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무과와 조선특급무장 이순신 장군의 무력
과거시험에서 3년마다 돌아오는 식년에 치루는 과거를 식년시라 하고 무과 28인과 문과 33인을 뽑는 것은 經國大典경국대전의 원칙이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初試초시는 院試원시와 鄕試향시로 구분하였으며, 원시는 훈련원이 이름을 적어 70명을 시험 보아 뽑고, 향시는 각 도(경기이외)의 병마절도사가 差使員차사원을 정하여 이름을 적어 시험 보아 뽑으니 경상도 70인, 충청도, 전라도가 각각 25인, 강원도, 황해도, 영안도(함경도),평안도가 각각 20인 이었다.(훈련원70+향시200=270명)
覆試복시(會試회시)는 兵曺병조가 훈련원의 七品官칠품관과 같이 이름을 적어 시험을 치러 인재를 뽑되 矢數시수는 初試초시와 같이 하고, 講書강서는 四書五經사서오경중의 하나, 武經七書무경칠서중의 하나, 그리고 通鑑통감, 兵要병요, 將鑑博議장감박의, 武經무경, 小學소학중의 하나를 골라 스스로 원하는 바에 따라 시행하고,
殿試전시는 騎步擊毬기보격구를 이용하여 그 실력의 고하를 가려 甲科갑과 3인, 乙科을과 5인, 丙科병과 20인으로 하니 이것이 이른바 武選무선(무관의 선발 방식)이다.
조선시대 무관을 뽑을 때 세 번의 시험을 치루는데,
초시는 훈련원(경기도포함)에서 70명, 나머지 7도에서 병마절도사가 200명 합 270명을 뽑았고,
복시는 병조에서 주관하여 270명에 대하여 병서와 경전과 무예시험을 치루고,
마지막으로 임금 앞에서 치루는 전시에서 28명을 선발하는 엄청 어려운 시험을 거친 문무겸전의 조선특급무장을 뽑는 과정이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이순신 장군은 宣祖선조 9년(1576) 식년시에서 丙科병과 4위로 급제하였으니(아래 입격자 명단을 보면 이순신의 합격 등위는 해당 무과 과거시험 급제자 29명 중에 12등에 해당한다.) 이미 무관의 길에 들어선 전현직 관리가 25명 포함되어 있었으므로, 이 과거 급제로 처음 관직에 진출한 이순신의 급제 등수는 낮은 편이 아니었다. 그는 무력을 간단히 볼 수 없는 조선특급무장이다.
조선특급무장들의 신체적 능력으로 보면 국대 올림픽 대표선수중 최상위급 내지 프로선수중 최상위급으로 봐야 할 것이다.
[무과] 宣祖선조 9년(1576) 丙子병자 式年試식년시 입격자 명단
순위 | 성명 | 생년 | 본관 | 합격 등급 | 비고 |
1 | 文命新문명신 | 1544 | 昆眉곤미 | 式年試식년시 甲科갑과 1위 | 壯元 |
2 | 朴宗男박종남 | 1549 | 密陽밀양 | 式年試식년시 甲科갑과 2위 |
|
3 | 愼好義신호의 | 1550 | 居昌거창 | 式年試식년시 甲科갑과 3위 |
|
4 | 柳夢經유몽경 | 1543 | 文化문화 | 式年試식년시 乙科을과 1위 |
|
5 | 宋鳳壽송봉수 | 1539 | 東萊동래 | 式年試식년시 乙科을과 2위 |
|
6 | 元 熹원 희 | 1543 | 原州원주 | 式年試식년시 乙科을과 3위 |
|
7 | 柳之榮유지영 | 1542 | 晉州진주 | 式年試식년시 乙科을과 4위 |
|
8 | 金大器김대기 | 1549 | 安東안동 | 式年試식년시 乙科을과 5위 |
|
9 | 黃義元황의원 | 1548 | 長水장수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1위 |
|
10 | 黃順孝황순효 | 1536 | 平海평해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2위 |
|
11 | 李慶祿이경록 | 1543 | 全州전주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3위 |
|
12 | 李舜臣이순신 | 1545 | 德水덕수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4위 |
|
13 | 閔士俊민사준 | 1537 | 驪州여주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5위 |
|
14 | 申 欽신 흠 | 1540 | 平山평산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6위 |
|
15 | 尹大受윤대수 | 1545 | 平山파평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7위 |
|
16 | 金德寬김덕관 | 1534 | 淸風청풍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8위 |
|
17 | 李希龍이희룡 | 1549 | 慶州경주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9위 |
|
18 | 申 曄신 엽 | 1537 | 平山평산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10위 |
|
19 | 尹思恭윤사공 | 1549 | 坡平파평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11위 |
|
20 | 金弘福김홍복 | 1539 | 順天순천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12위 |
|
21 | 南致溫남치온 | 1532 | 宜寧의녕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13위 |
|
22 | 崔士恭최사공 | 1540 | 全州전주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14위 |
|
23 | 金成業김성업 | 1553 | 義城의성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15위 |
|
24 | 朴大男박대남 | 1554 | 竹山죽산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16위 |
|
25 | 成永吉성영길 | 1544 | 昌寧창녕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17위 |
|
26 | 具思稷구사직 | 1549 | 綾城능성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18위 |
|
27 | 秦夢暹진몽섬 | 1538 | 忠州충주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19위 |
|
28 | 李忠信이충신 | 1552 | 陽城양성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20위 |
|
29 | 李邦佐이방좌 | 1538 | 慶州경주 | 式年試식년시 丙科병과 21위 | 淸州牧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