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허영주(Hur, Young Joo) 연구자관계분석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학술지명: 생명연구(Studies on Life and Culture)
권호사항: Vol.39 No.- [2016]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주제어: 순자 인성론 성악 사회철학 생명윤리 Xunzi Xing e Life Social Philosophical Analysis Theory of Human Nature 荀子 性惡
KDC: 2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7-260(3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KCI스콜라
소장기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 카카오번역
정말 荀子순자의 성악설에는 모순이 있는가? 이 문제에는 두 가지 입장이 존재한다. 하나는 성악설에는 모순이 존재한다는 도덕 형이상학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모순이 없다는 사회 철학적 관점이다. 도덕 형이상학 관점을 가진 학자들은 ‘인간 본성이 악한데, 예의를 통해 본성이 선해질 수 있다’는 주장은 모순으로 본다. 반대로, 사회 철학적 관점을 가진 학자들은 ‘인간 본성이 사회질서의 혼란을 가져올 때, 그것을 악으로 파악하며, 예의를 통해 인간은 선해질 수 있다’고 해석하여 성악설에 모순이 없다고 주장한다. 과연 이 두 관점 중 어떤 것이 더 타당한 해석인가? 필자는 두 해석 중에서 사회철학적 관점에 동의한다. 왜냐하면 순자의 성악설은 사회 속에서 인간의 생명·윤리 도덕적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적 관점으로 구성된 ‘예(禮)’를 위한 철학적 전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의 목표는 사회 철학적 관점을 통해 도덕 형이상학의 관점에서 제기된 이론적 모순을 분석하여 순자의 성악설이 사회 철학적 관점으로 해석될 때 모순이 없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도덕 형이상학 관점과 사회 철학적 관점의 균형적 비교분석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두 관점의 정의와 해석의 차이를 정식화시켜 순자의 성악설이 사회 철학적 관점으로 해석되어야 타당함을 주장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최종적으로 순자의 성악설이 당대 사회적 생명·윤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사상의 전제임을 도출하겠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요약문
Ⅰ. 서론
Ⅱ. 성악설의 의미
Ⅲ. 도덕 형이상학 관점에서 보는 순자의 성악설
Ⅳ. 사회 철학적 관점에서 보는 순자의 성악설
Ⅴ. 사회 철학적 관점의 타당성 검증
Ⅵ. 인간의 생명·윤리적 문제 해결을 위한 성악설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희성, "한국사회와 모더니티" 이학사 2001
2 바이시, "직하학 연구" 소나무 2013
3 이 진, "중국형이상학" 성바오로 1991
4 노사광, "중국철학사 고대편" 탐구당 1986
5 곽말약, "중국고대사상사" 까치 1991
6 최진석,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소나무 2014
7 천병돈, "인간의 자연성과 사회성" 한국동서철학회 (26) : 163-188, 2002
8 오상무, "인간에 대한 두 시각: 『순자』와 『장자』" 철학연구소 (36) : 509-531, 2008
9 김승혜, "유교의 뿌리를 찾아서" 지식의 풍경 2001
10 황호식, "순자의 인성론에 담긴 사회철학적 의미" 범한철학회 57 (57): 111-135, 2010
11 신영복, "강의" 돌베개 2004
12 순 자, "荀子" 을유문화사 2008
13 Munro, Donald J., "A Villain in the Xunzi" 3 : 1996
*****(2023.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