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복숭아심식나방 |
가. |
기 주 :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살구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등 |
나. |
가해상태 |
|
과실 속을 먹어 들어가 피해를 준다.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과실표면에 바늘구멍 같은 작은 구멍을 뚫고 먹어 들어간다. 유충이 들어간 자리에는 수지 또는 과즙이 흘러나와 이슬방울이 맺힌것과 같은 모양이다. 유충은 열매속을 불규칙하게 먹고 돌아다녀 과실을 전혀 먹을수 없게 한다. |
다. |
형 태 |
|
1) 성 충 : 몸은 암갈색 내지 회황갈색으로 겹눈은 적색이고 앞날개는 회갈색이고 날개의 양쪽에 검은색의 삼각 무늬가 있다. 머리에서 앞쪽으로 돌기가 나와 있고 앉은 모양은 팬텀 비행기 모습이다. 성충의 길이는 7∼8㎜이고 날개를 편 길이는 13∼15㎜이다.
2) 알 : 지름이 0.3㎜정도이고 원형으로 적색이다.
3) 유 충 : 머리는 황갈색이고 몸은 등색 또는 등홍색으로써 방추형이고 각 마디의 작은 암흑색 반점위에 작은 털이 나와 있다. 몸 길이는 12∼15㎜이다.
4) 고 치 : 흙속에 지으며 겨울고치는 편원형이고 여름고치는 거칠고 방추형이다.
|
라. |
생 활 사 |
|
1년에 1∼2세대를 지내며 땅 속에서 편원형의 겨울고치를 지어 노숙유충으로 겨울을 지낸 후 이듬해 봄 고치안에서 빠져나와 땅 지표면에 방추형의 여름고치를 만들어 번데기가 되는데, 제1회 성충은 6월상순부터 8월중순까지, 제2회 성충은 8월중순∼9월상순에 발생한다.
알은 반드시 과실에만 산란하는데 복숭아는 털이 길어서 털 사이에 낳는다. 성충은 낮에는 줄기, 잎, 봉지, 나무밑의 잡초사이에 숨고 해가 지면 나와 활동하며 산란한다. 주화성(走化性)과 주광성(走光性)이 없다.
<복숭아 심식나방의 생활사>

|
마. |
방 제 법 |
|
① 토양살충제 처리 : 다이아톤 또는 지오릭스입제를 5월하순과 7월하순 2회에 10a당 5㎏을 수관 밑에 고루 살포하고 긁어준다.
② 살란제 : 다이메크론 1,000배, 스미치온 1,000배, 오후나크 등의 약제를 6월상순부터 9월까지 10일 간격으로 4∼5회 살포하여 알을 죽이거나 알에서 깨어나오는 어린 유충를 잡는다.
③ 피해 과실의 제거 : 일단 과실을 뚫고 들어간 유충은 약제 살포로는 효과가 없으므로 유충이 탈출하기 전에 따서 물속에 담그어 질식시켜 죽인다.
④ 피해가 심한 과수원에서는 알을 낳기 전에 봉지를 씌운다.
⑤ 산란기에 석회볼도액을 살포하면 석회 성분에 의해서 기피작용을 시킨다.
⑥ 복숭아심식나방 페르몬을 설치하여 수컷 성충을 모아 잡는다. 현재 예찰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⑦ 천적으로 흰무늬꼬리납작맵시벌(Coccygomimus alboannulata)이 있다. | |
2. 복숭아순나방 |
가. |
기 주 : 복숭아나무,자두나무,매실나무,살구나무,사과나무,배나무 등 |
나. |
가해상태 |
|
각종 과수의 신초와 과실을 먹어 들어가 피해를 준다. 신초피해는 복숭아 나무가 가장 심하고 사과 및 기타 과수 순으로 피해를 준다. 5월상순 제1회 발생유충은 복숭아나무의 신초를 식해하고 제2회 유충은 신초와 웃자란가지 및 과실을 먹어 들어가며 제3∼4회 유충은 과실만 가해한다. 4∼5월 성충이 우화하여 길이가 10㎝ 정도인 신초 잎 뒷면에 알을 낳으면 부화유충은 잎자루의 부착부로부터 식입하여 신초의 어린 조직을 아래로 먹어 들어가는데 약 1주일에 피해신초가 말라 황색으로 변하면 진과 똥을 배출하므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1마리의 유충이 3∼6개의 신초를 가해한다. 과실에 침입하면 식입부로부터 즙액과 똥이 배출되므로 각종 나방과 파리, 말벌, 꽃등애, 개미 등이 몰려들게 되며 각종 병균이 전염되어 부패된다. 만생종 과실에 피해가 심하다.
|
다. |
형 태 |
|
1) 성 충 : 수컷은 몸길이가 6∼7㎜이고 날개를 편 길이가 12∼13㎜인 작은나방인데 머리, 가슴, 배 모두 암회색이다. 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약간 크다.
