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편 1장 . 도수 및 송수 계획
계획 도수량 및 계획 송수량용
도수란 수원(취수지점)으로부터 정수장까지 원소를 수송하는 것을 말하며, 도수시설의 계획 도수량은 계획 취수량을 기준으로 한다.
송수란 정수장에서 배수지까지 정화되어진 정수를 수송하는 것을 말하며, 송수시설의 계획 송수량은 계획 1일 최대 급수량을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1) 계획도수량
계획 도수량은 계획 취수량을 기준으로 하되 장래 확장에 대한 수원의 취수량의 증가 가능성과 장래 확장분을 미리 고려한다.
2) 호소의 자정 작용
계획 송수량은 1일 최대 급수량을 기준으로 하나 만일 정수장에서 배수지까지 가는 사이에 누수 등의 손실량이 있을 때는 이 손실량을 1일 최대 급수량에 가산하여야 한다.
도수 및 송수방식화
도수 및 송수방식은 노선의 시점과 종점간의 수위차와 노선의 지형ㅇ-ㅔ 따라 자연유하식과 가압식으로 분류된다. 도수 및 송수방식의 선정은 수원에서 정수장간 또는 정수장에서 배수지간의 고저차, 계획도수, 송수량의 대소 및 노선의 입지조건 등을 비교 검토하여 결정항여야 한ㄷ. 이때 송수시설은 정수를 수송하기 때문에 수송 도중 외부오염을 받지 않도록 하야 하며, 따라서 송수관로는 관수로로 설계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1) 자연유하식
수원의 위치가 정수장 위치보다 높은 곳에 있기 때문에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중력에 의하여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를는 것을 잉요한 방ㅂ버으로, 개수로식과 관수로 식으로 분류된다.
2) 펌프 압송식
가압식이라고도 하며 자연유하식이 불가능할 때 사용되고 관수로는 펌프 압송식에 의함을 원칙으로 한다. 펌프 압송식이란 수원과 배수지의 고저차를 강제적으로 극복하는 것을 말한다.
3) 개수로식과 관수로식
펌프 압송식은 전부 관수로식이나 자연유하식은 수리학적으로 수로의 자유슈면 여부에 따라서 개수로식과 관수로식으로 분류된다. 송수관로에서는 수송도중 외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수로로 설계함을 원칙으로 한다.
상수 관로시설
상수 관로시설이나 수원의 취수지점으로 취수한 물을 정수장까지 수송한느 경우에 사용하는 관로시설을 말한다.
도수시설의 계획 도수량은 계획 취수량을 기준으로 정하며, 송수시설의 계획 송수량은 계획 1일 최대 급수량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경제성 검토
도수.송수 방식을 자연유하식의 경우는 낙차를 최대한 이용하여 유속을 가급적 크게하고 관경을 최소화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가압식의 경우는 관경을 너무 크게 하면 통수 능력이 크고 동력비는 적게 드나 관의 부설비가 증가되고, 너무 작게 하면 관의 부설비가 적게 드나 통수 저항을 증가시켜 동력비가 많이 든다. 따라서 주어진 유량에 대한 관부설비, 동력비, 연간 경비 등을 비교 검토하여 총경비가 경제적이 될 수 있도록 도수.송수계획을 세운다.
유 량 측 정
일반적으로 구형 위어와 삼각 위어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1) 구형 위어
2) 삼각 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