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교구 인준 사적지 목록 |
|
| 성지명 | 성지요약 . 주 소 |
1 |
수원 | 하우현성당 |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 201.(031)426-8921. 박해를피해 안식처를 찾은 교우들의숨결이 서린 곳 |
2 | 부엉골 |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부평리 581. 배론 신학당의 꿈을 이어 |
3 | 한덕골 | 경기도 용인시 이동면 묵 4리(龍仁市 二東面 墨4里) 박해시대 천주교 교우들이 박해를 피해 모여들어 교우촌 |
4 | 골배마실 | 경기도용인시처인구 양지면남곡리 810(양지파인리조트내). 김대건 안드레아 소년 시절을 보낸 곳 |
5 | 구포동 성당 | 경기도 안성시 구포동 80-1. 공베르 신부의 열정이 서려 있는 안성 포도의 고향 |
6 | 이윤일 요한 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이동면 묵리산 32. 먹뱅이(여우목)와 미리내를 거쳐 다시 순교의 현장 대구로-1 |
7 | 왕림.갓등이성당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왕림리 250. 한수 이남 경기도 최초의 본당이 된 갓등이 공소 |
8 | 둔토리 루도비코 | 경기도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산63-1(국사봉부근) 루도비코 은신굴(하우현 성당) |
9 | 인천 | 접푸리교우촌 | 인천 경서동 진펄마을에 있는 녹청자 가마터. 최양업 가족이 살던 부평 접푸리라는 주장이 있다. |
10 | 관청리형방 | 인천시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743-1. 신앙의숨결이서려있는 곳 |
11 | 황사영생가터 | 인천시 강화군 강화읍 월곳리 665-1(황형장군유적지 옆). 푯말도 없이 갈대만 무성 |
12 | 백령도.순위도 | 서해 해로를 통한 선교자 입국로를 개척하기 위해 주교의 지시를 받고 교우들과 함께 마포를 출발. |
13 | 춘천 | 김성교우촌 (김화성당) | 김성 교우촌은 서울에서 살던 최양업 신부와 가족들이 천주교 신자임이 밝혀지자 이주한 곳이다. |
14 | 만산교우촌 (화천성당) | 만산 교우촌은 최양업 신부의 먼 친척인 최해성 요한 복자가 살던 곳이다. |
15 | 원주 | 서지교우촌 | 서지 마을은 하느님의 종 최해성(崔海成, 일명 양박, 1811~1839, 요한)이 신앙생활을 위해 이주해 살았던 마을. |
16 | 횡성성당 |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 읍상리 388. 6·25 전쟁 직후 건립된 로마네스크 양식의석조성당 |
17 |
대전 | 새터성지(최양업) | 최양업(崔良業, 1821~1861, 토마스) 신부의 집안이 정착한 곳이 바로 다락골이었다. |
18 | 불무골 | 불무골은 최양업 신부가 1857년 9월 14일과 15일에 13번째 서한과 14번째 서한을 각각 작성한 교우촌이다. |
19 | 금사리공소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금사리 334. 1906년 부여군에 최초로 건립된 고전미를 지닌성당 |
20 | 요골공소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명곡리 195. 두세신부에의해 설정된 공소 |
21 | 예산성당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예산리 664. 한국인 신부에 의해 건립된 유서 깊은 근대 건축물 |
22 | 신평성당 |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금천리 907. 순교자 박 마르코와 박 마티아가 머물던 거룩한 자리 |
23 | 신리무명순교자묘 | 충남 당진시 합덕읍 대전리산21-1(공동묘지 내). 성 손자선토마스의 선산에서발견된무명순교자 묘 |
24 | 해미읍성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179. 수많은 천주교인을 국사범으로 처형한 해미 진영 |
25 | 서산동문동성당 |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 665-3. 해미 순교자에 대한 신심으로 가득 찬 유서 깊은 성당 |
26 | 상홍리공소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상홍리 159-2. 병인년 해미생매장순교자들의 첫 안식처를 품은 곳 |
27 | 공주중동성당 | 충청남도 공주시 중동 31-2. 이존창이 순교한 공주 지역에 최초로 설립된 성당 |
28 | 아산오.성바위 | 충남 아산시 염치읍 동정리10-12 (동정 삼거리) 오성바위 원 터. |
29 | 척화비.온양신창 | 충남 아산시 신창면 서부남로840번길 26 |
30 | 남연군 묘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산 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