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Ⅲ(국어, 도덕, 사회) , 교육과학기술부.
【2-말-(4)】문학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말을 실감나게 표현한다.
【내용 요소의 예】
◦ 인물의 말에 성격이 반영됨을 이해하기
◦ 인물의 성격 파악하기
◦ 알맞은 목소리와 어조로 표현하기
◦ 작품의 내용을 역할극으로 표현하기
이 성취 기준은 문학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말을 해 봄으로써 표현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설정하였다. 문학 작품에는 다양한 언어 표현, 목소리, 어조를 연습할 수 있는 말하기 학습의 자료가 풍부하게 제시되어 있다. 작품에 나오는 인물의 말을 알맞은 목소리와 어조로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둔다.
상황에 따라 목소리의 크기나 어조를 달리하여 말하는 것은 구어 의사소통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목소리나 어조는 의사소통의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말하는 이의 심리를 반영한다. 학습자들은 작품 속 인물의 말을 표현해 봄으로써 작품의 내용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고 나아가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요구되는 말하기에 대한 감각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인물의 말에 성격이 반영됨을 알고, 인물의 성격을 살려 알맞은 목소리와 어조로 말해 보게 한다. 인물의 말을 실감나게 표현해 본 후 모둠별로 또는 전체 학급에서 작품의 내용을 역할극으로 표현하게 한다. 이 성취 기준의 내용 요소 중 ‘인물의 말에 성격이 반영됨을 이해하기’는 2학년 듣기 영역의 성취 기준 ‘(4) 인물의 말과 행동에 주의하면서 인형극을 본다.’와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다.
【담화의 수준과 범위】어린이를 위한 이야기, 드라마, 영화 등에 등장하는 인물의 말
역할극을 통해 표현해 볼 만한 인물의 말이 포함되어 있는 문학 작품,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등을 선정한다. 작품 전체에서 인상적인 부분이나 인물의 말과 행동이 부각되어 있는 부분을 발췌하여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