2) 알 : 납작한 원형이고 유백색이며 진주 광택을 가지고 있는데 1주일 후에는 광택을 잃고 홍색을 띠게 되며 7∼15일 사이에서 유충이 깨어나온다.
3) 유 충 : 머리는 황갈색 몸은 엷은 등황색이며 등에는 약간의 돌기가 나있다. 길이는 10∼13㎜이다.
4) 고 치 : 나무 껍질 속이나 죽은가지 등에 고치를 지으며 타원형이고 길이는 7∼8㎜이다. 늙은 유충으로 겨울을 지낸다.
|
라. |
생 활 사 |
|
연간 발생회수 및 발생기는 지역에 따라 약간 다르다. 추운 곳에서는 2∼3회 따뜻한 곳에서는 4∼5회 발생을 되풀이 한다. 제1회 성충은 4월하순∼5월하순, 제2회는 6월중·하순, 제3회는 7월하순∼8월상순, 제5회는 9월상순에 출현한다. 전체적으로 연간 최대 발생기는 8월하순∼9월하순경이다. 성충의 수컷은 7∼10일이고 암컷은 10∼14일 정도이며 낮에는 나무그늘에 숨고 해가 진후에 나와 활동한다. 다소 주광성이 있어 해가 진후 30∼60분 사이에는 유인되는데 강한 광선보다 약한 광선에 유인된다.
알을 낳는곳은 1화기에는 복숭아나무 신초 끝에서 3∼5매 하부의 잎 뒷면에 1개씩 낳고 제2회 성충 일부와 3∼4회 성충은 과실에 보통 3개씩 알을 낳는다. 월동 유충은 피해과에서 탈출하여 수간의 그늘진 곳이나 저장고 및 근처의 적당한 틈에서 고치를 만들고 그 속에서 월동한다.
<복숭아 순나방 생활사>

|
마. |
방 제 법 |
|
① 봄철에 거친 껍질을 제거하여 월동 유충을 잡아 소각시킨다
② 과실에 봉지를 씌워 산란 및 유충의 침입을 방지한다.
③ 피해과실은 유충이 탈출하기 전에 따서 물속에 담구어 질식시켜 죽인다.
④ 봄철 1화기 유충이 신초끝에 들어가 있을때 신초를 잘라 불태울 것. 말라버린 신초는 이미 유충이 다른 가지로 이동한 후이므로 잘라도 소용 없다.
⑤ 6월하순부터 9월까지 산란기에 데시스 1,000배, 더스반수화제 1,000배, 세빈 800배 등의 약제를 살포한다.
⑥ 당밀액을 만들어 유살병에 넣어 나무에 걸어놓고 유인하여 잡는다(당밀액은 5일마다 교체).
⑦ 자외선을 이용한 등화유살을 한다.
⑧ 페르몬으로 유인하여 잡는다.
⑨ 천적을 이용한다. 천적으로는 긴줄고치벌(Agathis conspicus). 줄고치벌(Agathis diversus). 철필뾰족맵시벌(Agrothreutes grapholithae). 배좀나방고치벌(Apanteies molestae). 순나방살이고치벌(Apanteles taragamas). 좀나방자루맵시벌(Diadegma motestae). 황다리금좀벌(Dibrachys cavus). 순나방고치벌(Eubadizon extensor). 순나방벼룩좀벌(Euplemus formosae). 송충살이납작맵시벌(Itoplectis alternans spectabilis). 좀벌레살이고치벌(Macrocentrus thoracicus). 뭉특고치벌(Meteoridea japonensis). 외줄좀벌(Pediobiu pyrgo). 솜씨벌레자루맵시벌(Pristomerus vulnerator). 중국자루맵시벌(Pristomerus chinensis). 세줄좀벌(Tetrastichus ibseni). 안경꼬마자루맵시벌(Trathalaflavoorbitalis). 송충알벌(Trichogra㎜a dendrolimi) 등이 있다.
| |
3. 복숭아명나방 |
가. |
기 주 : 복숭아나무, 양벚나무, 사과나무, 자두나무, 감나무, 귤나무, 석류나무, 밤나무 등 |
나. |
가해상태 : 유충이 과실을 뚫고 들어가 식해하며 똥을 배출한다. |
다. |
형 태 |
|
1) 성 충 : 몸 길이는 15㎜ 정도이고 날개를 편 길이는 25∼30㎜이며 가슴과 배에 흑색 반점이 있고 앞 날개에는 20개, 뒷 날개에 10개 정도의 흑색점이 있다.
2) 알 : 길이가 0.6㎜ 정도이고 납작한 타원형이고, 유백색 내지 담홍색이다.
3) 유 충 : 몸길이가 25㎜ 정도이고 앞가슴은 갈색이며 몸은 암갈색이고 배면은 담록색이다. 각 마디에 몇개의 흑색점과 긴 털이 나있다.
