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공연관람시 ,뮤지컬 넘버 가사를 알고 있을경우 따라 불러도 될까요?
A : 아니요
배우들의 공연을 감상하는 다른 관객들을 존중해 주셔야 합니다.
예외경우 : 커튼콜, 특별히 배우가 코메디뮤지컬등 흥을 북돋기 위함이 아니면
조용히 감사하는게 에티켓입니다
Q : 뮤지컬 작품을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요 ?
A : 본인 개성에 맞게 선택 - 크리에브팀(작곡가,작사가,연출가) , 캐스트 (출연배우) , 캐스트 레코딩 (음악적 분위기,흐름)
장르 , 시놉시스 , 리뷰 (프레스콜등 )
* 저같은 경우는 캐스트 레코팅과 시놉시스에 기준을 두고
◆ 오페라와 뮤지컬 공통점은 ?
▶ 음악과 춤 ,무대장치가 어우러지는 종합무대예술입니다
▶ 이야기가 있는 극
▶ 오페라는 가수라하고 ,뮤지컬은 배우라고 합니다
◆ 뮤지컬이란 ( MUSICAL THEATRE )
▶ 노래,대사,연기,춤이 어울러지는 무대 공연 양식입니다
▶ 연극속에 음악과 춤이 혼합된 종합예술(복합적)이죠
▶ 자유롭고 다양한 이야기거리가 소재입니다 ( MUSICAL comedy) or (MUSICAL play )
▶ 오락적이면서 향략적 성격이 강한 대중예술입니다
◆ 본편과 시퀄 (기존 본 작품의 속편으로 시간상의 뒤의 이야기를 다루는 작품)
◆ 오픈 런 - 공연이 끝나는 시점을 정해두지 않고 계속 공연하는 방식
◆ 리미티드 런 - 처음 공연 시작시 끝나는 시점을 정해 두고 하는 공연 (한국 공연 방식)
◆ 커튼콜 - 공연 막을 내린뒤 배우들이 무대로 다시나와 관객 박수에 답하며 인사(극중 주요 넘버나 메들리,앙코르도 선보임)
◆ 인터미션 - 러닝타임 막사이 쉬는 시간
◆ 마티네 - 낮에 펼쳐지는 공연
◆ 세계 3대 공연상 - 올리비에 어워드(영국) ,토니 어워드 (미국) , 몰리에르 어워드 (프랑스)
장르 | 오페라 | 뮤지컬 |
음악스타일 | 클래식 | 대중음악(장르제한없음) |
창법 | 성악 벨칸토 발성 (마이크 사용 안함) | 벨팅 (마이크 사용) |
춤 | 가수따로 ,무용수따로 | 배우가 노래와 춤도 함께 |
반주 | 오케스트라 | 자유(MR -사용가능) |
소재 | 신화,문학,역사적사건등 | 현대적,대중적 자유 소재 |
대사 | 원작의 언어로 공연 | 현지 언어로 번안 |
▶ 콜로라투라 가창법 - 여성 소프라노가 화려한 고음과 장식음으로 뽐내는 기교
◆뮤지컬의 양대산맥
▶ 웨스트 엔드 - 뮤지컬 양식이 태동한곳 - 영국 런던 웨스트민스터 동부지역 극장들
▶브로드 웨이 - 뮤지컬이 대중 장르로 본격적으로 발전한 곳 - 뉴욕 맨하튼 타임스퀘어 주변 대형 극장들
◆ 미국
▶ 오프 브로드웨이 (off-Broadway) -100~499석 규모의 중형극장들
▶ 오프오프 브로드웨이 (off-off- Broadway) - 100석 미만의 소극장 ,저예산 실험극
◆ 영국
▶ 프린지 (Fringe) - 저 예산으로 소극장 공연
◆ 국내뮤지컬 전용극장 (오페라 하우스하고는 다름)
- 샤롯데 씨어터 (서울 잠실)
- 디큐브 아트센터 (서울 신도림)
- 드림 씨어터(부산)
◆ 계약 뮤지컬 (저작권이 해외에 있는 수입뮤지컬)
▶오리지널 (Original)공연
- 초연 당시의 제작진과 출연배우,무대세트를 그대로 적용(내한공연)
- 원작의 언어로 공연
▶라이선스(Lisence)공연 -두가지 형태
- 해외원작자에게 로열티를 지급하고 판권을 사들인 우리말로 번안하여 공연
1.레플리카(Replica) - 의상,조명까지 원형 그대로
2.논-레플리카 (Non- Replica) - 원작에서 수정,각색,번안을 허용한
◆ 비계약 뮤지컬 -창작뮤지컬
- 국내에서 제작한 공연
◆ 성스루 뮤지컬
- 일반적인 대사체 없이 노래와 랩으로만 극을 전개하는 뮤지컬
- 에비타 -영국의 작사가이자 작가인 팀라이스 와 앤드르 로이드웨버 작곡가 두사람은 영어권 뮤지컬을 평정한 거장이다.
