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를 일주하는 순환도로(이하 순환)와 해담길(이하 옛길)을 모두 걸어보기로 한다.
울릉도 6박 7일 첫날
울릉도1 저동-(순환)-관음도-(순환)-추산
2022.4.12(화) 맑음
동행: 장군봉. 남충희·윤옥자 부부
4/11 18:01 서울역 - (KTX이음 \19,300) - 강릉역 20:04 도착
강릉 아모르모텔 숙박(\15,000+숙박대전 쿠폰\20,000)
4/12 강릉역 앞 육거리 선열해장국에서 아침식사(해장국 \7,000)를 하고
서울역에서 05:11출발하여 강릉역에 07:08 도착할 남충희·윤옥자 부부를 기다린다.
도착한 남충희·윤옥자 부부와 함께 택시로 강릉항 이동 (\7,000) 07:26
08:00 강릉항 - (씨스타5 \49,100*3) - 울릉도 저동항 11:14 하선.
후포에서 08:00 출발하여 사동항에서 내린 장군봉은 택시를 타고 와서 기다리고 있다.
예약(\200,000/2실/2박)한 동해장모텔로 갔더니 방이 없다고 옆 S모텔로 안내한다.
미리 예약을 했는데 이런 경우가 있느냐고 하니 울릉도에서는 흔히 있는 일이란다.
S모텔에 여장을 풀고 해돋이식당에서 점심(백반 \10,000*4)
12:05 해돋이식당 출발.
12:15 저동여객선터미널 - 독도를 다녀온 엘도라도호에서 관광객들이 내리고 있다.
그 옆에는 우리가 타고 온 씨스타5호
12:14 소저마을
12:23 저동2리정류소. 작은모시개(小䇡)마을 안내판.
저동2리 신흥노인회관.
12:28 내수전마을(저동3리) 표지석 - 뒤로 죽도가 보인다.
12:33 한국전력 건물
12:35 내수전교차로- 왼쪽은 내수전일출전망대 가는 길이다.
내수전정류소.
12:40 내수전천교(총연장 32m/2019.3.28 준공)를 건너
내수전터널(총연장 1,520m)로 진입한다.
양쪽으로 걸어갈 수 있는데 시멘트 판이 고정되어있지 않아 덜컥거리기도 한다.
13:03 터널 끝.
13:05 와달리정류소 - 죽도 바라보고.
13:14 와달리휴게소
13:16 와달리터널(총연장 1,955m/2019.3.28 준공)로 진입
13:27
13:42
13:47 터널 끝 - 죽도 바라보며
13:53 섬목터널 바라보고
13:55 섬목터널(연장 77m) 진입
13:58 터널 끝 - 관음도 매표소
입장권(경로 \2,000*4)을 사고 엘리베이터 타고 올라간다.
14:01 연도교와 삼선암 바라보고
14:05 연도교를 건너간다.
14:21 관음도전망대2
14:22~14:32 휴식.
14:38 죽도를 가까이 바라보고.
14:42 관음도전망대1
14:51
14:57 관음도 뒤 돌아보고
15:03 관음도정류소.
15:05
15:08
15:11
15:18 선창정류소. 석포마을(천부4리) 표지석.
왼쪽은 석포마을 올라가는 길
관음도 뒤돌아보고.
15:22 삼선암.
15:26
15:29
15:31~15:43 삼선터널 - 터널 오른쪽 구 도로로 돌아가면서 잠시 쉬고.
15:51 터널이 끝나는 곳.
15:53
16:01 죽암마을
천부3리경로당. 죽암정류소.
16:04 왼쪽 윗대바위로 가는 길.
16:09 딴바위
16:12 죽암마을(천부3리) 표지석.
딴바위와 일선암을 바라본다.
16:28 천부 표지판. 송곳봉이 보인다.
16:31~14:40 천부해중전망대 - 수심 6m
16:42 주민자치센터 앞
16:50 천부정류장.
울릉도 군내버스는 도동정류장과 천부정류장 두 곳이 기점이다.
16:54 천부항.
16:56 풍혈 - 시원한 바람에 땀 말리고.
17:04
17:08
17:12 추산정류소 - 오늘은 여기서 마친다.
곧 오는 천부행 버스를 타고 천부에서 저동으로 가는 버스를 바꿔 타면 되지만
울릉도는 환승 할인이 없고 시간도 여유가 있어 걸어가기로 한다.
17:30 송곳봉 뒤돌아보고.
17:36 천부정류장.
17:50 천부정류장 - (11번 각 \1,400 ) - 저동정류소 18:14 하차.
동백식당에서 저녁(꽁치 물회. 내장탕)
S모텔 숙박
소요시간 5:06(휴식 0:25 포함)
Gps거리 15.3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