4) 번데기 : 약간 모가 진 긴 타원형이고 갈색이며 몸 길이는 13㎜ 정도인데, 나이롱망 같은 회백색의 고치속에 들어있다.
|
라. |
생 활 사 |
|
1년에 2회 발생하고 노숙 유충으로 엉성한 고치속에서 월동하여 이듬해 6월에 복숭아나무 또는 과실의 표면에 알을 낳는다. 알은 1주일 후에 부화하며 부화 유충은 과실속으로 먹고 들어가 과실 표면에 암갈색의 똥과 즙액을 배출한다. 1 마리가 여러개의 과실을 식해하고 다 자라면 수피 틈에서 고치를 만들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유충 기간은 20일 정도이고 번데기 기간은 10일이며 고치의 표면은 나무 부스러기로 덮여 있고 회황색이다. 제2회 성충은 7월하순∼8월상순에 발생하여 1화기 때와 같이 생활한다. 10월경에 노숙 유충 상태로 수간의 표피사이에 고치를 만들고 그 속에서 월동한다
<복숭아명나방 생활사>

|
마. |
방 제 법 |
|
① 피해과는 유충(어린벌레) 탈출 전에 따서 물에 담구어 질식시켜 죽인다.
② 봄철 일찍 거친 껍질을 제거하여 겨울을 나고 있는 고치를 제거하고 기계유유제를 살포한다.
③ 봉지를 잘 씌워 유충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④ 알에서 깨어나 과실에 뚫고 들어가기 전에 복숭아 심식나방 방제와 겸해서 약제를 살포한다.
⑤ 천적을 이용한다. 천적으로는 먹수염납작맵시벌(Acropimpla persimilis)과 가시은주둥이벌(Ectemnius<Metacrabro> spinipes)이 있다. | |
4. 복숭아굴나방 |
가. |
기 주 :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매실나무, 사과나무 등 |
나. |
가해상태 |
|
유충이 엽육 사이를 굴모양으로 식해하며 원형으로 돌아 다니면 자갈색으로 되고 구멍이 생긴다. 심한 경우 잎 전체가 걸레모양으로 찢어지고 낙엽된다.
|
다. |
형 태 |
|
1) 성 충 : 길이는 3㎜ 정도이고 앞 날개는 은백색이며 황백색의 줄이 몇 개 있다. 뒷날개는 회백색이다.
2) 유 충 : 몸길이는 6㎜ 정도이며 몸이 납작하고 양끝이 뾰족하다. 머리의 색은 달걀색, 몸은 담록색이고 가슴과 다리는 흑색이며 짧다.
3) 번데기 : 길이는 4㎜ 정도로 방추형이며 담록색을 띤다.
4) 고 치 : 길이 5㎜의 백색 방추형으로 흰실같은 줄을 늘인 속에 달려있다.
|
라. |
생 활 사 |
|
1년에 4∼7회 발생한다. 따뜻한 지방에서는 7회 발생한다. 과수원 주위의 풀숲이나 피해 낙엽에서 성충으로 월동하여 이듬해 일찍부터 복숭아잎에 날아와 알을 낳는다. 알에서 깨어난 유충이 잎조직 속으로 들어가 가해한다. 유충은 잎 뒷면에 흰실 같은 줄을 늘이고 집을 지어 번데기로 되었다가 성충으로 되어 나온다.
<복숭아잎굴나방 생활사>

|
마. |
방 제 법 |
|
① 봄철 피해낙엽을 긁어 모아 태우거나 땅속깊이 묻는다.
② 1화기에는 지면 근처의 대목부위에서 발생하는 신초엽에서 생활하므로 대목의 흡지를 제거한다.
③ 2화기 성충발생이 끝나는 6월중·하순에 중점약제를 살포하여 3∼4화기의 발생밀도를 낮추도록 한다.
④ 복숭아는 수확기에 복숭아굴나방의 3∼4화기가 되므로 농약의 안전사용 기간을 지켜야 하며 수확 후에 약제방제를 하여 9월에 급격히 발생하는 것을 예방한다.
⑤ 발생기에 데시스, 바이린, 코니도, 스미사이딘, 호리마트 등을 살포한다. | |
5. 진거위벌레 |
가. |
기 주 : 복숭아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등 |
나. |
가해상태 |
|
성충이 피해식물의 열매꼭지를 반쯤 자르고 과일 속에 1개씩의 알을 낳아 놓는데, 시일이 경과하면 열매꼭지가 떨어진다. 유충은새순에피해를준다. |
다. |
형 태 |
|
1) 성 충 : 광택이 있는 자갈색이며 주둥이가 길고 다리가 발달되어 있다. 촉각은 주둥이의 중앙부에 있으며 기부에서 제8절까지는 강한 털이 드문 드문 있다. 몸길이는 14㎜ 가량이다.
