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희년 관련 소식
1. 프란치스코 교황이 2025년 희년을 공식 선포했습니다. [cpbc 맹현기자]
<프란치스코 교황>
"2025년 희년을 맞아 교황청 대성전의 사제들과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교회의 대표들, 원로 사제들에게 교황 칙서 '희망은 실망하지 않는다'를 전합니다."
희년의 주제는 '희망의 순례자들'입니다.
교황의 선포에 따라 올해 12월 24일, 성 베드로 대성전 성년 문이 열리면서 시작됩니다.
희년은 2026년 1월 6일까지 이어집니다.
교황이 희년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분명합니다.
전쟁과 가난에서의 탈피, 형제애가 기반이 된 세계 질서 등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
"불의와 오만이 지속되면서 가난한 사람들은 계속 버려집니다. 전쟁은 죽음의 씨앗을 뿌립니다. 형제자매들 중 가장 작은 사람은 여전히 맨 밑에 남아 있습니다. 형제애가 만연한 세상에 대한 꿈은 환상에 불과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럼에도 교황은 교회에는, 세상에는 희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혼란스럽고 불확실한 세상에서 행복을 꿈꾸는 청년들에게는 희망이 절실하고, 효율성 속에서 설 곳을 잃어가는 노인들에게도 희망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주민의 권리, 낮은 출산율, 사형제도, 군비 경쟁, 청년 실업 등도 희망 회복을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들입니다.
이번 희년을 통해 그리스도인들은 희망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희망을 전하는 사명을 수행해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교황청은 이탈리아 로마시와 함께 순례객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교황이 당부한 영적 준비는 물론, 노후화된 도로와 교통시설물도 보수 중입니다.
2. 2025년 희망의 순례 향한 희년의 문 열린다
교황 ‘희망의 순례자들’ 주제로 희년 공식 선포
[장현민 기자 memo@cpbc.co.kr]
프란치스코 교황이 2025년 희년을 공식 선포했다. 희년은 올해 12월 24일 성 베드로 대성전 성년(聖年) 문 개방으로 시작해 2026년 1월 6일 주님 공현 대축일까지 이어진다. 희년의 주제는 ‘희망의 순례자들(Pilgrims of Hope)’이다.
교황은 9일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 성년 문(Holy Door) 앞에서 주님 승천 대축일 저녁 기도를 주례하며 희년을 공식 선포하고, 교황 칙서 「희망은 실망하지 않는다」(Spes Non Confundit, Hope Does Not Disappoint)를 발표했다.
교황은 칙서에서 “우리 모두를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의 희망을 일깨우는 하느님 사랑에 대한 강렬한 체험으로 초대하고자 다시 한 번 거룩한 문이 열릴 새로운 희년의 때가 왔다”고 밝혔다.
교황은 “희년 주제인 ‘희망의 순례자들’이란 말 안에는 그리스도인들이 어려움에 처한 형제자매들을 위한 희망의 표징이 되어달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면서 “신앙인들은 구원의 통로인 예수님과의 관계를 보다 친밀하게 갖고, 교회는 항상 예수님을 우리의 희망이라고 선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황은 또 “그리스도인들이 하느님 사랑의 증인이 되려면 세상에 희망이 넘쳐야 한다”면서 희망의 신호를 전할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했다. △자녀 낳기 △이주민 환영하기 △수감자 방문하기 △평화를 위해 일하기 △사형제 반대하기 △젊은이들의 일자리 찾아주기 △가난한 나라 부채 탕감을 위해 노력하기 △연옥 영혼을 위한 기도 바치기 △군비를 식량 지원금으로 전환할 것 요구하기 등 교회뿐만 아니라, 국제사회 전체가 희년을 맞아 이행해야 할 주제들을 밝힌 것이다.
교황은 “우리가 진정 세계 평화를 위한 길을 열고자 한다면 불의의 원인을 해결하고, 특히 부당하고 갚을 수 없는 부채를 청산하고 가난한 이들을 돌봐야 한다”면서 “교회는 ‘희망의 증표’가 되어야 하며, 특별히 불확실한 미래에 압도당하는 젊은이들을 돌봐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더 나은 삶을 찾아 고국을 떠나는 이주민들이 희망을 잃지 않고, 편견으로 인해 그들의 기대가 좌절되어선 안 된다”고도 전했다.
아울러 교황은 2025년이 니케아 공의회 개최 1700주년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희년을 교회 일치에 힘쓰는 기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고대 히브리 전통에서 유래한 희년은 교회가 50년 또는 25년마다 선포하는 은총의 해로, 모든 세대가 최소한 한 번 희년의 은총을 누릴 수 있도록 1475년부터 25년마다 거행하고 있다.
한국 교회도 2025년 희년을 앞두고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앞서 주교회의는 7일 상임위원 회의를 거쳐 교황청 복음화부가 펴낸 2024년 「기도의 해」 시리즈(Appunti sulla Preghiera : 기도에 관한 노트) 여덟 권을 우리말로 번역 출판하기로 했다.
3. 기도로 희망의 희년을 준비하자
[가톨릭신문 2024-05-14]
2025년 희망의 순례 향한 희년의 문 열린다
교황 ‘희망의 순례자들’ 주제로 희년 공식 선포
프란치스코 교황은 5월 9일 로마 성 베드로 대성당 성문(聖門) 앞에서 열린 주님 승천 대축일 저녁 기도회에서, 2025년 희년을 선포하는 칙서 「희망은 실망하지 않는다」(Spes Non Confundit, Hope Dose Not Disappoint)를 발표했다. 이로써 가톨릭교회는 올해 12월 24일 성 베드로 대성당 성문을 열면서 시작되는 2025년 희년을 2026년 1월 6일 주님 공현 대축일까지 기념하게 된다.
교황은 이날 희년을 공식 선포하면서 두려움과 절망에 사로잡힌 세상에 기쁘게 희망을 전하는 사람이 되자고 권고했다. 2025년 희년의 표어는 ‘희망의 순례자들’이다. 이 표어는 너무나 절망적인 세계 상황 속에서 인류, 특히 그리스도인들이 결코 잃어버릴 수 없는 희망과 신뢰를 희년을 기념하는 가운데 찾을 수 있으리라는 바람을 담고 있다.
교회는 특별히 2025년 희년을 준비하는 기간으로서 2024년을 ‘기도의 해’로 선포했다. 교황은 지난 1월 21일 하느님의 말씀 주일 삼종기도 중 기도의 해를 선포하면서 “모든 이들이 그리스도인의 일치와 세계 평화를 위해 기도하자”고 호소했다. 희년을 이처럼 기도로 준비하는 이유는 기도를 통해 우리는 하느님의 자비에 가까이 닿아 우리 삶을 변화시키며 그럼으로써 희망을 갖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주님 안의 희망을 되새기는 2025년 희년은 오늘날 너무나 많은 절망으로 가득 찬 세상에 희망을 전하고 주님께 대한 신뢰를 발견하고 고백하는 기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권고대로 기도를 통해 주님의 현존 안에 머무는 체험으로 희년을 준비하고, 기도한 바를 직접 실천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