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사 음식의 명칭 |
|
|
|
 |
메(밥) |
제삿밥으로 신위의 수대로 식기에 수북히 담고 뚜껑을 덮는다. 추석절에는 송편으로, 설날에는 떡국으로 대신한다. |
|
|
 |
갱(국) |
신위의 수대로 대접이나 주반에 담으며 쇠고기와 무우를 네모로 납작하게 썰어서 함께 끓인다.
|
|
|
 |
편(떡) |
제사에 쓰는 떡은 현란한 색깔을 피하므로 팥고물도 껍질을 벗겨 가급적 흰색을 띄는 백편으로 한다.
시제:약밥.국수.바람떡 |
|
|
 |
탕(찌게) |
양념에 파, 마늘, 고추 등을 쓰지 않고 1.3.5 등 홀수로 준비하며, 그릇에 담을 때 건데기만 추려담아 뚜껑을 덮는다. 육탕(쇠고기), 소탕(두부), 어탕(생선), 계탕(닭고기), 북어탕 등.
|
|
|
 |
전(부침) |
기름에 튀기거나 부친 것으로 짝수로 준비한다. 동태전, 육전(쇠고기 다진 것), 배추전, 김치전, 녹두전 등
맛살꽂이.표고전.송이전.명태전.야채전 |
|
|
 |
적(구이) |
엿날에는 육적, 어적, 계적의 3적을 세번의 술잔을 올릴 때마다 바꾸어 올렸으나 현대에는 한번에 준비하여 올리며 홀수로 준비한다. 육적, 어적(조기구이), 소적(두부), 계적 등
시제:수헌 어적(숭어 지단입힌것) 아헌 치적(닭다리지단입힌것) 간적(소고기간지단입힌것) |
|
|
 |
채(나물) |
숙채- 익힌 채소로 한접시에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 나물 등 삼색 나물을 곁들여 담거나 한 접시씩 따로하여 뚜껑을 덮는다. 침채- 희게 담은 동치미, 백김치, 나박김치 등을 쓰며 고추가루는 쓰지 않는다.
|
|
|
 |
포 |
건포를 쪄서 익혀 사용하며 북어포, 대구포, 문어포, 상어포, 육포 등이 있다. 시제: 육포와 어포
|
|
|
 |
유과류 |
약과, 산자(흰색) 강정 등
|
|
|
 |
과일 |
대추, 밤, 감 (홍시 또는 곶감), 배의 4종류에 계절에 따라 수박, 참외, 사과 등을 준비한다.
|
|
|
|
기타
당속 - 오화당, 옥춘, 원당 등 다식 - 송화다식, 녹말다식, 흑암자다식 등 정과 - 연근정과 , 생강정과, 유과정과 등 |
* 제사음식에 쓰이는 삼실과의 의미
|
|
* 제사음식에서 피하는 몇 가지 음식
과일로는 복숭아, 생선으로는 치로 끝나는 생선(예 : 멸치, 갈치, 삼치 등)은 피하고, 나물에는 마늘, 파, 고춧가루 등의 양념은 하지 않는다. (생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기타 양념은 무방함)
*기타 제사 음식을 조리 하며 생긴 유래
1.생선에 꼬지를 넣는 이치는 생선이 처지지 마라는 의미와 후손들이 뼈대있는 가문에
후손이 되라는 의미가 있다
2.생선을 손질 하며 꼬리와 지느러미를 자르지 않는 의미는 후손들이 혼세상을 자유로히
활개치며 살아라는 의미가 있다
3.계적에 닭 머리는 꼭 있어야 한다 닭벼슬은 벼슬을 의미 하기에 목을 자른다는건
벼슬길을 막는 이치라는 의미이다
이상은 의성 김씨 종가댁 종부로 부터 채록한 자료 임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