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계나루 (하늘은 날더러 바람이 되라 하고...) / 펌 |
---|
중원 돌아보기 답사 2007년 5월 5~6일.날씨 흐림 [한국의산천 ]
강물 따라 떠나는 충주 남한강 역사를 품고 유유히 흐르는 물줄기 우리 국토의 한가운데라고 말하는 중원(中原) , 중원문화권의 중심을 돌아보겠습니다.
우리의 문화유산. 아는 만큼 보이고, 보는 만큼 느끼고 알게 된다. 알면 곧 참으로 사랑하게 되고, 사랑하면 참으로 보게 되고, 볼 줄 알게 되면 모으게 되니 그것은 한갓 모으는 것은 아니다 (아는 만큼 사랑하게 되고 보인다. 知則爲眞愛 愛則爲眞看 看則畜之而非徒畜也.) 유한준(兪漢雋, 1732 - 1811. 정조 때의 문장가)
답사코스 목계나루터 - 봉황리 마애석불 - 장미산성 - 고구려비 - 중앙탑 - 누암리 고분군 - 창동 5층석탑 - 창동마애불 - 탄금대.
목계나루
예로부터 남한강 수운 물류교역의 중심지였으며 내륙항 가운데 가장 큰 규모를 자량했던 남한강 목계나루.
▲ 목계나루 碑 ⓒ 2007. 한국의산천
목계나루
▲ 목계나루터 碑ⓒ 2007. 한국의산천
남한강의 목계나루는 나라의 세금을 거둬들이는 수곡선이 들어갈 수 있는 남한강 수운의 종점이었다. 곡식 사백 가마니를 실은 배 20여 척이 서로 교차할 수 있었고, 나루 건너편에 세금으로 거둬들인 곡식을 보관하는 가흥창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사과나무 몇그루만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 강변식당의 샘터ⓒ 2007 한국의산천
▲ 신경림 시비 (상세히 보시려면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 2007 한국의산천
목계장터
신경림
하늘은 날더러 구름이 되라 하고
▲ 신경림 시비 ⓒ 2007 한국의산천
▲ 목계장터 시비는 판화가 이철수님의 글씨이다. ⓒ 2007. 한국의산천
▲ 목계 별신제 , 줄다리기 유래비 ⓒ 2007. 한국의산천
목계교를 건너면 신경림 시비와 나루터 유래비, 별신제 줄다리기 유래비 그리고 몇몇 매운탕집과 수석가게가 있다.
가흥창과 별신제,줄다리기
가흥창은 충북 중원군 가금면 가흥리 남한강변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조창으로 원주의 흥원창, 춘천의 소양강창과 더블어 수참선으로 세곡을 운반하는 참운의 좌수참에 속하여 좌수참창이라고도 하였으며, 1465년(세조11)에 설치되었다. 쌀이나 소금 등을 실은 배가 무시로 드나들었고, 배가 들어와 강변장이 설 때면 각지에서 장꾼과 갖가지 놀이패와 들병이들이 왁자하게 몰려 난장을 벌이고 북새를 이루었다.
이렇게 번성하던 곳이니 만큼 한해 뱃길이 무사하고 장이 잘되기를 비는 별신제도 해마다 크게 치러졌으며 그 과정의 줄다리기도 또한 유명하였다.
▲ 밤하늘의 달을 벗삼아.ⓒ 2007. 한국의산천
▲ 새벽 여명이 보이는 듯하다가 이내 구름에 휩싸이는 태양.ⓒ 2007. 한국의산천
다시쓰는 택리지 충청도 목계장터(1권, 344-345쪽)
▲ 황포돗배 너머로 새로 지은 목계대교가 보인다 ⓒ 2007. 한국의산천
신라와 고구려를 지난 남한강 물줄기는 장미산성을 크게 휘돌아 흐르며 목계나루로 이어진다. 목계나루는 강물이 말라붙은 갈수기에도 언제나 배가 드나들 수 있는 남한강 수운의 가항종점(可航終点)이었다. 조선 시대에 재정 확보를 위해 거둔 쌀과 베 따위를 보관하는 창고인 가흥창(可興倉)도 이 곳에 있었다.