2) 알 : 난형에 반투명하고 지름이 1㎜이다.
3) 유 충 : 유백색에 다리가 없고 몸길이가 9㎜ 가량이다.
|
라. |
생 활 사 |
|
1년 1회 발생하며 늙은 벌레로 땅속에서 월동한다. 이듬해 봄에 번데기가 되며 4월하순부터 성충이 나타나서 어린 과실의 열매꼭지를 반쯤 자르고 과실에 조그마한 구멍을 뚫은 다음 그 속에다 한개씩의 알을 낳으므로 알에서 깨어난 어린벌레가 과실의 내부를 먹고 자라는 동안에 열매 꼭지가 부러져 열매가 떨어지게 된다. 늙은 상태의 유충으로 탈출하여 땅속에 들어가 흙으로 집을 만들고 그 속에서 월동한다.
|
마. |
방 제 법 |
|
① 열매꼭지가 부러진것을 철저히 따서 물에 담구어 죽인다
② 유기인제 계통의 살충제를 살포한다.
③ 이른 아침에 유충의 동작이 민첩하지 못하므로 나무가지를 흔들어 한데 모아 잡아주는 방법도 있다. | |
6. 뽕나무깍지벌레 |
가. |
기 주: |
|
복숭아나무, 매실나무, 살구나무, 앵두나무, 벚나무, 배나무, 사과나무, 포도나무, 밤나무, 호두나무, 뽕나무 등
|
나. |
가해상태 |
|
가지, 잎 및 과실에 기생하며 즙액을 빨아먹어 점차 나무가 쇠약해지며 심하면 말라 죽는다. 복숭아 등 핵과류에 피해가 심하다.
|
다. |
형 태 |
|
1) 성 충 : 암컷의 길이는 1.1㎜, 숫컷은 0.9㎜ 정도이며 암컷은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이고 등황색이며 숫컷은 등적색이다. 눈은 암갈색이며 다리와 더듬이는 담황색이고 염주모양이며 10마디로 되어 있고 각마디에 작은 털이 나있다. 날개는 백색투명하고 배 끝에 교미기가 있다. 암컷의 깍지는 지름이 1.7∼2.0㎜ 이고 원형이지만 수피사이에 많이 기생할때는 부정형인 경우도 있다. 깍지의 색깔은 백색∼회백색이고 깍지는 중심부가 높으며 몸은 등황색∼암갈색이다.
2) 알 : 길이는 0.2 × 0.1㎜ 이고 타원형이며 매끈하고 광택이 있다. 알의 색깔이 백색인 것은 수컷이 되고 등황색인 것은 암컷이 된다.
3) 약 충 : 제1령충은 크기가 0.25∼0.15㎜이고 납작한 타원형이다. 제2령충은 깍지와 충체에 의하여 암수구별이 가능하다. 이때 수컷은 깍지가 고치 모양이고 짧은 타원형이며 백색 솜털 같은 것으로 덮여 있다. 암컷은 깍지가 타원형이 회갈색이다. 제3령충은 숫컷은 고치를 형성하고 길이는 0.75㎜이며 황색이다. 암컷은 깍지의 길이가 1.2㎜ 이고 원형이며 회백색∼회갈색이다.
|
라. |
생 활 사 |
|
1년에 3회 정도 발생하지만 북쪽지방에서는 적고 남쪽지방에서는 많다. 월동한 암컷은 5월상순에 산란하고 5월중순에 부화되며 6월중순에 번데기가 되어 6월하순에 우화한다. 제2회 성충은 7월상순에 산란하고 7월중순에 부화 8월상순에 번데기가 되며 8월중순에 우화한다. 제3회 성충은 산란기는 8월하순이고 9월상순에 부화 9월하순에 번데기가 되어 10월상순에 우화한다. 수컷은 약 1주일을 넙기지 못하며 날개는 있지만 멀리 날지 못한다. 암컷은 가지에서 부착하여 즙액을 빨아 먹으며 수명도 길다. 교미후 깍지 밑에 불규칙하게 알을 낳는데 산란수는 40∼200개이고 고온일때 산란수가 많다. 알 기간은 7∼10일이고 부화약충은 활발히 기어 다니며 기주 식물로 분산하지만 제1회 탈피후에는 고착생활을 하게 되며 납물질을 분비하여 점차 깍지를 형성한다. 암컷은 3회 탈피 후에 성충이 되며 번데기를 거치지 않는다. 그러나 수컷은 제1회 탈피후 약 2주일에 제2회 탈피를 하며 백색고치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번데기 기간은 1주일이며 날개가 있는 숫컷이 우화한다.
|
마. |
방 제 법 |
|
① 봄철에 거친 껍질을 제거하고 기계유유제를 살포한다.
② 5월중순 약충발생기에 적기방제 하고 생육기에도 약충기에 스프라싸이드 등 전문약제를 살포한다.
