 최대한 조심조심 안전하게 진행하여 끝까지 완주할수 있도록 하겠씁니다,
아무도 가지않은 산길에 나에 첯발자국을 남기며?
누가 지나간는지 흔적도 남기지않고
순백에 눈으로 덥혀있는 이산에 품이
북서풍에 바람이 산객을 몹시도 힘들게 한다,
바람에 몰린 눈이 너무많이 싸여있으니 두렵다,
눈을헤치며 우여곡절 끝에 안치에 도착합니다,
자연에 한 작품인가,보는이에 생각이 다르겠지만,
풍경 바위에서 백운산,
계족산 정상입니다,
계족산 정상에는 정상석은 업고 정상 표지판이 대신하고 바위가없고 흙으로된 정상에 큰나무가 정상주변에 자라고 있어 여름엔 시원하겠씁니다,
나무사이로 보는 광양만,
송전 철탑
판교리 임도를 지나고,
용계산도착입니다,
산 높이가 낱아지니 눈이 적게 싸여있어 걷기조은 등산로입니다,
구상치 전주 광양간 고속도로 지하도로 지나갑니다,
전주 광양 고속도로27,
순천완주고속도로(順天完州高速道路, 고속국도 제27호선)는 전라남도 순천시를 기점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을 종점으로 하여 호남 내륙 지역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2004년에 착공하였으며,
2010년 부분 개통을 시작으로 201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총연장 117.8 km
개통년 2010년 12월 28일 (완주 ~ 서남원)
2011년 1월 31일 (서남원 ~ 순천)
2011년 4월 29일 (순천 ~ 동순천)
기점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종점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용진읍
남해 고속도로 육교를 지나고,
남해고속도로10
총연장 영암~순천 : 106.8 km
순천~부산 : 166.3 km
개통년 1973년 11월 14일 (서순천 ~ 산인, 창원 ~ 덕천)
2001년 11월 8일 (산인 ~ 창원)
2012년 4월 27일 (서영암 ~ 도룡)
기점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종점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용림 버스 정거장에서 봉화산 숲으로 올라감니다,
지방도 제840호선
지방도 제840호선은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우시장사거리에서 곡성군 입면 창정사거리를 잇는
전라남도의 지방도이다.
1985년에는 노선명이 '선평 ~ 금호선'이었다.
광양 ~ 입면선
지방도 제840호선
총연장 99.5km
기점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주요
경유지 전라남도 광양시
전라남도 순천시
전라남도 곡성군
종점 전라남도 곡성군 입면
봉화산 정상 찍고,
광양 전주간 고속도로 우축으로 우회해야하는대 좌축으로 우회해 많이 돌라서 지맥에 접속한다,
포장도로 삼거리,
패점된 까페라는대,규모가 엄청 크다,
광양 전주간 고속도로를 세번째 지나간다,요번은 터널이라 편하게 지나간다,
서산/웅방산 전상에 산패가 두개다,
웅방산에서 보는 풍경입니다
광양만 제철 산업단지,
순천시내 풍경입니다,
오늘 날씨가 넘무조아 조망이 멀리까지 볼수있는 행운에 여수지맥 1구간입니다,백운산 맨끝에 지리산 산줄기입니다,
배룡나무 묘목숲 산 계곡에 쓰레기 처리장에서 날라온 비닐봉지,,,,
순천 성카롤로병원
성카롤로 병원 앞으로 국도 제2호선이 지나갑니다,
국도 제2호선
국도 제2호선은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북강항에서 경상남도를 거쳐 부산광역시 중구 옛시청 교차로를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남해안권 도시를 잇는 주요 국도이며, 남해고속도로, 경전선과 선형이 비슷한 것이 특징이다.
과거 기점이 국도 제1호선의 기점과 같은 목포시였으나, 신안군으로 기점이 변경되었다.
시점: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오음리 북강선착장
종점: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6가 옛시청교차로 (남포역)
총 구간:477.4km
경유지:전라남도 목포시, 무안군, 영암군, 강진군, 장흥군, 보성군, 순천시, 광양시
경상남도 하동군, 사천시, 진주시, 창원시
부산광역시 강서구, 사하구, 서구
성카롤로 병원앞 교차로는 2번국도와 17번 국도 자동차 전용도로가 지나감니다,
국 도 제17호선
국도 제17호선 (여수 ~ 광주선, 國道第十七號 麗水廣州仁線)은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신복리에서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추곡리에 이르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본래 종점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 나들목이었으나, 2021년 6월 22일
용인 양지 ~ 광주 도척간 도로 건설 계획이 반영되어 종점이 지금의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추곡리로 변경되었다.
여수~광주선
총연장:437.8km
기 점: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종 점: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왕의산 정상에 운동기구,
동백꽃도 보고,
전라선 건너기직전 남가리 교차로에서 여수지맥 1구간 산줄기이어걷기 게임을 마침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