생선이 있으면 파리가 날아들고 나락이 쌓여 있으면 쥐가 들끓듯이 이곳 가흥참도 예외는 아니었던 모양이다. 선산부사를 지낸 점필재 김종직이 이곳을 지나며 ‘가흥참(可興站)’이라는 시를 남겼는데 경상도 백성들이 세곡을 바치는데 따른 고통과 부패한 가흥참 관리들의 실상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어 읽어 볼 만하다. 예로부터 남북의 한계가 되었는데 북인들은 호화로운 생활을 탐하여 남인들의 기름과 피를 달게 여기네 우마차로 험난한 산길을 통해라 들판에는 장정 남자가 전혀 없네 밤이면 강가에서 서로 베고 자노니 아전들은 어찌 그리도 탐획한고 시장에선 생선을 가늘게 회치고 모점에는 술이 뜨물처럼 하얀데 돈 거두어 노는 계집 불러오니 머리꾸미개에 연지를 발랐네. 백성들은 심장을 깎는 듯 괴로운데 아전들은 방자히 취해서 떠들어대며 또 두곡(斗斛)의 여분까지 토색을 하니 조사(漕司)는 의당 부끄러울 일이로다 관에서 부과한 건 십분의 일인데 어찌하여 이분 삼분을 바치게 하나 강물은 스스로 도도히 흘러서 밤낮으로 구름과 아지랑이를 뿜어내는데 배 돛대가 협곡 어귀에 그득히 북쪽에서 내려와 다투어 실어가니 남인들의 얼굴 찡그리고 보는 것을 북인들이 누가 능히 알겠는가. [출처: 이지누 한강을 걷다]
▲ 동트기 직전의 남한강 목계나루 ⓒ 2007. 한국의산천
강가의 아침은 상쾌하다. 이른 새벽부터 물새 소리에 잠을 깼다. 오리가 이리 저리 나르고 이름 모를 새들도 많은 곳이다.이곳 남한강은 야생 오리들의 천국이다. 강 건너에서 낚시하는 사람이 손을 흔들며 인사를 건네온다.
일제 시대까지만 해도 목계나루엔 인천항에서 소금, 건어물, 젖갈류, 생활 필수품 등을 싣고 온 황포돛배가 수십 척씩 붐볐다. 이런 물건들은 내륙 지방인 충청도와 강원도, 그리고 백두대간 너머 경상도의 문경과 상주 각지로 팔려 나갔다. 당시 뱃일하는 인부만도 500여 명이나 되었다 하니, 나루와 이어진 목계장터는 언제나 시끌벅적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젠 모두 옛 일에 불과하다. 위용을 자랑하던 조창은 모두 허물어졌고, 주변엔 주춧돌 몇 개와 깨진 기왓장만이 뒹굴고 있을 뿐이다. 강나루의 흔적마저도 모래를 퍼내고 강 언덕에 축대를 쌓으면서 형편없이 변했다. 또 늘상 인파로 북적거렸을 목계장터는 지금은 매운탕집과 수석 가게들만이 한적한 풍경화를 연출할 뿐이다.
목계나루에서 20리쯤 떨어진 노은면 연하리에 태를 묻은 신경림 시인에게 목계나루는 소중한 추억의 장소다. 시인은 광복 이듬해인 초등학교 4학년 때 목계나루 솔밭으로 소풍을 갔다가 목계장터를 보곤 강렬한 인상을 받게 된다. 당시까지만 해도 목계나루는 제법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는 시인의 기억 속에 오랫동안 이어지다가 마침내 ‘목계장터’라는 명시로 열매를 맺는다.
▲ 목계교 ⓒ 2007. 한국의산천
정약용이 쓴 글 중 한강 가에서 살기 좋은 몇 곳을 꼽은 것이 있다. 청담(淸潭) 이중환이 쓴 <택리지>를 읽고 쓴 발(跋)이 그것이다. 그 자신도 한강에 잇대어 있는 소내(苕川)에 살지만 그곳은 오로지 풍광만이 아름다울 뿐 생활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은 곳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북한강에서는 춘천의 천포(泉浦)와 지금의 설악면 일대인 미원(迷源), 그리고 남한강에서는 여주의 백애(白厓)와 충주의 목계를 꼽았다.
산이 뒤를 막았는가 하면 앞으로는 여울소리 아름다운 강이 흐르고 큰 배가 닿을 수 있는 마지막 나루터였기에 장터는 언제나 북적거렸으니 그 아니 좋았겠는가.
▲ 전시된 황포돗배 ⓒ 2007. 한국의산천 황금기를 이루었던 그 영화의 세월을 간직한 체 뚝 위에 서있는 황포돗배
▲ 황포돗배가 서있는 곳에서 장미산을 바라보며 ⓒ 2007. 한국의산천
목계 나루가 있는 곳에서 바라 보았을 때 서울,여주방면으로 벋은 왼쪽의 (新)목계대교와 오른쪽의 목계교 풍경
▲ 목계나루 건너 강변의 자갈 ⓒ 2007. 한국의산천
하늘은 날더러 바람이 되라 하고
주변 유적지 둘러보기
중앙탑. 중원 탑평리 칠층석탑 http://blog.daum.net/koreasan/114414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