③ 천적을 이용한다. 천적으로 흰깍지깡충좀벌(Adelemcyrfus aulacaspidis). 사철깍지좀벌(Aphytis proclia). 털깡충좀벌(Apterencyrtus microphagus). 애홍점박이무당벌레(Chilocorus kuwanae). 홍점박이무당벌레(Chilocorus rubidus). 깍지좀벌(Prospallella berlesei)등이 있다.
| |
7. 공깍지벌레 |
가. |
기 주 :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살구나무, 매실나무, 벚나무, 모과나무, 사과나무, 포도나무 |
나. |
가해상태 |
|
잎 또는 가지에 기생하며 즙액을 빨아먹어 점차 나무가 쇠약해진다.
|
다. |
형 태 |
|
1) 성 충 : 몸길이가 1.5㎜ 정도이고 날개를 편 길이는 2.5㎜ 이다. 암컷은 구형이고 광택이 있는 갈색∼농갈색이며 외피에는 주름이 있고 지름은 4∼5㎜이다. 수컷은 날개가 있고 머리와 가슴은 적갈색이지만 가슴은 빛깔이 엷으며 더듬이와 다리는 담황색이다.
2) 알 : 긴 지름이 0.3㎜이고 타원형이며 적갈색이다.
3) 약 충 : 납작한 타원형이고 적갈색이며 배 끝이 가늘다.
|
라. |
생 활 사 |
|
1년에 1회 발생하고 약충으로 월동한다. 4월하순부터 즙액을 빨아먹고 5월 중하순에 구형이고 갈색인 성충이 되며 산란기에는 깍지가 딱딱해진다. 5∼6월에 깍지 내부에 수백개의 적갈색이고 구형인 알을 낳는다. 5월중하순부터 부화된 약층은 잎의 뒷면으로 이동하여 즙액을 빨아 먹다가 낙엽전에 가지로 돌아와 고착하여 월동한다.
|
마. |
방 제 법 |
|
① 봄철 발아전에 기계유유제 및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한다.
② 5월 중하순 스프라싸이드등 전문약제를 살포한다.
③ 천적으로는 홍점박이무당벌레(Chilocorus rubidus)가 있다. | |
8. 복숭아혹진딧물 |
가. |
기 주 :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살구나무, 벚나무, 귤나무 등 |
나. |
가해상태 |
|
월동난에서 부화된 약충(간모)이 어린 잎에 몰려와 즙액을 빨아 먹으면 잎이 세로로 말린다. 발생이 심한 경우 배설물에 의해서 어린 과실에 동녹이 발생되고 그을음병이 생긴다. 5월부터 유시충이 생겨 배추 등 십자화과 채소 및 기타 여름기주로 날아가 가해한다. 십자화과 채소에는 각종 바이러스를 매개하므로 무서운 해충이다.
|
다. |
형 태 |
|
1) 무시충(無翅蟲)암컷 : 난형이고 녹색∼적록색으로 뿔관은 흑색이고 중앙부가 약간 팽대되어 있다.
2) 유시충(有翅蟲)숫컷 : 담적갈색이고 더듬이의 제 3마디에 10∼15개의 원형 감각기가 있다. 배의 등면에는 각마디에 흑색의 띠와 반문이 있고 뿔관은 중앙부 뒷쪽이 팽대되어 있다.
3) 알 : 긴 타원형으로 길이가 0.66㎜이고 흑색이다.
|
라. |
생 활 사 |
|
1년에 빠른 세대는 23회 늦은 것은 9회 발생하며 복숭아나무 눈 부근에서 알로 월동한다. 3월하순∼4월상순에 부화된 간모는 단위생식을 한다. 무시충을 태생(胎生)하면 새끼는 신초 또는 새잎에 기생하여 흡즙하고 잎이 세로로 말린다. 5월상순∼중순에 2∼3세대 경과후 유시충이 생겨 여름기주로 이전한 후 6∼18세대를 번식하다 늦가을에 유시충이 생겨 다시 겨울 기주인 복숭아로 날아와 산란성 암컷이 되면 여름 기주에서 날아온 수컷과 교미한 후 산란성 암컷이 자라서 11월 상순∼중순에 복숭아 눈 근처에 알을 낳는다.
<복숭아혹진딧물 생활사>

|
마. |
방 제 법 |
|
① 월동직후 기계유유제 및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할 것.
② 발생기에 진딧물 전용약제인 모노프액제, 아시트수화제, 피리모수화제 또는 메타유제 등의 약제중 선택하여 교호로 살포한다.
③ 복숭아원 가까이에 무우, 배추 등 십자화과 식물을 심지 않는 것이 좋다.
