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30
나의 위대한 할아버님 필문 이선제선생에 대한 사료의 전거
필문 이선제부조묘
필문 이선제부조묘 위치문화재 지정 광주광역시 남구 구만산길 34 (원산동) [필문이선제부조묘]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 제7호(1990.11.15 지정)
* 필문 이선제를 모시는 사당, 필문 이선제부조묘
* 부조묘란 나라에 큰 공훈이 있는 사람의 신위를 사당에 모시고 영구히 제사지내도록 하던 사당으로 조선 초의 문신인 필문 이선제(1389∼1454년)의 신위(神位)를 모신 사당이다. 원래 포충사 뒤쪽 산기슭에 있으나 원래의 위치에서 50여m 왼쪽으로 옮겨온 것이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앞마루를 둔 맞배집이다. 앞마루는 반폭칸으로 개방하였으며, 툇마루를 놓았다. 공포( 包)는 쇠서 하나를 내어 가운데에 연꽃무늬를 둔 초익공(初翼工)으로 위부분에 용머리 장식을 하였고 마루의 대들보 쪽에는 구름무늬로..2022. 4. 14.
나의 엄중하신 할아버님, 필문 이선제선생 이선제(李先齊) 12대조 할아버지 필문 이선제선생의 위대한 업적 중에 하나는 단연코 "고려사절요"의 편찬을 들 수 있습니다. 할아버지의 업적을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자료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게재합니다.
참조:http://db.history.go.kr/KOREA/item/level.do?itemId=kj&bookId=%EC%88%98%EC%82%AC%EA%B4%80&types=r#detail/kj_$s03r 고려사절요: http://db.history.go.kr/KOREA/item/level.do?itemId=kj&types=r
고전번역서 > 고려사절요 > 고려사절요 권수 > 최종정보
고려사절요 권수
수사관(修史官)https://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grpId=&itemId=BT&gubun=book&depth=4&cate1=Z&cate2=&dataGubun=%EC%B5%9C%EC%A2%85%EC%A0%95%EB%B3%B4&dataId=ITKC_BT_1294A_0010_000_0030
[DCI]ITKC_BT_1294A_0010_000_0030_2000_001_XML DCI복사 URL복사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우의정 영집현전 경연사 감춘추관사 세자부(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右議政 領集賢殿經筵事 監春秋館事 世子府) 신 김종서(金宗瑞)
정헌대부 공조판서 집현전대제학 지경연춘추관사 겸성균대사성(正憲大夫 工曹判書 集賢殿大提學 知經筵春秋館事 兼成均大司成) 신 정인지(鄭麟趾)
자헌대부 의정부우참찬 집현전제학 지춘추관사 세자우빈객(資憲大夫 議政府右參贊 集賢殿提學 知春秋館事 世子右賓客) 신 허후(許詡)
가선대부 예문관제학 동지춘추관사 세자좌부빈객(嘉善大夫 藝文館提學 同知春秋館事 世子左副賓客) 신 이선제(李先齊): 나의 12대조 할아버님 필문선생님(광주 희결루를 참조하라)
가선대부 이조참판 수문전제학 동지경연춘추관사(嘉善大夫 吏曹參判 修文殿提學 同知經筵春秋館事) 신 이계전(李季甸)
통정대부 집현전부제학 지제교 세자좌보덕 겸춘추관편수관(通政大夫 集賢殿副提學 知製敎 世子左輔德 兼春秋館編修官) 신 신석조(辛碩祖)
중직대부 집현전직제학 지제교 세자우보덕 겸춘추관편수관(中直大夫 集賢殿直提學 知製敎 世子右輔德 兼春秋館編修官) 신 신숙주(申叔舟)
중훈대부 집현전직제학 지제교 경연시독관 겸춘추관기주관(中訓大夫 集賢殿直提學 知製敎 經筵侍讀官 兼春秋館記注官) 신 박팽년(朴彭年)
봉정대부 직집현전 지제교 세자좌필선 겸좌중호 춘추관기주관(奉正大夫 直集賢殿 知製敎 世子左弼善 兼左中護 春秋館記注官) 신 김예몽(金禮蒙)
봉렬대부 수예문관 직제학 겸춘추관기주관(奉列大夫 守藝文館直提學 兼春秋館記注官) 신 김맹헌(金孟獻)
조봉대부 집현전응교 지제교 세자좌문학 겸춘추관기주관(朝奉大夫 集賢殿應敎 知製敎 世子左文學兼春秋館記注官) 신 양성지(梁誠之)
통덕랑 집현전교리 지제교 경연부검토관 겸춘추관기주관(通德郞 集賢殿校理 知製敎 經筵副檢討官 兼春秋館記注官) 신 이예(李芮)
통선랑 이조정랑 겸춘추관기주관(通善郞 吏曹正郞 兼春秋館忌酒官) 신 김지경(金之慶)
통선랑 성균직강 겸춘추관기주관(通善郞 成均直講 兼春秋館記注官) 신 김윤복(金潤福)
봉직랑 수성균직강 겸동부유학교수관 춘추관기주관(奉直郞 守成均直講 兼東部儒學敎授官 春秋館記注官) 신 김한계(金漢啓)
봉직랑 집현전부교리 지제교 세자우문학 겸춘추관기주관(奉直郞 集賢殿副校理 知製敎 世子右文學 兼春秋館記注官) 신 유성원(柳誠源)
