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n Cultural Art Masters at NOVA | |||
2007년 제 2회 워싱턴 한미문화축제 | |||
The most unforgettable memory of my academic career was my awkward awareness, half-way through a lecture to mid-career professional officers, that my students knew the subject better than me. So it is with great trepidation that I now respond to a request that I, an Anglo westerner, should review for Korean readers of the Korea Monitor a Korean Master presentation of classical Korean dance and folksong. A more inappropriate commentator could scarcely be imagined. Offended readers ? there may be thousands ? can send corrections, complaints and insults to me at the Monitor’s email address.
Those who attended the Second Annual Korean-American Cultural Arts Festival, at NOVA/Alexandria on September 16, witnessed flawless performances of traditional dance and music (including sever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by thirteen Cultural Art Masters and other highly talented artists. They are the apotheosis of governmental determination to revive performing arts and university arts programs from the neglect of pre-1965 obsession with economic development. In December 1964 the Government of Korea designated several categories of endangered traditional art repertoires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for purposes of research, teaching and performance; and contributed to the support and encouragement of artists who had acquired traditional performance technique from ancestors and private teachers. It was the quintessence of that preservation of Korean cultural heritage that the Korean-American Cultural Arts Foundation brought to NOVA, under sponsorship of the Korean Embassy and KORUS House, Korea Monitor, the Overseas Korean Foundation and the Black Leadership Council for Excellence. There was, for example, perfection twice over in Master Soo Dong Lee’s humanistic entreaty for world peace through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al Earth and Sky; and also in the dance Han Ryang Mu, depicting a man of elegant taste and finesse who announces his refinement through subtle movement, serenity and self-assurance. In Choonhyang-ga, Masters Yu Lim Jin and Yi Jo Lim adapted the love song from the famous p’ansori, but in pantomime dance form. It exemplified purity of heart in commitment, the emotion of separation and eternal devotion between two lovers despite adversity. In the original p’ansori, dating from late seventeenth century, the love song is that of aristocrat Yi Mongryong as he wins and unofficially marries commoner Seong Choonhyang. Their marriage is ruptured by his reassignment to distant Seoul with his magistrate father; during which the new magistrate attempts to take Seong as a concubine. She resists through torture and near-death before being rescued by Yi, now the newly appointed royal inspector. Following this delicate dance, five vivacious ladies performed Jindo Bukchum, an ancient barrel-drum dance originally devised to lift the spirits of agricultural workers on Jindo Island; and Janggo Chum, an hour-glass-shape drum dance of farmer bands (nongak) who played in village rituals and when encouraging agricultural and fishing work teams. The celebrated Master singer Chun Hee Lee provided a pair of lyrical, bright and expressively delivered folk songs, part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57, from Kyonggi Province. Equally authoritative were four sets of instrumental interpretation. The renown and exuberant Master of kayageum and ajaeng, In Young Baek, delivered robust sanjo on both instruments; flute Master Yong Koo Lee presented a powerful taegum sanjo; then both joined with very talented kayageumist So Yeun Jung (former leading kayageum of the Cheonan City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in a rousing Harmony of East and West that included, yes, a pentatonic “Amazing Grace” interwoven with various Korean melodies. One particular highlight of the evening was Master Yu Lim Jin’s remarkable artistic version of the spirit-cleansing Sal Puri Choom. This ouvre emerged from the Three Kingdoms Era as a shaman dance, with improvised wind and percussion accompaniment, intended to exorcise evil spirits at the climax of a cleansing ritual. It is one of the most powerful expressions of the sense of han, a mixture of grief and longing. In her contemporary art version, Yu Lim Jin reinterprets Sal puri choom as a model of impervious integrity and decorum. Clad entirely in white, she responds initially to sorrowful sinawi rhythm with sadness and anxiety, but builds energetic trance-like movement as the rhythm accelerates. Happening upon a large drum, she exalts her rejection of evil in burst of syncopation that Gene Krupa would have difficulty matching. This was an astonishing display of skill that ignited the audience in spontaneous applause and cheers. The Festival performance opened with a spectacular exhibit of Choson (Joseon) Dynasty royal costumes authentically re-created by Master Soo Dong Lee, and modeled by some two dozen volunteer “courtiers”. On September 27 Master Yi Jo Lim will conduct a traditional dance workshop at the Korean Cultural Service in New York, and on following days the entire cast will perform in the New York City Cultural Center. This Second Annual Festival played to a full house. Its brilliant success suggests that a larger venue may be necessary next year; and it alerts traditional music afficianados to be first in ticket queue for the Third Annual Festival, or risk standing room only.
|
♦ 제2회 한미문화축제 "안익태 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
일시:2007년9월16일
장소:노던 버지니아 대학 캠퍼스 슐레진저 홀
관객 절반이 미국인
이수동 전통한복 디자이너의 조선왕조 궁중 예복과 혼례복을 선보이며 다채로운 색채와 왕실의 장엄함 소개
9.11사태와 버지니아 텍 사건때 희생된 많은 영령의 명복을 기리는 승무 명인 임이조의 ‘天舞’와 한량무 공연.
