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naver.com/hchkwak/223711373701
정보의질이 너무나 뛰어난
[박종훈의 지식한방]
“AI혁명, 최후의 승자는 바로 여깁니다”
일부 발췌해서 기록하고 중국AI의 한계를 예측해본다
한때 세계를 휩쓴 한국 IRIVER의 MP3플레이어
몰락한 이유
(캡처사진)
불법다운로드 음악을 듣던 아이리버
2003년 스티브잡스가 음반사들과 저작권 협상
정식음악이 애플 아이튠즈 생태계로 들어와..
사람들은 불법다운로드 필요없이 아이팟에서 바로
음악 듣는게 편해..
그렇게 아이리버가 아닌 아이팟이 미래 장악
AI 기술경쟁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데이터 확보
(캡처사진)
2023년 뉴욕타임즈는 오픈AI를 상대로 소송
또 미국 캐나다 언론사들이 줄소송.. 그러자
오픈AI는
최신 신문기사 대신 sns나 블로그를 뒤지기시작
정보의 질이 급격히 낮아진다
미드저니와 같은 이미지생성 AI업체에 대한
게티이미지와 같은 이미지 업체들의 소송도 이어져..
AI 패러다임은
기술경쟁에서 저작권 경쟁으로 변화하고 있다
여기서부터 내 생각정리.. 향후 깊게 다룬다
이번 소송에 통해
AI는 기술경쟁뿐만 아니라 데이터 확보가 경쟁력이란
사실을 알게된다
앞으로 AI업계에서는
애플의 아이팟처럼 데이터 확보경쟁에 빠질것이다
이는 중국의 AI가 절대적으로 불리한 게임이다
(1) 정보 생산자들의 시대가 온다
정보 생산자-정보 가공자(AI)의 거래 네트워크가 생겨
난다 마치 아이튠즈처럼
정보유통 네트워크가 형성되면 정보 원천생산자의
권리가 강화된다
그럼먼저 정보의 독점권, 전세계적 통신사들의 힘이
커진다
그리고 다음으로 독창성의 시대가 온다
특수한 개개인의 영역에서는 독창성이 중요하다
미국의 신문기사를 그대로 베껴 한국어로 옮기는
카피캣들은 곧 설자리를 잃는다
그리고 정보유통 네트워크.. AI개인비서 시대에
검색시장은 사라지므로 광고대신 AI가 개인 블로그에
정보사용료를 내는 시스템으로 진화된다
따라서 독창적인 글만이 가치를 갖는다
이 블로그에 나만의 독창적인 글을 만들어가는 이유다
(2) 모든 정보가 모이는 세계의 중심 국가가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AI 패권경쟁에서 IT 한분야만 발달했다고 해서
중국이 AI패권을 가져가는게 아니다
곧 IRIVER처럼 저작권의 장벽에 부닥친다
최근 네이버에서 구글봇의 접근을 막고 있는것처럼
보이지않는 사이버세계에서 관세장벽이 생겨나고 있다
늘 새로운 정보들이 생산되는 시대에
AI봇들이 학습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제한된다면 무의미
하다
미국기업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이유는 미국이
전세계 정보의 중심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