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층 전기·기계설비 핸드북

내용 :
국내에는 아직까지 100층을 초과하는 건축물이 설계·시공된 예가 없다. 그래서 초고층빌딩 설계 시공에 관련한 자료가 부분적으로 관련 엔지니어링회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것 외에 관련 기술자들이 접할 수 있는 공통적인 교재가 아직 발간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차에 일본에서 발간되었던 초고층 건축설비편을 근간으로 하여 이 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100층, 200층을 상회하는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은 필수적인 것으로 몇몇 대기업 중심으로 계획을 세우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이 책의 발간은 한국 기계·전기업계에 늦은 감이 있으나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저자 : 정용기, 고한목, 이철규, 신효섭 共著
페이지 : B5 426면
머리글 :
국내에는 아직까지 100층을 초과하는 건축물이 설계·시공된 예가 없다. 그러한 관계로 초고층빌딩 설계 및 공사에 관련한 자료가 부분적으로 관련 엔지니어링회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것 외에 관련 기술자들이 접할 수 있는 공통적인 교재가 아직 발간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차에 역자가 일본에서 1972년에 발간되었던 초고층 건축설비편을 근간으로 하여 (주)삼우전기컨설턴트 이철규 기술사, (주)한양TEC 신효섭 기술사, (주)희림건축 고한목 기술사의 도움을 받아 이 책을 완성하게 이르렀습니다.
초고층 설계 및 공사에 관계하는 국내 기계·전기 기술자들에게는 사막에 오아시스와 같은 청량감을 줄 것으로 확신하며 국내에서도 100층, 200층을 상회하는 건축물의 서례 및 시공이 될 것은 필수적인 것으로 몇 몇 대기업 중심으로 세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초고층 빌딩의 설계와 공사에 대한 개념을 기존의 중저층 규모 건물의 설계 및 공사에 개념과는 완전히 다른 방향을 가지고 있어서 내진 분야부터 설비의 양중 계획에 이르기까지 국내 기술자들에게는 자료 접근 자체가 불가능하였고, 개념 또한 새소하였던 것이 사실인 것입니다. 이러한 ㅅ점에 이 책의 발간은 한국의 건축설비(기계·전기)업계에 늦은 감이 있으나 당행스러운 일이 아닌 수 없으며 필자는 이어서 미국의 초고층 자료를 모아 완벽한 추가 서저그 발간에 심혈을 기울일 것을 약속 드립니다.
이 책이 출간되기까지 많은 시간동안 편집, 교정을 거쳐 애써주신 모든 분들과 의제임직원여러분들에게 감사를 드리며, 특히 (주)삼우전기컨설턴트 이철규 대표님께 심심한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편저자 대표/전기·소방기술사 정 용 기
목차 :
제1장 초고층 빌딩의건축계획
1.1 총론
1.1.1 초고층 빌딩 계획의 기본방향
1.1.2 초고층 빌딩 계획시 고려사항
1.2 초고층 빌딩의 계획
1.2.1 기능상 계획
1.2.2 형태상 계획
1.2.3 구조상 계획
제2장 초고층 빌딩설비(기계·전기) 개관
2.1 개 요
2.2 초고층 빌딩 건축설비의 특징
2.1.1 태양복사
2.1.2 주광에 의한 창면휘도 및 실내로의 입사광속
2.1.3 풍압분포
2.1.4 굴뚝효과
2.1.5 수격작용
2.1.6 기기의 내진
2.3 공기조화설비
2.3.1 설비층
2.3.2 냉동기와 낵각탑
2.3.3 보일러 설비
2.3.4 파이프덕트 및 사프트
2.3.5 기기 및 배관의 방진
2.3.6 실내환경
2.3.7 조 닝
2.4 급배수 위생설비
2.4.1 급배수 설비기준
2.4.2 급수·급탕설비
2.4.3 배수설비
2.4.4 배관재료
2.5 전기설비
2.5.1 법의 규제
2.5.2 계획과 설계
2.5.3 초고층 빌딩의 정보 설비
2.5.4 유지보수
2.6 소방설비
2.6.1 소방용 설비의 종류
2.6.2 각 소방용 설비의 연계
2.6.3 초고층 빌딩과 소방설비
2.7 반송설비
2.7.1 엘리베이터의 고속·대용량화
2.7.2 조닝방식의 복합화
2.7.3 제어성능의 고도화
제3장 초고층 빌딩의 설비(기계·전기) 계획
3.1 설비공간의 배치계획과 소요면적, 높이
3.1.1 기계실(공기조화용)
3.1.2 전기실
3.1.3 코어, 파이프덕트 및 샤프트
3.1.4 천정내 공간 및 바닥판 구조