- 미스 사이공- 제작-카메론 매킨토시. 작사-알랭 부브빌
- 오페라의 유령- 팝페라 뮤지컬 형식이기도 함 , 제작-카메론 매킨토시 , 음악 -앤드루 로이버 웨버
◆ 에니메이션을 무대화한 작품
- 라이온킹 -에니메이션 영화 의 동물들을 의인화로 그린 작품
- 라이온킹 인형 디자인한 -미국의 의상,가면,인형디자이너 여성 최초 토니상 최고 연출가상 수상한 -줄리테이머
◆ 뮤지컬 구성 요소
3요소 -극본(Book)-극본가 ,음악(Music)-작곡가 ,가사 (Lyrics)-작사가
추가요소 -배우(Cast) ,연출 (Direction)-연출가 ,춤(Dance)-안무가 , 기획사(Company)
* 오케스트라/스톨(Stall)-1층 * 메자닌-미국/드레스 서클((Dress Circle)-영국-2층 * 발코니 -3층
* 박스석 -프라이버시 중시 귀족들이 사용했으나 관람하기는 불편함 * 무대 위 (On-stage)- 배우들 옆에 있는 좌석
◆영국의 뮤지컬 제작자 -카메론 매킨토시
- 역사상 가장 많은 뮤지컬 제작 (오리지널및 리바이벌)
- 1980년대 메가뮤지컬을 통해 영국 뮤지컬 흥행돌품을 일으킴
- 뮤지컬에 라이선스 개념 최초 도입
- 작품의 글로벌 프랜차이즈를 시작함
▶오리지널 프로덕션
- 한번도 무대에 올린적 없는 신작
- 캣츠,레미제라블,오페라의 유령(Original)공연,미스사이공,메리 포핀스등 총 12편
* 뮤지컬 <캣츠> 의 고양이의 몸동작을 예술의 세계로 끌어올린 발레리나 출신안무가 ,영국출신 질리언 린
오페라의 유령등 전설적인 안무가로 기억 해둘만하다
▶리바이벌 프로덕션
- 기존의 작품을 새롭게 연출하여 다시 무대에 올리는것
- 올리버,마이 페어 레이디 등 총 5편
*그외 수많은 공연,라이선스 관리,뮤지컬의 영화화등
◆ 미국의 뮤지컬 작곡가,작사가 - 스티븐 손드하임
- 뮤지컬 역사상 가장 혁신적인 작곡가로 평가받는 인물
▶작사에만 참여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집시
▶작사,작곡 동시 참여 - 컴퍼니, 폴리스 , 태평양 서곡, 스위니 토드 , 숲속으로 , 리틀 나이트 뮤직
◆ 프랑스의 대표작 -노트르담 드 파리
▶ 빅토르 위고 -프랑스 시인,소설가,극작가 -대표작 <파리의 노트르담> 각색한 뮤지컬
▶극본,작사 - 퀵 플라몽동 ▶음악 - 리카르도 코치안테 ▶연출 - 질 마외 ▶안무 - 마르티노 뮐러
▶ 프랑스적 예술성 (서정적인 멜로디와 감성적인 가사 )와 스펙터클 (웅장한 음악및 역동적 안무,대형 세트)
◆ 미국뮤지컬은 배우와 춤과 노래를 같이 소화하지만 프랑스 뮤지컬은 배우와 댄서가 분리됨
◆ 주크박스 뮤지컬
- 기존에 발표된 인기곡들을 엮어 무대용으로 재 가공한 뮤지컬
- 뮤지컬의 대중성을 높이고, 줄거리보다 음악 레퍼토리 중심의진행
- ABBA 음악에 착안하여 기획된 뮤지컬 "맘마미아" 이후 유행