④ 천적을 이용한다. 됫박벌레류. 꽃등에류. 풀잠자리류. 기생벌 등 다수의 천적이 있으므로 잔효성이 긴 살충제는 피하는 것이 좋다. 천적으로는 목화검정진딧벌(Ephedrus japonicus). 날나리꽃등에(Epistrophe ballealus). 코라꽃등에(Metasyrphus corollae). 꼬마남생이무당벌레(Propylaea japonica). 애꽃등에(Sphaerophoria sylindrica). 좀넓적꽃등에(Syrphus ribesii). 검정넓적꽃등에(Syrphus serarius) 등이 있다. | |
9. 복숭아가루진딧물 |
가. |
기 주 : 복숭아나무, 매실나무, 자두나무, 살구나무 등 |
나. |
가해상태 |
|
주로 잎의 뒷면 엽맥에 붙어서 가해한나 어린 잎에도 붙어서 흡즙하며 가해한다. 잎을 말지 않으나 흰가루를 분비하고 배설물에 의해서 과실이나 나무에 그을음병을 발생시킨다.
|
다. |
형 태 |
|
1) 유시충 암컷 : 몸 길이가 2.1㎜정도이고 전체가 녹색이나 머리는 농황색이다. 몸전체가 흰가루로 덮여 있어 백색으로 보인다.
2) 무시충 암컷 : 유시충 암컷보다 크고 방추형으로 황록색이며 등에는 세로로 2줄의 녹색 흠이 있다. 몸 전체가 흰가루로 덮여 있다.
|
라. |
생 활 사 |
|
복숭아 나무에서 알로 월동하여 번식 가해하다 7월이 되면 유시 태생 수컷으로 변하여 여름기주로 이동하여 증식한다. 10월경 다시 복숭아나무나 매실나무로 돌아와 교미하여 월동알을 낳는다.
|
마. |
방 제 법 |
|
① 이른 봄에 기계유유제 및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한다.
② 발생기에 침투성 진딧물 전용 약제를 살포한다. | |
10. 복숭아유리나방
|
가. |
기 주 : 복숭아나무,벚나무,살구나무,자두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등 |
나. |
가해상태 |
|
애벌레는 복숭아 나무의 껍질속을 가해하므로 수지가 발생되어 나무수세가 약해지고 심하면 말라죽어 피해가 크다. 우리나라의 중부 이남에서는 사과보다 복숭아나무를 가해하고 중부 이북에서는 사과나무를 가해 한다.
|
다. |
형 태 |
|
1) 성 충 : 몸 길이는 15∼16㎜이며 검은자색이고 머리는 검은색이다. 촉각은 기부가 약간 황색이고 다른 부분은 전부 검은 남색이다. 배에는 두 개의 노란띠가 있으며 날개는 투명하고 날개맥만 검은색이다.
2) 알 : 납작한 구형이고 담황색이다. 나무껍질의 갈라진 틈에 1∼2개씩 붙어 있다
3) 유 충 : 머리가 황갈색이고 몸은 담황색이며 각 마디는 노란색이다. 몸 길이는 23㎜정도이다.
4) 번데기 : 황갈색이며 배 끝에 돌기가 있다. 몸 길이는 16㎜정도이며 나무 껍질 밑의 고치속에 들어 있다.
|
라. |
생 활 사 |
|
1년에 1회 발생하며 5월부터 9월까지 성충이 복숭아나무 원줄기 아래쪽에 알을 낳는다.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나무껍질 밑에서 생장하여 월동하며 이듬해 봄부터 연중 가해한다. 번데기의 껍질은 성충이 탈출한 구멍 밖으로 1/2 정도 노출되어 있다. 성충은 낮에만 활동한다.
|
마. |
방 제 법 |
|
① 벌레똥 또는 수지가 발견되면 애벌레의 잠입부위이므로 칼이나 철사를 이용하여 직접 잡아준다. 애벌레의 식해 활동이 왕성한 월동직전까지 잡아야 한다.
② 원줄기에 피해가 심하기 전에 성충이 산란하지 못하도록 접촉성 살충제를 충분히 살포할 것.
③ 3월하순 월동유충이 활동하는 초기에 약제를 줄기에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살포한다.
④ 성충발생기인 6월상순과 8월상순에 침투성 살충제를 살포한다. 유기인제 및 합성제충국제를 뿌릴때는 줄기와 가지 부위에 충분히 묻도록 살포한다.