봉훈랑 집현전부교리 지제교 세자좌사경 겸춘추관기사관(奉訓郞 集賢殿副校理 知製敎 世子左司經 兼春秋官記事官) 신 이극감(李克堪)
봉훈랑 승문원교리 지제교 겸춘추관기사관(奉訓郞 承文院校理 知製敎 兼春秋館記事官) 신 윤기견(尹起畎)
봉훈랑 행공조좌랑 겸춘추관기사관(奉訓郞 行工曺佐郞 兼春秋館記事官) 신 박원정(朴元貞)
승의랑 성균주부 겸춘추관기사관(承議郞 成均主簿 兼春秋館記事官) 신 김질(金礩)
숭훈랑 성균주부 겸중부유학교수관 춘추관기사관(承訓郞 成均主簿 兼中部儒學敎授官 春秋館記事官) 신 홍약치(洪若治)
승훈랑 행사섬주부 겸춘추관기사관(承訓郞 行司贍主簿 兼春秋館記事官) 신 이효장(李孝長)
승훈랑 행사온주부 겸춘추관기사관(承訓郞 行司醞主簿 兼春秋館記事官) 신 이익(李翊)
선무랑 행예문봉교 겸춘추관기사관(宣武郞 行藝文奉敎 兼春秋館記事官) 신 전효저(全孝宁)
무공랑 예문봉교 겸춘추관기사관(務功郞 藝文奉敎 兼春秋館記事官) 신 이윤인(李尹仁)
계공랑 행예문대교 겸춘추관기사관(啓功郞 行藝文待敎 兼春秋館記事官) 신 김용(金勇)
계공랑 행예문검열 겸춘추관기사관(啓功郞 行藝文檢閱 兼春秋館記事官) 신 한서봉(韓瑞鳳)
통사랑 행예문검열 겸춘추관기사관(通仕郞 行藝文檢閱 兼春秋館記事官) 신 윤자영(尹子榮)
ⓒ 한국고전번역원 | 이재호 (역) | 1968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db.history.go.kr
이선제 李先齊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세종~단종 홍연주 가보(家父) 필문(篳門) 양반 남자 139.
2022. 4. 11.
이발(李潑)선조님에 대한 실록의 기사
1. 선조수정실록 7권, 선조 [수정실록] 6년 9월 1일 무인 4번째기사 / 성균관에 행행하여 선성을 배알하고 시사하여 이발 등 7인을 뽑다 상이 성균관에 행행하여 선성(先聖)을 배알하고 시사(試士)하여 이발(李潑) 등 7인을 뽑았다.
2. 선조수정실록 8권, 선조 [수정실록] 7년 7월 1일 계유 1번째기사 / 이발을 이조 좌랑으로 삼다이발(李潑)을 이조 좌랑으로 삼았다. 이발은 젊었을 때 학문에 뜻을 두어 상당히 청명(淸名)이 있었고, 과거에 급제한 뒤에는 이이가 힘껏 당로자(當路者)에게 천거하여 출신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곧 전조(銓曹)의 요직에 앉았으므로 인망이 매우 무거웠다.
3. 선조수정실록 8권, 선조 [수정실록] 7년 11월 1일 신미 4번째기사 / 이성중·김성일 등을 선발하여 사가 독서..2021. 7. 26.
潑선조님 정여립 그리고 정철과 이항복의주 목사(義州牧使) 서익(徐益)이 상소를 올렸다.
"신은 단지 일개의 외신(外臣)이니 내정(內庭)의 일에 관계하지 않는 것이 마땅합니다. 그러나 품은 생각을 말하지 않는 것은 신하의 큰 죄이므로 부월(鈇鉞)의 주벌을 피하지 않고 진달하겠습니다. 엎드려 바라건대, 성상께서는 참람스러움을 용서하여 주소서. 신이 생각건대 국운이 중간에 비색해져서 사론(土論)이 서로 갈라졌는데 처음에는 큰 일이 아니었는데도 점차 고질(痼疾)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논의가 날로 성하여가고 공격이 서로 잇달았는데 정(正)으로 사(邪)를 공격하는 것도 오히려 불행이라 하는 것이거든 하물며 사가 아닌데이겠습니까. 신이 계속 저보(邸報)를 보니 한두 대신이 서로 잇따라 휴가 중에 있고 몇몇 어진 재상들이 함께 기척(譏斥)당하고 있었습니..
2021. 7. 26.
이발할아버지와 패륜정철의 기축옥사
전라도역사이야기-47.
송강 정철과 기축옥사
기사승인 2018.06.24 19:53:39 - 작게+ 크게 공유 공유하기 닫기 아래의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 http://m.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79454&fbclid=IwAR2190UkDqTOrP177yrjLFJGJkBmV6ATsB_taaYV6o6Gl6SPX7bAi1ILqBc icon페이스북 icon트위터 icon구글+ icon카카오톡 icon카스 icon라인 icon밴드 iconURL복사 ad51 ad53 - 조선 가사문학의 별 그러나 잔혹했던 정치가, 정철 최혁 주필의 전라도역사이야기 47. 송강 정철과 기축옥사 조선 가사문학의 별 그러나 잔혹했던 정치가, 정철 서인 정철, 정여..2020. 8. 25.
호남의 정기와 광주의 혼이 담긴 무등산무등산의 이모저모 그리고 유래 푸른 무등산... 광주 시내 중심가인 충장로 5가에서 정상까지 직선으로 9.2km의 가까운 곳에 자리하고 있다. 서석대와 정상삼봉(천왕봉.지왕봉.인왕봉)이 보인다. 원서석대(최초서석대)에서 바라본 중봉 가는길과 광주광역시 규봉암 '금강산을 보지 않고 한..2019. 12. 28.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