- 프랭키 밸리와 더 포시즌스 의 "저지 보이스 "
- 대표적 넘버 - We will rock you - 퀸 , Motown the musical - 잭슨 파이브 , All shook up - 엘비스 프레슬리 ,
Bodyguard - 휘트니 휴스턴 , Tina - 티나토너 , Beautifui - 캐롤킹 , MJ the musical - 마이클잭슨
미인 - 신중현 , 광화문 연가 - 이영훈
▶트리뷰트 뮤지컬 - 단일작곡가가/가수의 곡으로 넘버(뮤지컬 나오는 노래)구성
▶컴필레이션 뮤지컬 - 여러가수의 노래를 엮어 만든 형식
▶ 캐스트 레코팅 / 캐스트 앨범 - 공연에 올려지는 넘버들만 녹음해 싣는 음반을 지칭함
◆ 브로드웨이 신작 공연하기전 개발 과정
리딩 | 무대장치 없이 대본을 가지고 리허설 |
워크샵 | 최소한의 의상,무대장치만 갖추고 하는 리허설 |
트라이아웃 | 브로드웨이 입성을 앞두고 타 극장에서 작품의 완성도와 상업성을 테스트하는 공연 |
프리뷰 | 공식 초연전, 평론단에 작품 공개하기 앞서 본 극장에서 열리는 최종 드레스 리허설 공연 |
Press Night | 공연평론가,기자,블로거등을 초대 공식적 작품 발표 |
◆ 대역 배우 커버의 역활 - 주연 배우가 무대에 오르지 못할때 투입되는 배우
얼터네이트 | 주연 배우의 역할을 나누어 맡는 배우 ,정해진 소수 회차 공연 담당 <한국-더블캐스팅> |
언더스터디 | 주연 배우의 역할을 공부하고 대기하는 배우 ,평소에는 공연의 앙상블 멤버로 출연 |
스윙 | 앙상블 배우가 출연하지 못할때 투입되는 배우 ,여러 역할의 춤과 노래를 모두 알고 있어야함 |
스탠바이 | 특정 배역의 역할을 커버하는 배우 ,평소 공연에는 참여 하지않음 |
◆ 뮤지컬 넘버의 종류
서곡 | 공연의 막이 오르기전에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곡 |
오프닝 넘버/오프닝 코러스 | 서곡이 끝난 뒤 연주되는곡 .혹은 코러스 합창 |
프로덕션 넘버 | 1막 후반부 혹은 2부 시작에 나오는 극의 하이라이트 넘버 |
리프라이즈 | 같은 넘버를 극의 다른 지점에서 되풀이 되는것 |
첫댓글 자세한 설명으로 숙지하고
갑니다.
문화생활 도우미 제대로 입니다.
관심에 감사해요
좋아하신분들을 위해 곧 뮤지컬 공지도 올라갑니다
@나누미 네~~~
기대하고 기다릴께요~^.~
@함박웃음 우리 카페도 올리기 시작했네요 1월16일 뮤지컬썸데이 랑 1/20연극 은밀한 연애
주말 시라노 보러갑니다
우리 카페도 올리기 시작했네요 1월16일 뮤지컬썸데이 랑 1/20연극 은밀한 연애
@나누미 평일 일정은 어려워서
주말 일정에 참여할게요
@리진 2월8일 정기산행도 가시지요 B코스 백두대간협곡열차 코스도 만들어 놓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