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가시고기目 Gasterosteiformes
양미리科 Hypoptychidae
● 양미리 : Hypoptychus dybowskii Steindachner
► 이 명 : 야미리, 앵매리
► 외국명 : (영) Korean sandlance, (일) Shiwaikanako (シワイカナゴ), Akauo
► 형 태 : 크기는 대개 전장 15~25㎝ 정도이나 최대 30㎝까지 자란다. 겉모양은 까나리와 비슷하며, 몸은 가늘고 길다. 몸의 등쪽은 갈색이며 배쪽은 은백색이다. 주둥이가 뾰족하고 아래턱이 튀어나와 있다. 양 턱에는 이가 없다. 좌우의 새막은 합쳐져 협부에서 갈라졌다. 등지느러미 기저의 길이는 까나리에 비하여 짧고 뒷지느러미와 꼭 같이 늘어져 있다. 몸에 비늘이 없고 옆줄은 옆구리의 가운데에 있고 복면 정중선을 따라서 1피습이 있다. 새개에는 백색의 반점이 있다.
크기는 전장 15~25㎝ 정도이다. 두부는 약간 종편되어 있고 체측은 약간 측편되어 있으나, 몸통은 거의 원형이다. 체형은 긴 막대형이다. 몸 전체의 체색은 연황색이다. 아가미 하단부와 복부는 은백색이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연조는 진회색이며, 다른 지느러미는 투명하다. 등지느러미 기저 시점은 체측 하단부에 위치하며, 등지느러미 중간의 외연은 오목하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중앙에서 약간 복부 방향에 위치한다. 배지느러미는 없다.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와 동일한 위치에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정형이다. 주둥이 전방의 하악은 상악보다 전방에 있다. 상악 후단은 눈 전방에 이르지 못한다. 가슴지느러미 기저부 항문까지의 복부에 육질의 융기선이 있으며, 수컷은 융기선 말단이 비후되어 있으며 갈고리 모양이나, 암컷은 수컷과 다르다. 양 아가미는 복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협부와 분리되어 있다. 상악과 하악에 이빨이 없다. 비늘은 없다. 측선은 미병부까지 완전하며, 등지느러미 기저 시점부까지는 등 쪽으로 굽어 있다.
► 설 명 : 연안 주변의 천해에서 서식한다. 연안의 약간 깊은 곳에서 무리를 지어 서식하며, 게, 새우, 물벼룩 등 작은 갑각류나 요각류 등을 주로 먹는다. 산란기는 4∼7월로서, 성어가 되면 깊은 곳에서 연안 가까이로 이동하여 만조 때가 되면 수심 2∼3m의 해조류가 무성한 바위나 암초 지대에 점착성의 알을 낳는다. 한번에 35∼55개씩 총 2~3회에 걸쳐 알을 낳으며, 콩팥(kidney)에서 분비한 끈적끈적한 점액으로 알을 해조류 등에 붙인다. 수컷은 알을 보호한 후 죽는다. 구이, 젓갈, 건어포 등으로 식용한다.
► 분 포 : 한국(동해안), 일본(북부 근해), 러시아 오호츠크해 북부, 베링해 등 북서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
► 비 고 : 양미리과에는 한국과 세계에서 1속 1종만 있다. 몸은 가늘고 긴 원통형이지만 조금 옆으로 납작하고 몸에 비늘이 없다. 주둥이가 길며 아래턱이 위턱보다 앞으로 나와있다. 수컷은 이빨이 있고 암컷은 없다. 옆줄(측선)은 거의 직선으로 옆구리의 가운데를 지나 꼬리지느러미까지 나 있다. 배지느러미가 없다. 등지느러미에 극조가 없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기부가 짧고 몸의 후방에 멀리 있으며 서로 마주보고 있다. 뒷지느러미 앞 복부에 투명한 피습(皮褶)이 있는데 수컷의 피습은 뒤쪽으로 가면서 크다가 끝에서 패인 각을 만들며 끝난다. 암컷의 피습은 늘어진 폭이 작고 일자 모양으로 배에 붙어있다. 늑막 뼈(갈비)는 29 쌍이다. 등은 살아있을 때 황색 내지 황갈색을 띠며 배쪽으로 은백색이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투명하지만 수컷은 약간 어둡다.
► 참 고 : 겉모양이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와 비슷하나 체장이 15~25㎝ 정도로 10~20㎝ 정도되는 까나리보다는 크다. 까나리는 우리나라 전 해안에서 사는데 특히 서해안에서 많이 잡히고, 양미리는 동해안에서 잡힌다. 양미리가 극동 지역(북태평양)에 주로 난다면 까나리는 태평양이나 대서양 등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 혼동되고 있는 양미리와 까나리
한국에서는 양미리와 까나리가 서로 혼동되고 있다. 양미리와 까나리는 생물학적으로 그 족보가 서로 아주 먼 관계에 있다. 한국에서 양미리와 까나리가 혼동되고 있는 원인은 강원도 속초에서 매년 벌어지는 양미리 축제 때문이다. 속초 양미리 축제는 2006년에 시작되었고 기간은 11월 20일~12월 20일 이었다. 강원도 양미리 축제의 물고기는 실제로는 까나리인데 강원도 사람들이 양미리라고 부르기 때문에 양미리 축제가 된 것이고 이 계절행사를 보도한 언론들의 기사가 인터넷에 다수 남아있게 됨으로써 “양미리”의 정체가 혼선을 빗게 되었다. 양미리와 까나리는 모두 강원도에서 난다고 하는데 강원도에서 까나리를 양미리라고 부른다면 반대로 진짜 양미리는 다른 이름(방언)으로 불려질 것이다. 그러나 취재 과정에서 진짜 양미리의 강원도 방언이 무엇인지를 밝혀낸 기사나 전문가의 글을 발견할 수가 없다. 양미리와 까나리는 몸의 모양은 비슷해도 등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뚜렷이 다르다. 그러나 죽은 개체들은, 특히 건조시킨 것은, 이 두 지느러미가 접혀서 몸에 붙어버리기 때문에 차이를 나타내는 시각적 요소가 사라짐으로 혼선이 일어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이러니 하게도 이 두 물고기는 과학적으로 아주 가까운 형제 관계에 있었던 때가 있었다.
1977년에 일지사(一志社)가 발행한 정문기(鄭文基) 박사의 한국어도보(韓國魚圖譜)는 모던 한국의 유일한 어류학 고전이다. 총 727페이지에 달하는 대형판 대작이다. 이 문헌에 보면 옛날에는 양미리와 까나리는 분류학 상으로 아주 가까운 한 집안 형제였다. 농어목 까나리과가 까나리속(Ammodytes)과 양미리속(Hypoptychus)으로 구성되어 있었던 것이다. 지금은 양미리가 양미리과(Hypoptychidae)라는 독자적인 분류 카테고리에 들어가 있다. 과만 달라진 것이 아니라 농어목을 떠나서 큰가시고기목에 속한 과가 되어버렸다. 목 단계에서 분리되었다는 것은 족보가 뿌리째 바뀐 것이나 다름없다. 정문기 박사는 이런 글을 달아 두었다. “양미리를 Hypoptychidae 라는 과명으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으나 해부학적 조사가 규명될 때까지 Ammodytidae 과 어류로 취급해 둔다”. Ammodytidae 는 까나리과를 말한다. 정문기 박사는 목 분류까지 달라질 것이라고는 예측하지는 못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