⑤ 피해부위는 전정시 잘라 성충이 되어 탈출하기 전에 불태운다.피해 부위에 살충제를 300∼500배로 희석하여 주입한다. | |
11. 서울나무좀 |
가. |
기 주 :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매실나무 등 |
나. |
가해상태 |
|
복숭아나무 등 자두속의 과수를 가해하는 나무좀에는 스콜리투스속(Scolytus)과 자일레보르스속(Xyleborus) 있으며 스코리투스는 주로 형성층 부위에 피해를 주는데 서울나무좀과 자두애나무좀이 있다. 자일레보르스는 줄기와 뿌리의 목질부를 가해하며 뽕나무좀, 오리나무좀 및 붉은나무좀 등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과다 결실시켰거나 태풍 등의 피해로 쇠약해진 나무에 발생이 많으나 건전한 나무에도 간혹 피해를 준다. 성충과 유충이 수피 밑에 굴을 뚫고 다니며 식해하므로 형성층 부분이 피해를 받고 목질부에도 지렁이가 다닌듯 하게 얕은 피해 흔을 남긴다. 줄기의 표피에는 직경 2㎜정도의 구멍을 내므로 발견이 가능하다. 피해를 받은 나무는 수세가 쇠약해지고 과실의 비대에도 지장을 주며 결국에는 나무가 고사한다.
|
다. |
형 태 |
|
1) 성 충 : 몸길이가 4㎜정도이고 가슴부위는 적갈색이며 날개는 흑갈색이다.
2) 알 : 길이가 0.8㎜의 타원형이며 백색이다.
3) 유 충 : 길이는 1.5㎜ 정도이고 타원형이며 유백색이다.
|
라. |
생 활 사 |
|
1년 1회 발생하며 유충태로 피해 줄기에서 월동한다. 성충은 5월하순∼8월에 걸쳐 발생하고 나무의 껍질밑에 구멍을 따라서 수십개의 알을 열지어 산란한다. 줄기의 표피를 완전히 뚫고 침입하는 경우와 인피부만을 뚫는 경우가 있는데 인피부만을 뚫는 경우는 수지가 나오고 유충의 피해구멍으로 배설물이 배출된다.
|
마. |
방 제 법 |
|
① 성충이 활동하는 5월부터 8월 줄기에 약제를 도포하거나 살충제 살포시 나무줄기에 충분히 묻게 살포한다.
② 과다결실 등 수세를 약하게 하지 말고 비배관리를 합리적으로 하여 수세를 건전하게 유지하는 것이 피해방지를 위하여 중요하다.
③ 천적으로 어깨 넓적좀벌과의 Euratoma sp가 있다 | |
12. 흡수나방류 |
가. |
기 주 : 복숭아나무,포도나무,배나무,사과나무,자두나무,살구나무 등 |
나. |
가해상태 |
|
흡수나방의 피해를 받은 과일은 표면에 바늘구멍 같은 작은 구멍이 있는데 이것이 흡수나방이 주둥이로 찔러서 과즙(果汁)을 빨아먹은 흔적이다. 흡수공(吸收孔)주위는 스폰지 상태로 되고 살짝 누르면 움푹 들어가며 흡수공으로 각종 병균이 침입하여 점점 부패하기 시작하며 심해지면 낙과한다.
흡수나방의 피해가 많은 과수원은 (1) 산지에 고립되어 있는 과수원 (2) 삼림에 둘러싸여 있고 부근에 유충의 기주가 많이 자생하고 있는 과수원 (3) 주위에 성충의 먹이가 될만한 다른 종류 의 과수가 많은 과수원 (4) 숙기가 흡수나방의 발생시기와 일치하고 껍질이 얇으며 향기가 많은 품종의 과수원 등이다.
|
다. |
흡수나방의 종류 |
|
흡수나방 유충의 기주는 과원 근처의 초목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흡수나방의 종류나 우점종이 다를 수밖에 없다. 일본에서는 총 143종의 흡수 나방이 보고되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현재까지 55종이 조사 보고되어 있다. 흡수나방은 크게 1차가해종과 2차가해종으로 나눌수있은데, 대부분 주둥이가 연약해서 부패과, 병해충피해과, 수액 등의 냄새에 따라 찾아오는 2차가해종이다. 1차가해 종은 구기가 강하고 예리하게 발달되여 건전한 과실에 직접 주둥이를 찔러 흡즙하는 종류로서 주로 밤나방과에 속하며 25종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조사된 1차가해 흡수나방은 작은 갈고리밤나방, 스투포사밤나방, 무궁화밤나방, 무궁화잎밤나방, 금빛우묵밤나방, 갈고리밤나방, 으름밤나방, 암청색줄무늬밤나방등이다. 2차가해종중에서 중요한 종은 쌍띠밤나방, 태극나방, 까마귀밤나방, 배칼무늬나방, 흰줄태극나방, 꼬마구름무늬밤나방, 청백무늬밤나방 모무늬뒷노랑나방, 세줄박각시나방 등이다.
|
라. |
생 활 사 |
|
1) 1차가해종
① 무궁화 밤나방(L.juno) : 년 2회 발생하고 발생최성기는 7월 하순과 8월 중순∼9월 중순이다.
② 스투포사밤나방(P.Stuposa) : 7월부터 8월까지 발생되며 8월 상순이 발생최성기이다.
③ 금빛우묵밤나방(C.lata) : 7월부터 8월까지 발생되며 발생최성기는 7월중순과 8월하순의 2회이다.