3.2 설비방식과 구조계획
3.2.1 설비층의 위치
3.3 모듈계획
3.3.1 모계획의 항목
3.3.2 모듈의 경제성
3.3.3 모듈의 실제
3.4 중앙관제
3.4.1 중앙관제업무의 대상
3.4.2 중안관제의 실제
3.5 에너지의 선정과 비용
3.5.1 에너지의 선정
3.5.2 에너지의 단가
3.6 설비비와 경상비
3.6.1 설비비와 경상비의 개요
3.6.2 계산법의 개요
3.7 설비계획의 체크리스트
3.8 지역일원과 초고층 건축
3.8.1 지역열원 인입방식
3.8.2 공급조건과 서비계획
3.8.3 열 교환식(서브스테이변)
제4장 공기조화설비
4.1 공기조화 부하
4.1.1 설계부하계산과 부하시뮬레이션
4.1.2 계산법
4.1.3 계산조건
4.1.4 계산의 실제
4.2 공기조화 열원설비
4.2.1 열원설비
4.2.2 지역열원 인입설비
4.3 공기조화방식의 선정
4.3.1 시스템
4.3.2 조 닝
4.4 기기 및 자재의 선정
4.4.1 기 기
4.4.2 자 재
4.5 방진, 열신축 대책
4.5.1 기기의 방진
4.5.2 배관, 덕트
제5장 급배수 및 가스설비
5.1 급수설비
5.1.1 조 닝
5.1.2 급수방식
5.2 급탕 설비
5.2.1 조 닝
5.2.2 급탕방식
5.3 배수설비
5.4 가스설비
5.4.1 대기압차와의 관계
5.4.2 배관상의 문제
5.4.3 가스공급상의 문제
5.4.4 관리상의 문제
5.4.5 급배기
5.5 기기 및 자재의 선정
5.5.1 기 기
5.5.2 자 재
제6장 전기설비
6.1 조 명
6.1.1 창문에서의 주광입사
6.1.2 시야환경
6.1.3 조명설비
6.1.4 조명시설의 유지보수
6.2 전력계통과 배전계통
6.2.1 수배전방식
6.2.2 저압 스폿 네트워크
6.3 종합 감시제어
6.3.1 원격 감시제어방식
6.3.2 감시 제어반
6.3.3 데이터 로거
6.4 전력기기
6.4.1 스폿 네트워크용 변압기
6.4.2 지진시를 포함한 변압기의 방진대책
6.4.3 무정전 전원장치
6.5 보호협조
6.5.1 단락협조
6.5.2 지락협조
6.5.3 퓨즈간 협조의 특수문제
6.6 간선설비
6.6.1 고압간선과 저압간선
6.6.2 수직간선의 여러문제
6.7 동력설비
6.7.1 동력 원격 감시제어 회로
6.7.2 전동기의 전압과 기동방식
6.8 전화설비
6.8.1 선 로
6.8.2 구내 교환설비
6.9 방송설비
6.9.1 스피커의 배치
6.9.2 배 선
6.9.3 음향효과와 잔향시간
6.10 TV공청설비
6.10.1 수신장애의 발생장소와 발생상황
6.10.2 수신장애 발생의 원인
6.10.3 수신장애의 대책
6.10.4 주변장애
6.11 피뢰설비
6.11.1 뇌방전 측성과 초고층 빌딩의 피뢰
6.11.2 초고층 빌딩의 피뢰에 관한 실험
6.11.3 초고층 빌딩의 피뢰
6.12 예비전원설비
6.12.1 설치의 목적과 대상부하
6.12.2 자가용 발전장치
6.12.3 직류 전원장치
제7장 소방설비
7.1 방재센터
7.1.1 기능상의 분류
7.1.2 방재선터(방재관리실)의 최적위치와 구조
7.1.3 방재설비비 감시반
7.2 자동화재 탐지설비
7.3 비상경보 설비
7.3.1 비상벨 또는 자동식 사이렌설비
7.3.2 비상 방송설비
7.3.3 자동화재 속보설비
7.4 피난유도 설비
7.4.1 유도등을 설치해야 되는 건축물
7.4.2 유도등의 종류와 구조
7.4.3 유도등의 설치장소
7.4.4 유도등 설치상의 유의점
7.5 비상콘센트 설비
7.5.1 설치가 칠요한 건축물
7.5.2 설치위치
7.5.3 전원용량과 설비
7.5.4 전원회로
7.5.5 플러그 접속기
7.5.6 배선공사
7.5.7 접지공사
7.5.8 비상 콘센트함과 다른 소방용 설비함과의 공용
7.6 소방설비의 비상전원
7.6.1 비상전원의 종류
7.6.2 비상전원 수전설비
7.6.3 2개 변전소 수전설비
7.6.4 발전설비
7.6.5 축전지설비
7.7 비상전원사용의 배선
7.7.1 사용전선과 배선방법
7.7.2 「내화배선」을 필요로 하는 범위
7.8 전기실의 방화구획 및 소화설비
7.9 소화설비
7.9.1 옥내 소화전 설비
7.9.2 스프링클러 설비
7.9.3 연결 송수관
7.10 제연설비
7.10.1 연기의 거동
7.10.2 소방법령상의 제연설비
7.10.3 건축법령에 의한 배연설비
제8장 반송설비
8.1 반송설비
8.2 엘리베이터
8.2.1 엘리베이터 계획
8.2.2 조닝과 배치계획
8.2.3 건축설계상의 엘리베이터 제원
8.2.4 비상용 엘리베이터
8.3 에스컬레이터
8.3.1 에스컬레이터의 여러 요소
8.3.2 난간의 형상
8.3.3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자료출처 :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첫댓글 조은 정보 감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