진유림 살풀이 춤, 백인영 명인의 가야금 산조, 이춘희 명인의 경기민요,5명으로 구성된 진도북춤과 장구춤 등 선보여.
특기사항: 한인 2세 청소년 중심 60여명이 자원봉사 모델로 참여, 우리문화 체험 기회 제공. 초중고 교사 150명 등
워싱톤 지역 교육계 인사들이 대거 초청됐으며 공연 후 명인들과 함께 워크샵과 리셉션이 있었다.
공연평 제2회 한국 명인들의 한미축제
지난 9월16일 노던 버지니아 커뮤니티 칼리지 알렉산드리아 캠퍼스 슐레진저 홀에서 제2회 한국명인들의 한미축제가 있었다.
이수동 전통한복 디자이너의 조선왕조 궁중 예복과 혼례복을 선보이며 다채로운 색채와 왕실의 장엄함을 50여명의 자원봉사 모델들을 통하여 소개하였다.
승무의 명인 임이조는 하늘과 땅, 한국인의 정서를 그린 天,地,人의 연관성을 ‘天舞’로 표현하였다. 특별히 이번 무대에서는 9.11사태와 버지니아 텍 사건때 희생된 많은 영령의 명복을 기리는 마음을 담아 추었는데, 향로를 받들며 여러 모습의 한국적 정취의 춤사위와 수려하면서도 현대적 감각을 물씬 풍기는 독무는 무대 아래 객석에 내려와서야 춤사위를 마쳤다.
임이조 명인은 2부에서 천무와는 극명한 대비를 이루는 ‘한량무’를 추었다. 관 대신 갓을 쓰고 흰 도포자락의 날렵함을 절묘한 부채동작과 함께 흥겨운 어깨춤과 명쾌한 발디딤의 세련된 춤사위로 옛 조상들의 풍류를 한량의 모습을 통하여 묘사하였다. 임이조는 판소리 ‘춘향가’ 중 잘 알려진 사랑가를 진유림과 함께 극형식의 춤으로 재구성하여 춤사위로 표현하였는데, 반달의 영상처리, 국악 반주로 시작한 배경음악을 현대 감각의 음악으로 전환하여 효과를 높여 주었다.
진유림은 살풀이 춤에서 독무로 흰옷과 큰 북이 어우러지며 섬세한 모든 동작의 치밀한 묘사로 살풀이 춤의 진수를 보여 주었다. 백인영 명인의 가야금 산조는 정제된 기교와 잘 공명된 소리가 어우러지며 가야금의 진수를 보여 주었으며, 아쟁산조를 연주하며 거칠지만 장엄한 느낌을 주는 음색을 받침대를 기준으로 활의 위치와 속도의 가감 등을 왼손의 활발한 운지와 날렵한 활의 주법으로 산조 한곡으로 이미 아쟁이 무엇인가를 보여 주었다.
‘대금, 거문고, 아쟁’이 함께 어울려 연주한 ‘동서양의 하모니’는 대금의 긴 전주에 이어, 아쟁이 연주하는 ‘아리랑’과 대금의 ‘어메이징 그레이스’가 거문고와 함께 어우러지며 동∙서양의 잘 알려진 두 멜로디를 동시에 때로는 교차로 리드미컬하게 아쟁이 리드하며 관객과의 교감을 자연스레 이루어 간 백인영 명인의 다른 면모를 보여준 흥취있는 무대였다. 이춘희 명인은 경기민요 예능 보유자답게 경기민요만을 택하여 열창하였는데, “…아니노지는 못하리다” 등 귀에 익은 친숙한 가사로 마음에 다가왔다.
긴 호흡의 안정감, 열린 발성, 극적인 감정표출 등 새로운 감동을 주었다. 박옥초, 조소리와 같이 한 뱃노리는 청중들과 박수로 화답하며 교감을 이루며 경기민요의 진수를 보여주었는데, 마이크 준비 연결이 가끔 매끄럽지 못하여 맥이 끊이게 된 것이 옥의 티였다.
무대 입구쪽에서 장구, 가야금, 대금의 실제 반주는 음악적 감흥을 배가시켜 주었다. 병풍을 뒷배경으로 앉아서 연주한 이용구의 대금산조는 최상급의 연주였다. 청아하면서도 낭랑한 음색과 안정된 기교, 깊은 감동을 주는 음악성 등 나무랄 것이 없는 완벽에 가까운 연주로 감동의 여운을 남겨 주었다.
5명으로 구성된 진도북춤과 장구춤은 리드미컬하면서도 우아한 자태를 견지하는 신명나는 춤으로 1부의 끝순서와 2부 마지막 대미를 장식하는데 손색이 없었다. ‘한인 명인들의 한미축제’는 최고 수준의 한인 명인들에는 별 이견이 없으나, 한미축제에 걸맞는 더 많은 미국인들의 참여를 기대해 본다.
유관일/WBS방송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