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가(acid value; A.V.) 측정 |
![]() |
- 산가(acid value; A.V.)= 유리지방산가 = 중화가
- 대표적인 유지의 산가
- 쇠기름 : 0.25
- 대두유 : 0.3∼1.8
- 참기름 : 9.8
|
|
- 옥수수유 : 1.37∼2.02
- 피마자유 : 0.12∼0.8
- 돼지기름 : 1.56
| |
1. 원 리 |
- 산가란?
시료 1g 중에 함유하고 있는 유리지방산을 중화하는데 요하는 수산화칼륨의 mg수
- 유지는 glycerol(=glycerine)과 지방산의 ester결합
 산화에 의해 ester 결합이 파괴되어 유리지방산과 glycerol 생성
- 산가는 지방산이 glycerol과 결합되고 있지 않은 유리지방산의 양을 계측하는 것
- RCOOH + KOH → RCOOK + H2O
- 유지 특유의 수치가 아니라 보존 산패 등에 의해 변하는 변수로 유지의 품질판정에 대단히 중요
특히 유지의 산패정도를 나타내는 기준이 되는 값 |
2. 시 약 |
- N/10 KOH-ethanol 용액
- 순 KOH 6.4g을 가급적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95% ethanol로 희석시켜 1ℓ로 함
(순도: 85%)
- 95% ethanol 로 희석시켜 1ℓ로 함
- 2∼3일 방치후 여과
- 수산(oxalic acid) or 안식향산(benzoic acid) 로 적정 후 역가를 구함
- 95%-ethanol 용액 만들기
- 0.1N KOH-ethanol 용액 표정
- 0.2∼0.3g의 안식향산(C6H5COOH)를 정평하여 ether-ethanol 혼액 10ml에 녹인 후, phenolphthalein 용액 2∼3방울을 가하고 0.1N KOH로 적정
⇒ factor 구함 (종말점: 미홍색이 1분간 지속되는점)
- H2C2O4·2H2O(oxalic acid(수산) = 126.06)을 정확히 평량하여 증류수로 용해시킨후 N/10 KOH 용액을 뷰렛에 넣어 적정(V) ⇒ factor 구함

- ether-ethanol 혼액 (1 : 1 또는 2 : 1)
- 1% phenolphthalein 용액 또는 1% thymophthalein 용액
|
3. 실험방법 |
- 삼각 flask에 시료 20∼30g 을 정평(표 10-1기준)
- 여기에 ether·ethanol 혼액 100ml를 가하여 흔들어 용해(고체시료일 경우 미리탕욕상에서 가온용해하여 용제를 가하여 용해)
- phenolphthalein 지시약(2∼3방울)을 가함
- N/10 KOH-ethanol 용액으로 적정 (종말점 : 30분간 미홍색 지속)
- 동시에 시료를 가하지 말고 똑같은 방법으로 공시험을 한다.
- 산가 계산
- a : 수산화칼륨용액의 소비량(ml)
- b : 수산화칼륨용액의 규정도(0.1)
- S : 시료채취량(g)
- F : 수산화칼륨용액 역가
|
4. 연습문제 |
- 산가란 무엇을 말하는가?
- 유지의 산가측정시 시료를 녹이기 위해 용매로 보통 사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 유지의 산가 측정시 지시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 0.1N-KOH ethanol 용액을 표정하기 위해 안식향산(C6H5COOH, 분자량 122) 0.2545g 을 취하여 ether·ethanol 혼합용매에 녹여 적정한 결과 20.50ml가 소비되었다면 0.1N-KOH의 factor는 얼마인가?
- 유지시료 7.6543g 을 취하여 산가 측정실험을 한 결과 0.1N-KOH 용액(factor 1.02)의 소비량이 1.25ml였고, Blank test의 소비량이 1.01ml였을 때 산가는 얼마인가? 단 KOH의 분자량은 56.11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