④ 작은갈고리밤나방(O.emarginata) : 7월 중순부터 9월하순까지 발생되고 발생최성기는 7월 중순과 9월 중순 2회이다.
⑤ 무궁화잎밤나방(A.mesogona) : 6월부터 9월까지 발생되며 발생최성기는 7월 중순과 8월 하순에 2회이다.
⑥ 갈고리밤나방(O.excavata) : 년 2회 발생하며 발생최성기는 각각 7월 하순∼8월 상순과 8월 하순∼9월 중순이다.
2) 2차가해종
① 쌍티밤나방(M.turca) : 6월부터 9월까지 발생되며 8월상중순이 발생최성기이다.
② 태극나방(S.retorata) : 6월부터 8월까지 발생되며 발생최성기는 7월중하순과 8월 중순 2회이다.
③ 흰줄태극나방(M.rectifasciata) : 7월부터 8월까지 발생되며 발생최성기는 7월중순이다.
④ 까마귀밤나방(A.livida) : 6월 하순부터 8월 하순까지 발생되며 발생최성기는 7월 중하순 1회이다.
⑤ 배칼무늬나방(V.rumicis) : 7월부터 9월까지 년2회 발생된다.
⑥ 모무늬뒷노랑나방(C.amatum) : 6월부터 9월중순까지 발생되며 흡수나방류중에서 가장 일찍 발생한다. 발생최성기는 6월 중하순이고 7월 이후에는 발생량이 급격히 감소한다.
|
마. |
방 제 법 |
|
① 전등을 조명하는 방법 : 황색형광등에 의한 피해방지는 과수원 비래억제, 밝은 곳 기피 경감 및 흡즙활동의 감소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다. 흡수나방의 방제에 필요한 조도는 10a당 40W짜리 황색형광등 7개가 필요하다. 그 중 5개는 나무의 아래부분에(지상 1.8m), 2개는 나무의 윗부분(지상 5m)에 설치한다. 청색형광등도 흡수나방에 효과는 있으나 노린재류와 풍뎅이 등을 유인해서 곤란하다. 과수원에서 조명 기간은 과수원 종류, 품종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과일이 익기시작하는 시기부터 수확시기까지 조명을 하면 충분하다.
② 방충망 설치와 봉지씌우기에 의한 방법 : 많은 과수원에서 조류의 피해를 막기 위해 방조망을 설치하고 있는데 방조망 씌우는 노력으로 방충망을 설치하면 흡수나방의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표2>. 그러나 현재 구멍크기가 10×10㎜인 방아망이시중에 판매되는 것이 없고 또 있더라도 과원전체를 완전히 덮어주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봉지씌우기를 할 경우 신문지는 비바람에 찢어진 부분에 흡수나방이 주둥이를 찔러서 흡즙한다. 따라서 지질이 좋은 2중 봉지를 씌우면 흡수나방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표2> 방아망의 구멍크기별 흡수나방 피해율 (1988, 경남진양, 복숭아)
처 리 내 용 |
피 해 과 율 (%) |
피해과당흡수공수(개) |
방아망소(10×10㎜) |
0.0 |
0.0 |
방아망대(15×15㎜) |
5.3 |
1.0 |
봉 지(신문지 1겹) |
6.9 |
1.6 |
무 대 재 배 |
51.0 |
3.5 |
③ 기타흡수나방의 방제를 위하여 유인물질이나 기피제를 이용하는 방법 : 약제살포에 의한 방법 세포질 핵다각체 바이러스를 이용하는 방법등 다각도로 검토되고 있으나, 아직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


복숭아 병해충 고시농약
병해충명 |
약제명(품목명[상품명]) |
검은점무늬병 |
디페노코나졸(수)[푸르겐], 비타놀(수)[바이코], 프로피(수)[안트라졸], 벨쿠트 |
세균성구멍병 |
농용신(수)[아그렙토, 부라마이신,궤양신], 스트렙토마이신황산염.옥시테트라싸이클린(수)[아그리마이신] |
잎오갈병 |
디치(수)[델란], 타로릴(수)[다코닐,금비라] |
잿빛무늬병 |
디에토펜카프·가벤다(수)[깨끄탄], 디페노코나졸(수)[푸르겐]
리프졸(수)[트리후민], 비타놀(수)[바이코], 빈졸(수)[놀란],
이프로·치람(수)[로브티], 치람(수)[쓸마내]
프로파(수)[스미렉스,팡이탄,너도사], 헥사코나졸(액상)
훼나리(수) |
깍지벌레류 |
기계유(유), 나크(수)[세빈] |
심식나방 |
그로프(수)[더스반], 디디브이피(유), 피레스(유)[립코드]
피리다(유)[오후나크] |
응애류 |
기계유(유) |
농약 혼용가부표( 범례 : ○ - 혼용 가, △-약효 저하, 약해발생 주의, ×-혼용불가)

|