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낚시에서의 막대찌 란?
하이테크 님의 질문이 있어 글을 쓰보다가 공지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막대찌는 3종류가 있습니다.
자립(自立)
반자립(半自立)
비자립(非自立)
(자립, 自立)
자립은 글자그대로 아무렇게나 던져도 물위에서 지 혼자 독립군처럼 자립하여 글자그대로 풀이하면 스스로 똑 바로 섭니다.
이 찌는 원거리에 포인트가 있는 경우 많이 사용합니다.
미의미는 멀리 치기가 원활한 원투성이 좋다는 뜻이지요.
자립의 원리는 무게 중심이 찌 아랫쪽에 무게 중심을 준 경우 자립의 모양새로 발전 됩니다.
이 찌는 동해안 및 갯바위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여치기를 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저 먼 곳에 포인트가 있는 경우 원투성이 좋기 때문에 동해안 여치기를 할 때 좋습니다만 단점은 채비가 바르게 정열 되었는지 확인이 어렵다는 점입니다.
하여 이찌를 사용 할 때에는 가급적 목줄을 짧게 하여 캐스팅 도중 줄 꼬임의 방지를 최대한 하여야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습니다.
(반자립, 半自立)
이찌는 자립과 비자립의 중간이라 보시면 딱 맞습니다.
자립찌의 강. 단점과 비 자립찌의 강 단점을 고려하여 만든 것이지만
뭔가 좀 어색한 듯하여 전 철저하게 비 자립찌를 고수 합니다.
이 찌의 특징 파악은
자립찌의 문제점과 비 자립찌의 강점을 파악하시면 그 내용을 잘 알 수 있습니다.
(비자립, 非自立)
이찌는 스스로는 물위에 똑바로 서질 못하고 수중찌(봉돌) 무게의 힘을 빌려서 만이 물위에 똑바로 섭니다.
그래서 비자립이 된 것이랍니다.
이찌의 강점은 채비가 바르게 정열 되었는지 아닌지, 수심이 맞는지 아닌지의 유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강점이 있는 반면 단점으로는 찌 자체가 워낙 가벼워 원투성이 없다는 것입니다.
하여 조류 소통이 원활한 바다 한가운데에서의 선상 낚시에서 많이 사용 합니다.
(배 에 곧바로 바다에 직접 채비를 내려 찌를 흘려 줄 수 있기에)
가벼운 찌는 목줄을 길게 하여 멀리 던지려고 하면 어장사고 나기 딱 좋습니다.
(어장사고 : 줄이 꼬이고 흐트리고 난리인 상황)
하여 이 찌는 갯바우에서 사용할 때 고도의 기술이 요하는데 원리는 다음 내용과 같으며 찌 선택을 할 때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갯바위에서 사용 하여야만 할 때는 가급적 고부력 찌를 선택합니다(원투성을 생각하여서 3호찌 이상 선택)
이유는 3호 정도 무게의 봉돌을 장착 하여야만 갯바우에서 봉돌의 무게로 원투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여 갯바우에서 원투를 하였을 경우 다음 글 에서 보여주는 것 처럼 그림 그리 듯이 제일먼저 봉돌이 날아가고 무게 순서에 따라 차레로 이어서 찌, 미끼바늘이 공중으로 날아가게 되겠지요.
가장 무거운 봉돌이 제일 먼저 수면위에 떨어지는 소리(퐁)
두번째 무거운 찌가 수면위에 떨어지는 소리(탁)
세번째, 미끼가 걸린 바늘이 떨어지는 소리(틱)
"퐁탁틱"
무거운 봉돌이 물속으로 재빠르게 내려가면 뒤에 따라오는 미끼가 뱅글뱅글 돌아 목줄이 원줄을 감고 찌를 감아 어장사고 나기 일 수 인점도 생각을 하여야만 합니다.
하여 이 찌를 사용 할 때는 일반적으로 구멍찌를 사용할 때처럼 낚시대를 확 잡아 채 채비를 물 속으로 내리는 방법은 사용치 않고 한 손으로 원줄을 잡고 일정한 간격으로 천천히 원줄을 내려 주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성공적으로 낚시를 할 수 있게 한답니다.
무신 말이 필요한지요.
시인성 좋고
입질 파악이 좋은(예민하고 시원함) 막대찌를 본인과 더불어 같은 포인트에 내려 함 사용 해보심이 가장 빠른 방법이 아닐런지요.
생각하는 낚시, 과학적인 낚시
그래서 더 재미 있는 것이 흘림찌 낚시
더 한층 재미를 더 해주는 막대찌 낚시
적응을 성공적으로 하여 대물과의 한판 승부에서 승리 하시기를 기원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